우렁각시 이야기는 우리가 살아 오면서 한 번쯤은 들어봤음직한, 꽤 보편적인 이야기이다. 우렁이
가 각시로 변신해서 밥을 해놓다가 총각과 결혼을 하여 잘 산다는 식의 내용으로 알고 있던 나에
게는, 단순하게도 '햐.. 그 우렁이 밥하다가 출세했네. 사람하고 같이 살고.'라는 아주 엉뚱한 결론
을 내리던 어린 시절이 있었다. 이번에 과제를 통해 민담의 특성을 파악하고 나서야 다시 한 번
우렁각시를 생각해 볼 기회가 생겼다.
우렁각시는 크게 두 부분의 이야기로 구성된다. 전반부는 가난하게 사는 노총각이 우렁이를 만나
서 결혼하게 되는 내용이, 그리고 후반부는 우렁각시를 탐내는 원님과 노총각과의 내기 이야기가
주 내용을 이룬다. 설화의 특성상, 그 결말은 시대와 구연자에 따라 여러 가지 양상을 띠지만, 여
기에서는 원님과의 내기를 통해 노총각이 행복을 추구하는 것을 기본틀로 삼기로 했다.
-우렁이로 드러난 여신상과 생활의 모습들
<우렁각시> 민담에서 사건의 발단은, 고달픈 삶을 영위하고 있던 노총각에게 우렁이가 대답을
하면서부터 이다. 여기에서 우렁이란 어떤 의미일까. 이는 내가 어렸을 적 생각했던 것처럼 단순
히 사람과 결혼하게 되는 출세한 우렁이가 아니었다. 우렁이는 물을 그 근원(根原)으로 하는 존재
이다. 물과 달, 대지 등은 원형적으로 볼 때, 여성을 상징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실제 원모습을
노총각에게 드러낼 때에도 우렁이는 여성의 모습을 하고 있었다. 즉, 여기서의 우렁이는 풍요와
다산을 상징하는 전형적인 여신상의 변형(變形)이라 생각한다. 농사를 짓고 살지만 물질적으로 풍
요롭지 못하고 적적한 생활을 하고 있던 노총각, 즉 당시의 민중들에게 반드시 필요하다고 할 수
있는 여신상을 등장시킴으로써, 농경사회에서의 빈곤과 생산을 바라는 민중들의 바램이 형상화된
것이라 할 수 있다. 한편, 노총각이 우렁이를 집으로 데려와 물독에 넣어놓는 것 등은 우리 민족
의 생활의 모습들을 드러내는 장치로 역할하게 된다.
-고난은 어떠한 형식으로 행복이 되는가
노총각은 어떠한 사람이었는가. 가난하고, 나이가 들도록 결혼을 못해 궁핍하고 쓸쓸한 삶을 살아
가던 사람이었다. 그러한 그에게 우렁이가 등장하여 밥을 해준다는 것은 단순히 밥을 먹게 한다
는 의미가 아니라, 그의 삶을 더 안락하고 인간답게 해준다는 의미일 것이다. 그러나 그가 이런
행복의 순간을 충분히 누리기도 전에, 우렁각시를 탐내던 고을 원님과의 갈등에 시달리게 된다.
그러나 원님과의 내기에서 노총각이 승리하여 우렁각시 뿐 아니라 경제적인 풍요까지 획득한다.
이러한 모습은 행복에 대한 선조들의 가치관과 민중적 상상력을 드러낸다. 고된 현실을 부정하고
더 나은 현실을 꿈꾸는 것은, 풍요롭고 행복하게 살기를 바라는 다분히 인간적인 마음이며, 불행
을 참고 극복하면 행운이 온다고 믿는 것이다.
한편, 노총각에게 삶의 제반적 행복을 가져다 준 우렁각시의 존재가 누설되기 시작하면서 그 전
보다 더 큰 불행이 시작되는데, 이 때 노총각의 고난이 심화되는 것만큼 우렁색시와 총각의 극복
하겠다는 의지와 행복의 강도(强度) 역시 심화되는 순환적(循環的)인 사고방식이 두드러진다. 이
는 고난이 점차 가중되어 가고 희망이 보이지 않는 현실을, 보다 긍정적이고 슬기롭게 견뎌내려
했던 민중의 발상(發想)이라 생각한다.
-계급성과 비판의식
민담의 특성 중 하나가, 작중세계에 대한 긍정적 세계관임은 교과서에서 익힌 바 있다. 그러나 모
든 구전문학이 지니고 있는 시대성과 사회성이 민담에도 우러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여기
에서도 당시 사회를 민중으로 살아가는 이들의 계급의식과 사회에 관한 비판의식을 찾아낼 수 있
다고 생각한다. <우렁각시>에서는 그 결말이 비극이든 희극이든 관(官)으로 대변되는 지배체제와
노총각의 대결구도가 나타나고 있다. 전승을 위해 그 대결양상이 무척 우습고 통쾌하게 형언화되
었지만, 실제로는 피폐한 현실과 민중으로서 지닌 처절하고 치밀한 인식을 기초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당시의 사회적 지배계급(혹은 유산계급)의 수탈과 횡포를 풍자라는 문학적 장치를 통
해서 웃음 속에 숨겨두었던 것이다. 노총각이 결국 원님의 수탈에 맞서 결국 우렁각시를 잃지 않
고, 도리어 사회적으로 성공한다는 결과는, 민중의 사회적 염원과 비판의 산물이라고 볼 수 있다.
한편, 이와 다른 각편의 결말에서 노총각이 죽어 새가 된다거나 우렁각시와 헤어지게 되는 것 역
시 철저한 현실 인식과 그로 인한 불합리 타파에의 욕구를 문학적으로 드러낸 것이라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