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천 (南天)
학명: Nandina domestica Thunb.
이명: 남천죽(중) /영명: Nandina domestica, /원산지: 동남아, /꽃말 : 전화위복
분류: 쌍떡잎식물강 미나리아재비목 매자나무과 남천속 /분포: 아시아
서식: 석회암 지역 및 큰 나무그늘밑 /크기: 약 1.0m~3.0m
생약명: 南天竹子(남천죽자), 南天竹葉(남천죽엽), 南天竹梗(남천죽경), 南天竹根(남천죽근)
상록 관목.
높이는 3미터 정도이고, 잎은 딱딱하고 깃꼴 겹잎이다. 6~7월에 흰색의 작은 꽃이 피고, 가을에 둥근 열매가 빨갛게 익는다. 주로 관상용으로 심지만 줄기와 열매는 약용한다. 남천촉(南天燭) 또는 남천죽(南天竹)으로도 부른다.

잎은 호생하고 혁질이며 3회우상복엽으로서 길이 30-50cm이며 엽축에 마디가 있다. 소엽은 엽병이 없으며 타원상 피침형이고 점첨두, 예저이며 길이 3-10cm로 톱니가 없고 엽병 기부가 흔히 흑자색으로 되며 줄기를 감싼다. 겨울철에는 홍색으로 변한다.
열매는 장과로 구형이며 지름 8mm정도이고 10월에 붉은색으로 성숙한다. 다음해 2월에 익는 것도 있다.
꽃차례(花序) - 복산형화서(원추꽃차례)
꽃은 양성화로서 6-7월에 피고 가지 끝에서 나오는 길이 20-30cm의 원추화서에 달린다.꽃잎은 6매이고 희다. 꽃받침은 3수이고 다륜성으로 배열하며 화관은 백색이며 지름 6mm이고 밀선은 3-6개, 수술은 6개이며 꽃밥은 황색이고 세로로 터진다. 자방은 1개이며 암술대는 짧고 암술머리는 장상이다.
높이가 3m에 달하고 밑에서 줄기가 많이 갈라진다. 겨울철에 줄기가 붉게 변한다.

히말라야에서 일본에 이르는 동아시아 원산이며, 우리나라에서는 남쪽지방 또는 중부의 온실이나 집 안의 화분에 심고 있다.
키는 3m 정도로 곧게 자라며 줄기에서 가지가 많이 나오지는 않는다.

잎은 3장의 잔잎으로 이루어진 겹잎으로, 두꺼우며 광택이 나고 줄기 끝에 모여 난다. 처음에는 진한 녹색을 띠지만 가을이 되면 단풍이 들며, 잎자루는 진한 붉은색으로 줄기를 감싼다.


꽃은 하얀색으로 6~7월에 줄기 끝이나 잎겨드랑이에서 원추(圓錐)꽃차례를 이루며 무리지어 핀다.
6~7월에 줄기 끝에서 길이 20~30cm의 원추꽃차례에 자잘한 흰색 꽃이 달린다.

둥근 열매는 장과로 둥글며 10월에 붉은색으로 익는다. 가을에 붉게 드는 단풍과 겨울 내 달려 있는 붉은 열매가 아름다워 남부 지방에서 정원이나 공원에 관상수로 심어 기른다.
열매는 기침을 멎게 하는 데 효과가 있으며, 나무껍질과 뿌리껍질은 위장이나 눈에 생기는 병에 쓰인다.
늘푸른 떨기나무이다. 3m까지 자라며 추위에 약하다. 나무껍질은 회갈색으로 세로로 얕게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고 길이 30~50cm의 3회깃꼴겹잎이며 작은 잎은 길이 3~10cm에 타원 모양의 피침형으로 가죽질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생육환경
자연상태에서는 석회암지역에서 무성히 자라는 수종이다.
전남, 경남의 따뜻한 곳에서는 월동이 가능하나 중부지방은 불가능하다.
내음성이 강하여 큰 나무 그늘밑에서도 잘 자라며, 배수가 잘되고 비옥한 사질양토를 좋아한다. 비교적 각종 공해에 강하다.
광선: 음생 /내한성: 약함 /토양: 비옥 /수분: 보통

