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10일(목)_가을 작물 재배법_박연희 선생님
ㅇ 농사용어 보충 설명
파종 :
점뿌림 - 씨앗 지름 약 2mm 이상 (예: 완두콩, 강낭콩)
줄뿌림 - 씨앗 지름 약 1-2mm (예: 잎채소류, 브로콜리, 배추)
흩어뿌림 - 씨앗 지름 약 1mm 미만 (예: 냉이)
휴면 : 알뿌리 씨앗 등이 일정한 조건이 되어야 발아하는 현상 (예: 딸기는 겨울 꼭 지내야 한다. 알뿌리류도 휴면)
견종법 : 헛골(씨앗 뿌리려고 두둑에 낸 골)에 씨앗 파종 (예: 감자. 헛골 좌우 무너뜨려 1차 북주기, 2차 웃거름과 북주기 하면서 두둑 만들기)
농종법 : 두둑에 씨앗 파종 (예: 무. 심는 방법 여러가지 있다. 고랑에 손가락 5개 펼쳐서 쿡 찍어서 한 알 씩 심으면 솎는 수고 던다.)
연작 - 완두콩은 연작 싫어하는 대표 작물
간작 - 고추 사이 상추 심어 기른다
밑거름 - 1. 축분 + 커피찌꺼기(탄소질 보충) / 2. 붕소(평당 한 숟가락. 흙 속 칼슘 붙잡는다.)
웃거름 - 지금부터 모아놓읍시다.
1.난각칼슘
2L 한 통 만들어두면 무, 배추, 시금치에 이용.
배추심기 3-4일 전 땅에 한 번 주자.
2. 오줌액비
2L 페트병으로 모아서 다 차면 봉입. 성분분석 해봤더니 1~6개월 사이 숙성한 것이 가장 좋다.
5배 희석해서 준다. 비오기 전 2배 희석해서 주면 편하다.
시금치는 질소비료 과하면 안 된다. 나머지 작물에는 충분히 줘도 된다.
ㅇ 절기
입춘 : 농사는 입춘부터 시작
우수, 경칩 : 씨앗 준비
청명 : 파종(청명에는 부지깽이를 꽂아도 싹이 난다)
곡우 : 모판 만든다.
입하 : 모든 열매 채소 심어도 된다. 무엇이나 부쩍부쩍 자라는 어린이날 즈음.
망종 : 소만~망종 사이 까끄라기(곡식) 종류 모종을 낸다.
소만~망종 : 보리, 밀 수확한다. 모종내랴 수확하랴 고사리 손까지 빌린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바쁘다.
하지 : 중요하다. 장마 전 감자를 수확한다.
입추 : 모든 계절의 변화는 하늘에서부터 시작되어 내려온다. 우리가 가을을 느끼는 것은 추분
상강 : 이슬이 얼어 서리가 내림. 도시농부에게 가장 중요하다. 고구마, 무, 열매채소 싹 수확해야 한다.
ㅇ 작물별 재배법 - 봄가을 작물 개괄
봄 작물> 가지과 - 감자, 토마토, 감자, 고추
충 : 28점 무당벌레
병 : 무름병, 탄저병
가을 작물> 백합과 - 마늘, 양파, 쪽파
십자화과(배추과) - 배추류(얼갈이, 구억배추, 개성배추, 양배추, 꽃양배추), 무류(열무, 무, 알타리무, 적환무), 브로콜리, 청경채, 콜리플라워
충 : 진딧물, 좁은잎가슴벌레, 흰나비애벌레, 달팽이
ㅇㅇ 작물별 재배법 - 각론 ㅇㅇ
ㅇ 배추
지금 심으면 8월 말에 이식하기 좋게 큰다.
충피해 덜기
1. 내 손으로 방제
2. 보시용 남기기. 난황유, 막걸리를 아직 피해 없는 데 뿌린다. 마요네즈는 효과 없다. 진딧물은 3일에 한번씩 번식하는 속도 못 따라간다.
3. 개미 없애기. 개미가 진딧물 분비물 먹고 7점 무당벌레 막아준다. 사람도 물리면 안된다.
요즘 약올라 매운 생고추 갈아서 개미굴에 넣는다. 급하면 반 잘라서 개미굴에 박는다. 개미굴이 뿌리 숨구멍 되어서 아주 없으면 안 좋다.
결구 잘 만드는 요령
충분한 재식 간격 두어야 한다.
