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여성시대 흥미돋는글
남초쌔빔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
출산율은 가임기(만 15~49세) 여성 1명이 낳는 아이의 수로, 어떤 국가의 여성이 가임기간동안 아이를 몇명이나 낳을까?를 나타내주는 수치임.
가장 대표적인게 합계출산율로, 작년에 0.72를 달성했다는 것은 바로 이 합계출산율임.
가끔, '우리나라는 출산을 이미 끝낸 40대 여성이 많고 1~20대 여성이 적은 구조라 현재 출산율이 낮게 잡힐수밖에 없으며 이들이 나이가 들어서 가임기 여성에서 이탈하면 출산율은 반등할수밖에 없다'라고 말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출산율 계산 공식을 잘못 이해해서 생긴 착오임.
저런게 가능하려면, 출산율 계산공식이 (그 해의 전체 출생아/그 해의 15~49세 여성 인구)여야 하는데, 출산율 계산공식은 이와 다르기 때문임.
합계출산율 계산공식임. (만 15세 여성이 1년간 낳은 출생아수/만 15세 여성의 수)+(만 16세 여성이 1년간 낳은 출생아수/만 16세 여성의 수)+...+(만 49세 여성이 1년간 낳은 출생아수/만 49세 여성의 수)임.
만약 만 15~49세의 여성이 10만명씩 있는 어떤 나라에서 만 15~29, 34~49세의 여성은 단 1명도 낳지 않았고, 30세부터 33세의 여성들만 각각 3만명의 아이를 낳았다면 그 나라의 출산율은 0+0+...+0.3+0.3+0.3+0.3+...+0=1.2가 됨.
따라서 합계출산율은 인구 구성이 바뀌어 가임기 여성의 수가 줄어든다고 해서 늘어나지 않고, 출산을 해야 오름.
-------------------------------
출생률은 훨씬 간단함. 말 그대로 1년동안 인구 n명당 애가 몇명이나 태어났냐를 나타내주는 지표이기 때문임. 가임기 여성만이 분모가 되는 출산율과는 다르게 비가임기 여성과 남성까지 전체 인구가 분모가 됨. 통상 1000명당 출생률을 따짐. 이 때문에 출산율과는 다르게 해당 국가의 인구구조에 영향을 많이 받게 됨.
조출생률이라고도 부르며, 최근에는 출산율을 출생률이라 오표기하는 경우가 많아 검색할때는 조출생률이라 검색해서 찾아보는게 편함.
한국의 작년 출생률은 1000명당 4.5명. 즉, 인구 1000명당 4.5명의 아이가 태어났다는 이야기.
참고로 고령화가 한국보다 심한 일본의 경우 출산율은 2023년 기준 1.2명으로 0.72명인 한국과 차이가 심하지만, 조출생률은 1000명당 6.2명으로 한국과 차이가 상당히 좁아짐.
댓펌
=====
우리나라는 출산율, 출생률 전부 꼴찌임
근데 출생률로 말한다면, 출생률 1위 국가가 어딘지 생각해보면 됨
출생률 1위 국가는 아이를 많이 낳기도 하지만,
전쟁이나 의료 시스템으로 인해 빨리 죽는 나라이기도 함
대표적으로 소말리아 (44), 아프가니스탄(36) 이 있음
참고로 유럽 국가는 영국(10), 독일(10)이고, 우리나라는 5 임
그럼 우리가 본받아야 할 모델을 따져봤을 때, 출생률이 높은 소말리아나 아프가니스탄을 본받아야 할까?
====
당연히 아니지
저출산이 여성의 사회진출과 상관관계가 있지만 그렇다고해서 출산율을 높이기 위해서 여성의 사회진출을 제한하고 교육의 기회를 빼앗자고 하는것은 애초에 기본권인 평등권에 위배됨
미국이나 유럽은 출생률 통계 어떰?