재배.번식 방법
이식성이 좋다.
물이 잘 빠지는 반그늘 흙에서 잘 자라고 번식은 주로 삽목(揷木)으로 하지만 접목도 한다. 뿌리가 깊게 내리지 않으며 나무에서 새순이 잘 나오지 않으므로 옮겨 심을 때 조심해야 하고 나무를 많이 잘라주면 안 된다.
결실기: 10월

정원수와 조경수로 적합하다. 종자는 새들의 좋은 먹이가 된다.
과실, 잎, 梗(경), 뿌리를 약용한다.
생약으로 열매를 쓰며 남천실이라고 한다. 도메스틴, 이소코리딘 등의 알칼로이드를 함유하고 있다. 백일해, 천식과 같은 병 때문에 생기는 기침을 잦게 하는 데 쓰고, 잎은 강장제로 쓴다.
⑴南天竹子(남천죽자)
①가을에 과실이 성숙하였을 때 또는 다음해 봄에 따서 햇볕에 말려서 충해를 입지 않도록 건조한 곳에 보관한다.
②성분 : Alkaloid가 함유되어 있으며 주된 것은 o-methyl domesticine이고 그 밖에 protopine, isocorydine, nandinine, domesticine emed을 함유하고 또 pelargonidin-3-xylosylglucoside, callistephin이 함유되어 있다.
③약효 : 止咳(지해), 淸肝(청간), 明目(명목)의 효능이 있다. 鎭海藥(진해약)으로서 斂肺(염폐), 慢性咳嗽(만성해수), 천식, 백일해, 말라리아, 下疳潰爛(하감궤란)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6-15g을 달여 복용한다. 또는 燒存性(소존성)으로 粉末(분말)하여 복용한다. <
외용> 짓찧어서 붙이거나 또는 燒存性(소존성)으로 분말하여 塗布(도포)한다.
⑵南天竹葉(남천죽엽)
①성분 : 미량의 magnoflorine(thalictrine)이 함유되어 있고 햇잎에는 비타민(100mg%)이 함유되어 있다.
②약효 : 感冒(감모), 백일해, 目赤腫痛(목적종통), 나력, 혈뇨, 소아의 疳疾(감질), 말라리아, 타박상을 치료한다.
③용법/용량 : 9-15g을 달여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붙이거나 煎液(전액)으로 씻는다.
⑶南天竹梗(남천죽경)
①성분 : 줄기에는 magnoflorine, berberine, jatrorrhizine, menisperine, domesticine, o-methyldomesticine, nandazurine, isoboldine이 함유되어 있다. Nandinine은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②약효 : 止咳定喘(지해정천)하고, 强壯興奮(강장흥분) 작용을 한다.
⑷南天竹根(남천죽근)
①9-10월에 뿌리를 채취한다.
②성분 : Alkaloid가 함유되어 있고 domesticine, o-methyldomesticine이 主(주)가 된다. 또 nandazurine, berberine, jateorrhizine이 함유되어 있다. Nandinine은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③약효 : 祛風(거풍), 淸熱(청열), 除濕(제습), 化痰(화담)의 효능이 있다. 風熱頭痛(풍열두통), 肺熱咳嗽(폐열해수), 濕熱黃疸(습열황달), 류머티성 痲痺痛(마비통), 급성결막염, 瘡瘍(창양), 나력, 상습성 구토, 瘡癬疥癩(창선개라), 좌골신경통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신선한 것 30-60g을 달여 복용한다. 또는 술에 담가 복용한다.
<외용> 煎液(전액)으로 환부를 씻거나 點眼(점안)한다.
인도에서 동아시아에 걸쳐 1종, 우리 나라에는 1종이 재식되어 있다. 맹아력이 좋다.
변종으로 열매가 황백색으로 익는 노랑남천(N. domestica var. leucocarpa)이 있다.
남천에 대해서 - 남천의 성분과 약리

