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년전 병풍산 가려 발왕산 넘어 가다가 매산지나 병풍산을 놓치고 계곡으로 내려간 데를 확실히 병풍산을 찾으러 반대로 간다.

진부에서 내려 윗쌀면이 라는 동네로 진입하여 바로 앞에 보이는 능선을 타고 약 300 고도를 올리면 884.6봉이다.

불두화인데 엄청 크고 줄기도 굵어서 마치 키큰나무인듯~착각하게 만드는

감자꽃이 만개해 장관이다.

흐릿한 급경사 능선을 치고 올라가다가...진부 동네를 되돌아본다. 왼쪽에 KTX역이 보인다.

884.6봉의 4등삼각점...아주 오래되어 부서지기 일보 직전

이동네의 꽃화훼재배단지에서 이정판을 설치

진부꽃농장에서 만든 병풍산 정상(약1000m)

병풍산에서 당겨본 발왕산정상 스키장 시설물

민백미꽃

숲은 조용하나 .... 실제로는 각종 파리떼와 진드기 등으로 간간이 확인이 필수이다.

매산(1238.1) 정상은 3번째 방문인듯~ 지도상 삼각점은 안보인다.

매산 정상부의 묵은 산불초소...지금은 조망이 없다.

노란장대

벌목지에서 보이는 대관령쪽 조망...여기가 유일하게 바람이 불어 시원하다.

예전엔 없던 걸로 기억되는 임도안부...다시 200m이상을 올려야~

되돌아본 내려온 1168봉 부근

올라와 찾은 1169.1봉의 삼각점

발왕재로 가서 다시 500이상을 올려 발왕산을 가야 하지만 낼 새벽에 가는 서락 산행으로 접고 북동지능선을 타고 내려간다.

뭔 버섯인지?

곧은골로 내려와 엄청 찬 계곡물에 대충 씻고 나오다가 횡계택시를 부른다.
첫댓글 매산정상엽산불초소가
헬기장공터였는데...
숲으로바뀌었네유~~~~^^
쉽게 가게 안되는 곳이지요...술꾼하고 자욱한 비안개속에서 병풍산 찾던 기억이 납니다.
강원산은 어디를 가도 깊고 좋지요. 병풍산쪽은 그중에서도 깊이가 더한 곳....회사에서 업무끝내고 KTX 타고 가면서 댓글....ㅎ
병풍산을 일부러 찾아가셧네요~~그런데 산경표에는 안나오는지~~~안보이네요.발왕산 근처일테네~~
찐득이는 시러 증말 시러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