조출생률 기준
미국은 2022년 기준 11.0
영국은 2021년 기준 10.3
독일은 2022년 기준 8.8(2021년에 9.6이었는데 뭔 일인지 1년만에 0.8이 떨어짐)
프랑스는 2023년 기준 9.7
넷 다 하락세가 진행되는 중이긴 함
그래서 출생률과 출산율 중 뭐가 더 중요하다고 생각함?
그건 잘 모르겠음. 언뜻 보면 출산율이 더 중요하다고 볼수도 있지 않을려나 싶다가도, 조출생률로 따지면 한국-일본 차이가 꽤 줄어드니까 한국은 망하긴 했어도 일본에 비해서 현 상황에선 생각만큼 크게 망한건 아니다라는 정도의 지표는 될수 있을듯
둘다 중요함 둘이 다른 지표를 보여주는거잖어.. Gdp랑 1인당 gdp의 관계랑 비슷함
출생률은 출생아수 지표를
출산율은 가임기 여성 1인당 지표를
본은 2005년에 출생아수 120만명이었는데 그때 출산율이 1.08 이였음. 근데 지금은 70만명대로 폭락했는데 오히려 출산율이 1.26 으로 오른 이유가 뭐임???…
출산율이 출생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반대는 성립하지 않음
https://brunch.co.kr/@nordic/109
삭제된 댓글 입니다.
@밤양강 식 자체는 가임기 모든 여자가 1명씩 출산하면 1+1+...+1 해서 35 되는 게 맞는듯?
흥미돋..
오 흥미돋
오 우리나라 둘 다 꼴찌인게 대박 ㅎㅎ
삭제된 댓글 입니다.
말 그대로 출산 행위 자체는 할아버지, 5살짜리 꼬마가 하는게 아니라 오로지 가임기 여성이 하는거니까 계산을 하려면 가임기여성'만' 필요해!
그래서 출산율이 여자를 기준으로 하는거라는 말도 맞는듯
출생률은 가임기 여성뿐만 아니라 인구로 계산하는거라 인구 모두에게 책임을 부여하는 말도 맞는 것 같아
여성주의적 사유로만 출산과 출생의 용어에 차이가 있던 게 아니라 데이터 집계 방식도 달라지는구나..!
저 공식 되게 희안하네
그럼 15~49 모든 여성이 1명씩 아이 낳으면 합계출산율 35되는거아냐…? 이게맞아…?
최종적으로 /n 해야되는거 아니야?
아니 그럼 출산율이 절대 1을 못 넘잖아 본문만 봐도 일본 합계출산율이 1.2인데
@반박충 1명 이상씩 낳으면 1넘지
(2+3+1+4+1+…+1)/35 이런식이면ㅇㅇ(n=연령그룹 수)
근데 저 공식대로라면 1명씩만 낳아도 출산율이 35;;;;;가 되잖아
@넘나싱나짱싱나 여시가 이해를 잘 못한 듯? 합계출산율은 인간이 평생 가질 자녀의 수를 예측한 지표라서 출산율이 35라는 건 한 여성이 평생 가질 자녀가 35명이라는 거야 인간이 아무리 다산해도 15명 이상 낳기 힘드니깐 불가능한 수치임; 합계출산율을 총 연령 그룹 수로 나눠서 1이 넘으려면 인간이 토끼 정도의 번식력을 가져야 할 듯
그리고 국가의 모든 가임기 여성이 1명+씩 낳는 건 국가 대재앙이야 저 식 대로라면 일본 출산율이 1.2라는 의미는 해당 년도 일본 인구가 2천만 이상 증폭했단 말이 돼
2.1이 가장 안정적으로 인구를 유지할 수 있는 출산율임
@반박충 앗 이걸 지금 봤네
그게 아니고 공식 자체가 좀 이상하다는 의미였어
저 공식대로라면 모든 나이대의 여성 1명이 아이를 1명씩 낳았을 때 결과값(즉 출산율)이 35가 된다고. 앞에 써메이션부호가 있잖아
예를 들어 15세부터 49세까지의 여성인구가 연령별 각 100명씩이고, 그들이 각자 아이를 1명씩 낳아.