남천(南天)은 매자나무과 Berberidaceae에 속하는 상록의 관목으로 높이는 1∼3m 내외인데 우리나라의 남부지역에 야생하거나 또는 관상용으로 식재(植栽)하고 있다.
잎은 가죽질이고 삼회우상복엽(三回羽狀複葉), 크기는 작고 장란형(長卵形)이거나 피침형이며 길이는 3∼ 10cm에 이르고 끝은 뾰족하다.
5∼6월에 흰색의 꽃이 피고 원추화서로 정생(頂生)한다. 열매를 맺는 시기는 10∼12월로 열매는 적색, 구형이다.
남천의 과실은 여느 식물이 낙엽, 낙과할 때 홀로 그 미려적색(美麗赤色)의 과실을 뽐내기 때문에 이 계절의 관상수로 상찬(賞讚)받는 것이다.
생약(生藥)
남천의 과실, 줄기, 뿌리를 다 약용하고 있다.
남천은 화학분류(化學分類)적인 견지에서 보면 매자나무과에 속하기 때문에 그 약용성분의 다양성이 기대된다.
생약으로는 남천실(南天實) Nandinae Fructus이 있는데 중국에서는 남천죽자(南天竹子)라 하고 별칭 천촉자(天燭子), 남죽자(南竹子), 홍파자(紅把子) 등으로 불리우고, 뿌리는 남천죽근(根), 줄기나 줄기껍질은 남천죽경(梗), 잎은 남천죽엽(葉)이라 해서 다 약용된다.
중국에서는 적남천(赤南天)이 상용되나 백남천 Nandina domestica ThunB. var. leucocarpa도 약용된다.
성분(成分)
성분은 알칼로이드가 주이고 lignan 유도체, biflavonoid 등이 들어 있을 뿐 아니라 알칼로이드에 속하지만 magnoflorin과 그 유도체가 있어 다각적인 응용의 추구가 요망된다. ·
남천실의 성분: 0-methyl domesticine(nantenine) isocorydine, protopine, Nandinine, Domesticine sinoacutine, magnoflorine 외에도 수종 알칼로이드가 함유되어 있다. ·
남천죽경의 성분: Domesticine, Nandinine Berberine, magnoflorine과 그의 styphnate, episysyringaresinol이 있고 그 외에도 수종의 알칼로이드가 있다.·
남천죽근의 성분 : Domesticine, Nantenine이 주축을 이루고 그밖에 수종의 식물염기가 들어있다. ·
남천죽엽의 성분: Nantenoside A,B. magnoflorine, biflavonoid인 amentoflavone 등이 함유된다.
약리(藥理)

줄기나 뿌리에는 Nandinine이 함유되어 있지 않아 이에 의한 약리작용은 기대하지 못하고 남천실에는 Nandinine과 Domesticine이 함유되어 있어 이에 의한 약리작용 을 지니고 있다.·
횡문근(橫紋筋)에 대한 약리: Nandinine과 Domesticine의 두 종류의 식물 염기는 횡문근에 대해서 직접적인 마비작용을 유기시키는데 이는 종전의 간접적인 작용설을 부정하기에 이르렀다.
한편 이들 식물염기는 호흡중추(呼吸中樞)에 대해서도 억제 또는 마비시키는 작용이 있다.·
평활근(平滑筋)에 대한 작용: Nandinine은 동물실험에서 소량에서는 흥분, 다량에서는 억제한다고 하였다.·
중추신경에 대한 작용: Domesticine, Nandenine은 morphine like action(화학적 구조의 유사성)이 있다.
또 온혈동물의 심장기능에 대해서 억제 효과가 있고 응용 또한 다양할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진해제(鎭咳劑)로 개발되어 있으나 기타 진경 진통제로서의 기능도 기대된다.
동양의학(東洋醫學)적 응용 : 폐를 다스리며 청간(淸肝)의 효과가 있다 하였다. 해소·천식·백일해·간실증(肝實症)에 응용된다. 외감(外感)에 의한 풍사에서 오는 기침에는 잘 듣지 않는다고 하였으나 그 실체는 과학적으로 해명되어야 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