해 덜보면 안된다. 영양도 충분해야 한다.
잎이 14장은 되어야 한다. 무른 잎 1-2장 까지만 따자.
묶지 않아도 찬 바람 불기 시작하면 겨울을 나기 위해 결구한다. 안 묶어야 통풍 잘 되고 맛도 좋다.
칼슘결핍되면 잎이 꼬불꼬불 마른다. 일단 발생하면 붕소, 난각칼슘 추비로 해결 안 된다.
병 피해
암이 있다. 전염성도 있고 바이러스가 토양에 남는다.
검은 점은 바이러스. 배추가 저항하느라 쓴 맛 난다.
봄동 - 뿌리 약간 위로 베어서 수확 후 두껍게 덮어서 겨울난다. 2월 말 3월 초 걷으면 옆으로 벌어져서 잎이 난 것이 봄동이다.
채종 - 겨울난 후 4월에 유채꽃 피듯 꽃이 피는데 5월 말 6월 초에 채종한다. 육종한 것은 씨앗 받으면 이듬해 무+배추 같은 것이 나오고 맛 없다.
구억배추는 제주 구억리에서 온 배추이다. 개성배추(서울배추)는 섬유질 억세서 맛 덜하고 절여지지 않는다. 샐러드용이 낫다. 뿌리가 단 맛이 난다.
ㅇ 무
집중 관리 기간 - 봄무는 5월 5일부터 6월 중순까지, 가을무는 9월 말부터 10월 초순까지
장마, 태풍 때 비 많이 튀고 잎 찢어지고 하면서 바이러스 피해
병충해 관리 필요하다. 유충 크는 시기 9월~10월초까지. 그 전에 8월 말부터 하자.
예쁜 모양 무 얻으려면 - 깊이갈이 한 땅 필요(당근도 마찬가지), 딱딱하거나 돌 있거나 모종 심을 때 건드려도 모양이 이상해진다.
채종 위해 잎 잘라서 멀칭해주면 겨울 난다. 먹는 부분은 줄기인데 물기가 많아서 겨울에 얼어버려 중부지방은 채종 어렵다.
토종 당근은 무와 당근의 중간맛이 난다.
적환무(래디쉬, 20일무)는 열무김치 담그면 좋다. 텃밭에서 수확할 때 아이들이 좋아한다.
ㅇ 알타리 - 무 심을 때 같이 심으면 무만큼 커지고 안에 심 생긴다. 늦게 심는다.
ㅇ 갓
9월 초순보다는 중순경(10-15일 사이) 심으면 좋겠다. 45일~60일 사이로 재배. 10월 말 11월 초 수확. 수확 늦으면 꽃대 올라와 질겨진다.
약간의 해가림 하면 웃자라고 꽃대 안 올린다. 옥수수 옆에 심어도 좋겠다.
떡잎부터 벌레가 먹는다. 단 맛 있어 벌레 제일 많다.
한랭사 설치. 1.5m 마다 활대 설치한다. 가을에는 한 번만 걷어서 풀 매면 된다.
ㅇ 쪽파
백합과. 섭씨 0-5도 아래로 저온 휴면 또는 섭씨 20-25도 고온휴면이 꼭 있어야 한다.
실내에서도 잘 크는 효자상품. 추분 전까지 심어도 괜찮다.
심는 법 : 10-15개 뭉쳐있는 알뿌리를 쪼갠다. 가을에 심어 김장 때 수확한다. 몇 뿌리 남겨서 이듬해 6월 수확한다. 양파망 넣어서 고온휴면하고 가을에 심는다.
고자리파리 유충은 토양소독으로 방제한다.
관행 파농사는 심기 전 토양소독만 3회 한다. 화학비료, 제초제, 농약 세트로 많이 사용한다.
ㅇ 시금치
알칼리 토양을 좋아한다.
식초물과 조개껍질을 1:1로 섞어 토양에 뿌린다. 조개껍질은 차 바퀴로 왔다갔다 3번 해서 부숴서 쓴다.
비 많이 맞히면 안 된다. 빗물은 신 김치 정도의 산도이다.
가을 수확은 베어서 한다. 이듬해 봄엔 더 맛있다.
떡잎이 외떡잎 모양이라 뽑지 않도록 주의한다.
ㅇ 상추
상추 꽃대 식용 가능. 장아찌 담가 1주일 냉장고 숙성해서 먹으면 맛있다.