그러면 f(x)/g(x)=100/100=1 임
이걸 저 공식에 대입해보면 출산율=f(15)/g(15)+f(16)/f(16)+.. f(49)/g(49) 의 식이 도출됨
근데 각 항 f/g=1이니까 (모든 여성이 각 1명씩 아이를 낳는다는 가정)
1+1+1+1+1+1... +1 = 총 35라는 이상한 숫자가 나옴
그래서 저 공식에 최종적을 /n을 해줘야 제대로 된 값이 나오지 않겠냐는거였어.
예를 들어 모든 여성이 각 1명의 아이를 낳을때 저 공식에 /n=/35 를 할 경우 합계출산율 1이라는 제대로 된 값이 나옴
합계출산율 자체에 대해서는 나도 이해를 하고 있는데 저 공식이 잘못 쓰인거 같다는 의미였어!
@넘나싱나짱싱나 음 여샤 근데 어떤 부분에서 공식이 이상하다는거야? 왜 35를 35로 나눠서 나온 1이 제대로 된 합계출산율이야?
여시말대로 sum(i=15 to i=49) {f(x_i)/g(x_i)}를 n=35로 나누면 f(x)/g(x)의 평균, 즉 연령별 출산율의 평균이라 합계출산율이랑 전혀 다른 개념인데....?
연도별 합계출산율은 어떤 가임기 여성이 해당 연도의 출산율 트렌드대로 완경까지 아이를 출산했을 경우 태어날 신생아 수의 합산치구,
여시 말대로 어떤 국가의 모든 가임기 여성이 1년에 1명씩 출산한다면 그 국가의 여성이 15세부터 49세까지의 가임기 동안 총 35명의 아이를 낳을 거라고 추산한 지표라 35가 옳은 값인데
글고 실제 통계를 보면(여기선 5년 단위로 묶였지만) f(x)/g(x) 최대값이 0.1을 좀체 안 넘는 걸 알 수 있어 연령별 출산율을 전부 합했을 때 2.05가 나오고
@반박충 그러니까 여시 설명을 내가 이해한게맞아??
예를들어 2024년에 어떤 국가의 모든 가임기 여성이 1명씩을 출산했다면 2024년의 합계출산율은 35가 맞다는 거지?? (이부분은 내가 진짜 이해가안되서 물어보는거임! 정말로 모든 여성이 한명의 아이를 낳는다면 합계출산율=35라는 값이 맞는건지)
@넘나싱나짱싱나 응응 맞아
※ 여성시대 인기글 알림 봇 v1.2.0
※ 연속 등극 시 최대 3회까지 기록됩니다.
※ 자세한 내용은 프로필 게시글을 참고해주세요.
✧⋄⋆⋅⋆⋄✧⋄⋆⋅⋆⋄✧⋄⋆⋅⋆⋄✧⋄⋆⋅⋆⋄✧
2024년 03월 14일(목) 11시 - 인기글 27위 🎉
삭제된 댓글 입니다.
그니까 아무리 15세부터 임신이 의학적으로 가능은 하다지만 저걸 사회정책 만드는 공식에서도 고려하는게 말이되냐고
아예 다른 통계방식이었구나 근데 출산율의 분모를 15세부터 넣으면 당연히 출산율이 낮아지는거 아닌가? 15세~20세 사이에 출산하는거 한국에서는 굉장히 드문일이잖아. 출산율이 높은국가는 조혼을 하는 국가일듯한데
아니 저 집단을 빼면 출산율이 낮아짐 출산율은 전 연령에 대한 평균이 아닌 연령별 평균 출생아 수의 합산이기 때문에 15~20세 사이에 1명만 낳아도 합계출산율이 올라감
그리고 국제적 표준은 15-44세가 맞아 한국에서 15-20세 출산이 즈물다고 해서 저 연령군을 임의로 제외시키면 다른 나라와 비교할 수 있는 지표가 안 나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