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5만년 전 바다에 30km 다리가? 세계 최장편 서사시이자 힌두문학의 고전인 라마야나(Ramayana)에는 지금부터 175만년 전 인도의 라마왕자가 스리랑카의 마귀왕에게 납치된 부인을 구하는 내용이 나오는데..
내용은 스리랑카의 마귀왕인 라바나를 잡으려고 인도의 라마왕자가 스리랑카로 갔다가 그곳의 왕인 라바나의 여동생을 만났는데 이 여동생이 그만 라마왕자에게 홀딱 반해 버렸습니다. 이때 이미 라마왕자는 결혼한 몸이었고 이에 질투를 느낀 스리랑카 왕의 여동생은 라마의 부인을 납치하려다가 라마에게 발각되어 처형되어 버립니다. 이에 화가 난 라바나왕이 라마왕자의 부인을 납치하였고 이를 안 라마왕자가 부인을 구출하기 위하여 전능한 신의 힘으로 두 나라 사이의 바닷길에 30km에 달하는 다리를 놓았고, 그리고 그 다리를 통하여 스리랑카에 쳐 들어가 부인을 구하여 잘 살았다는 내용입니다. ...............................................
1994년 4월 9일 미국 휴스톤에서 발사된 우주왕복선 인데버호는 인도양을 정밀 촬영하다 이상한 구조물을 발견하였습니다. 인도와 스리랑카 사이 해상에 정체를 알 수 없는 해저 연결선이 있는 것을 발견하고 나사에서 정밀 분석하였지요.
분석 결과 이 연결선은 오래 전에 만들어진 거대한 다리임을 밝혀내고 이를 아담의 다리(Adam's Bridge)라고 명명하였습니다. 아담이란 스리랑카에 있는 산으로서 위의 전설에 나오는 라마왕자가 스리랑카에 납치된 부인이 순결을 잃었다고 오해하여 그 산에서 1000년 동안 한쪽발로 서 있었다는 산 이름 입니다.
이렇게 관찰된 이것을 아담의 다리(Adam's Bridge)라고도 하고 왕자의 이름을 따서 라마의 다리(Rama's Bridge)라고도 하는데 이것은 실제 다리가 아니고 스리랑카 북서부 마나르(Mannar)섬과 인도 남동부의 팜반(Pamban)섬 사이의 를 잇는 45km를 섬과 산호초, 모래, 바위들이 연결된 것으로서 조수가 높을때도 해수면 아래로 약 1.2m 높이를 지닌채 인도와 스리랑카를 길게 이어주고 있습니다.
문제는 이 지역의 특징과 형태를 분석한 학자들이 놀랍게도 이 다리가 라마야나에 저술된 내용과 정확히 일치하는 부분이 너무나 많다고 밝히고 있어 새로운 미스테리지역으로 부상하고 있다는 것입이다. 다리의 곡선과 형태가 오래 전 인간이 만든 것임을 나타내고 있다는 것인데 만약에 이것이 정말로 그 시절에 토목공사로 만든 다리라면 세계에서 가장 긴 다리의 역사는 이미 175만년 전에 세워진 것입니다. |
아담의 다리는 1994년 4월 9일 미국 휴스톤에서 발사된 우주왕복선 인데버호가 인도양을 정밀 촬영하다 발견되었다.
인도와 스리랑카 사이 해상에 정체를 알 수 없는 해저 연결선이 있는 것을 발견하고 나사에서 정밀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이 연결선은 오래 전에 만들어진 거대한 다리 임이 밝혀졌다.
이를 아담의 다리(Adam`s Bridge)라고 명명.
아담이란 스리랑카에 있는 산으로서
라마 왕자가 스리랑카에 납치된 부인이 순결을 잃었다고 오해하여
그 산에서 1000년 동안 한로 서있게 되었다는 전설의 산 이름이다.
따라서 이것을 아담의 다리 혹은 왕자의 이름을 따서 라마의 다리라고도 한다.
스리랑카 북서부 마나르(Mannar)섬과 인도 남동부의 팜반(Pamban)섬 사이를 잇는
45KM를 섬과 산호초, 모래, 바위들이 연결된 것 으로서
조수가 높을 때도 해수면 아래 약 1.2m 높이로 인도와 스리랑카를 이어주고 있다.
문제는
이 지역의 특징과 형태를 분석한 학자들이
놀랍게도 이 다리가 라마야나에 저술된 내용과 정확히 일치하는 부분이 너무나 많다고 밝히고 있어
새로운 미스테리지역으로 부상하고 있다는 것이다.

구조물의 곡선과 형태가 인공적으로 만든것이 명확히 드러나는데
만약 이것이 정말 그 시절에 만든 다리라면
세계에서 가장 긴 45km의 다리의 역사는 175만년 전에 세워진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출처 : 아담의 다리 - 공포 - 모해유머커뮤니티
링크 : http://www.mohae.kr/2256189
첫댓글 크킹에서는 이거 밟고 대륙 진출...
ㅋㅋㅋㅋㅋ
그냥 사주 아닌가;;
인공구조물인 것 처럼 묘사가 되어있네요
저렇게 자연적으로 다리가 형성된것만도 재미난데 저거와 부합하는 전설까지 있으니까 신기한거죠
자연적으로 저런 지형이 형성되면 관련 전설은 나오게 되어있죠. 찾아보면 우리나라 진도나 그런쪽에서도 나올겁니다.
전설에 대한 이야기가 아니라 미국이 처음으로 저걸 발견해서 분석하니깐 인공구조물로 판단했다는게 이상하다는 이야기입니다
위 글을 다시 읽어보시면 '이것은 실제 다리가 아니고 스리랑카 북서부 마나르(Mannar)섬과 인도 남동부의 팜반(Pamban)섬 사이의 를 잇는 45km를 섬과 산호초, 모래, 바위들이 연결된 것' 이라고 분명히 설명하고 있고 이것이 인공구조물이라는 의견을 주장하는 학자들도 있다고 소개하고 있을 뿐이죠.
그기고 그게 말이 안된다는 거구요.
사실 저런 주장을 하는 양반들은 인도의 힌두교 극우주의자들 뿐인지라;;애당초 175만년전이면 호모 사피엔스 사피엔스도 없던 시절입니다;
애초에 흥미 위주로 올린 글에 진지하게 반응하는 모습이 좀 이상하네요;
으흠...제가 개인적으로 이런 방향의 시각을 좀 비판적으로 보고있거든요;
몇년전에는 실제로 인도에서 저 전설때문에 정치가 좀 난리판이 되기도 했구요
굳이 그럴 필요 없는 일에 일일이 진지빨면 삶이 피곤해집니다.
그건 그렇고 저의 다음 글에 대한 님의 시각이 궁금해지네요.
@미시카고 그냥 유머글을 가지고 진지 빤것도 아니고 이런 글에서 진지빤다고 그렇게 문제가 될거가 있나 싶네요;
애당초 그런 한 구절만 가지고 보기에는 이 글의 전반적인 주제가 인공건축물이다! 라는 글인 마냥 적혀있는데 그걸 비판한다고 진지빠니 삶이 피곤하다고 하시면 좀;;
175만년 전
빙하타고
175만년 전이면 고구려 시대인데 인도인들 기술력이 대단하네요 ㄷㄷ
예???;;;;
175만년 전이면 오스트랄로피테쿠스가 살아있을 시기입니다.ㅋ
자유게시판에서 역사스페셜로 이전되었습니다.
무슨 미스테리 마냥 써놨는데 실상은 단순한 자연구조물이네요. 글 자체가 딱 오해하기 쉽게 써져있는 거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