ㅇ 양파
심는 시기 - 마늘보다 10-15일(빠르면 한 달) 일찍 심는다. 알타리 뽑고 양파 심으면 된다.
적양파는 저장성 좋고 비싸다. 단 맛이 있어 맛있다.
양파 위 잎도 먹는다. 단 맛 나는 파 같다.
ㅇ 마늘
효자 작물. 이듬해도 밭을 쓸 수 있다면 꼭 심으세요. 땅 얼기 전에만 심으면 된다.
우리동네 마늘을 심어야 한다. 김포는 한지형 마늘 심어야 한다.
백합과. 저온/고온 휴면 다 해야 한다. 장터에서 씨마늘을 사야한다. 더 비싸다.
주아->인편->씨마늘로 키우는 데 2년 걸린다.
ㅇ 기타 작물
딸기 - 지금 심어야 내년에 먹는다. 벌레, 쥐도 좋아한다. 실내 스티로폼 박스에서 키워도 된다. 주위로 잘 퍼져나가서 상자텃밭을 추천한다.
보리 - 녹비작물. 열매 맺기 전에 갈아엎는데 수염뿌리라 밭 갈기 어렵다.
서리태 - 순지르기 안 하면 너무 커져서 열매 안 맺는다. 동부콩, 병아리콩, 콩나물콩, 쥐눈이콩은 순지르기. 강낭콩류와 호랑이콩은 순지르기 안한다.
고구마 - 9월 초에 고구마 순 지르기 해야 들어요. 줄기 뉘어서 키워야 캐기가 좋다.
호박고구마 - 물 너무 좋아한다. 깊이가 깊다. 초반 물 관리 어렵다. 맛 제일 좋고 저장성 안 좋다.
황금고구마 - 호박고구마와 밤고구마 물고구마 육종한 것. 적당히 맛있고 저장성도 좋다.
밤고구마 - 제일 기르기 쉽다. 단맛은 덜하다. 저장성이 좋다.
물고구마 - 저장성이 좋지 않다.
ㅇ 텃밭 설계
1. 방위 - 가을 작물은 키 별로 크지 않아 그늘 고려 덜 해도 된다.
2. 골과 두둑 구분 - 봄보다 두둑 낮고 넓게 만든다. 골 줄이자.
3. 식재 작물 선택
ㅇ 지렁이를 키워봅시다
강사님 댁에는 강의실 책상 반 만한 화분이 4개 있다.
화분에 흙을 채우고 흙을 꽉 쥐었을 때 물 1-2방울 똑똑 떨어질 만큼 물을 준다. 수돗물을 주면 개체 수가 줄어든다. 빗물, 삼다수 좋아한다.
지렁이가 평소에는 밖으로 나오지 않는다. 안 환경이 안 좋거나, 흙이 마르거나, 비가 들이치면 나온다.
지렁이는 미네랄, 물, 독성에 무척 예민하다. 과일 껍질 코팅제나 농약 있는 부분은 안먹는다. 지렁이가 어느 두께로 자몽 껍질 남기는지 보고 따라서 먹을 정도. 씨는 독성 있어 안 먹는다.
음식물 쓰레기 처리 기능이 무척 좋다. 수박 껍질 3일만에 분해. 생산하는 비옥한 흙은 비료보다 좋다.
ㅇ 새싹채소를 키워봅시다
브로콜리, 청경채, 무순
일회용 큰 커피컵에 흙 9부 채우고 밥숟갈 하나 정도 씨앗 뿌린다. 흙 3꼬집 뿌려서 복토한다.
물 자작히 붓는다. 삼다수가 아닌 생수나 정수기 물은 미네랄이 없어 안 좋다.
3일이면 발아하여 1주일 후 수확한다.
베란다는 창문을 열어 통풍이 되게 한다.
햇빛 잘 드는 곳은 진한 색깔 건강한 맛, 어두우면 콩나물처럼 노랑색이다. 작아도 그 작물의 맛이 난다.
ㅇ 텃밭 농부 주의 사항
1. 시기와 때를 지키자
2. 꼭 줄뿌림, 점뿌림 한다.
3. 욕심을 버리자.
4. 소독된 씨앗은 파종시 장갑 착용, 파종 후 손세척(아이들 파종 후 입에 대지 않기)
5. 소독된 씨앗 중 잎채소 수확은 본잎이 5장 나온 후 하자.
6. 남은 씨앗은 이웃과 나눔하고 냉장보관하자.(씨앗이 무게 대비 금보다 비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