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https://www.fmkorea.com/6826612873
https://www.fmkorea.com/6826612873
다들 ESG 경영 한번쯤 들어봤을거임
ESG 에 대한 개념은 최근 기업들 사이에서 굉장히 핫했던 개념이고
1경이 넘는 돈을 움직이는 세계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 CEO 래리핑크가
"ESG 경영실적을 공개하지 않으면 투자하지 않겠다"
(관련글 : [흥미돋]세계를 움직이는 월스트리트의 제왕)
한만큼
최근 들어서 모두가 ESG 경영을 주제로
돈이 왔다갔다 했는데
이런 것들이 최근 흔들리고 있음.
ESG선두였던 블랙록이
이 단어 사용 중단하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최근 미국 기업들이 ESG를 ‘더러운 구호’ 취급을 하면서
‘책임 경영(responsible business)’이라는 말로 이를 대체하려고 한다고 보도.
컨설팅회사 테네오가 지난해 12월 실시한 조사에서 약 8%의 최고경영자(CEO)가 ESG 프로그램을 축소하고 있고,
나머지 기업인 역시 ESG 변경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금융권에서도 ESG가 점점 사라지는중.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연간 100개 이상 출시되던 ESG 기업 투자 펀드가 급감.
지난해 상반기에 55개 출시됐던 ESG 펀드가 하반기에는 단 6개 출시되는 데 그침.
특히 ESG 중 S (SOCIAL) 부문이 큰 공격을 받고 있음.
바로 S의 구체화된 개념중 하나가 DEI인데
다양성(DIVERSITY)/ 형평성(EQUITY)/ 포용성(INCLUSION)의 약자임.
DEI가 본격적으로 대두된게 바로 2020년에 있었던
조지플로이드 사건 이후 BLM 운동이 광풍처럼 덮쳤던 때
이 사건을 계기로
미국 전역 대학/ 기업/ 정부 등에서 DEI 에 입각한 행동들을 했음
하지만 이는 지금 큰 갈림길에 서게 됨
바로 최근에 있었던 소수자 우대 정책인 어퍼머티브 액션이
대법원 판결 위헌 결정을 받으면서
큰 변곡점에 도달
위헌 당시 도널드 트럼프는
“미국을 위해 훌륭한 날”
“우리는 완전히 능력에 기반을 둔 제도로 돌아가는 것이며 이게 옳은 길”
이라며 환영하고
다른 공화당, 보수 정치인들도 이에 환영함.
대학 입학에 있어서만 변화를 가져오는게 아니라
위헌 이후 기업들이 DEI정책에 대한 언급 수 자체가
급격히 줄고
PwC, 화이자, 모리슨포스터 등 내로라하는
미국 굴지의 기업들이 흑인 우대제도를 폐지하거나 대폭 수정에 나섬
정치 부문에서도 변화가 나타남
유타주는 공공기관이나 공립 교육기관에서 다양성과 형평성 포용성을 추구하는 프로그램이나 계획이 금지되고
또한 특정 인종이나 성별의 학생에게 초점을 맞추는 지원 서비스도 할 수 없게됨.
유타주를 비롯한 보수성향이 강하고 백인들이 많은 8개 주에서도 이런 움직임들이 거세지는중.
전세계 금융을 움직이는 월가에도 이런 움직임이 시작됐는데
지금 대표 주자급으로 있는 사람이 바로
'리틀 버핏' 이라 불리는
<빌 에크먼>
“자유시장경제 시스템을 이끄는 강력한 힘은 능력주의인데,
ESG 그 중에서도 DEI를 향한 경주가 능력주의 가치를 훼손하고 우리를 숨막히게 한다”
“일부 계층의 DEI에 대한 과도한 집착과
정치인들의 지나친 선전이 오히려 능력있는 사람들에 대한 역차별을 낳고 있다”
“마틴 루터 킹 주니어도 DEI에 반대할 것”
라며 DEI 정책을 강력히 비판 중.
하지만 그는 오랜 민주당 지지자이면서 오바마 , 바이든을 공개 지지한 사람임.
ESG도 칭찬했던 사람인데 왜 이렇게 바뀌었는지는
바로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이 계기
빌 에크먼도 월가의 유대인 중 한명이며 부인 또한 유대인임.
이스라엘 하마스 전쟁이 터지고
그의 모교 하버드에선 친팔레스타인 시위가 이어지고
반유대주의 운동이 확산
이에 빌 에크먼은
하마스 지지한 사람들 이름까라, 취업 블랙리스트 올릴거다 라며 대놓고 경고함
그러자 학생들 쫄튀...
하지만 빌 에크먼은 끝장을 보겠단 생각을 함.
일단 빌의 메인타겟은
소위 반유대운동을 방치하는 아이비리그 대학 총장들
(*유펜총장)
빌 에크먼과 유대 자본가들 후원금 압박으로
아이비리그 총장 , 유펜 대학교 총장을 사퇴시키고
그의 모교 하버드 총장 '게이' 한테 사퇴요구.
미 하원 청문회에서 ‘유대인을 학살하자’고
과격한 주장을 펼친 일부 대학생들의 발언이 ‘학칙 위반인가’라는
질문에 대해 이들이 “상황에 따라 결정할 문제”라고 즉답을 피한 것을 용납할 수 없었음
빌 에크먼은
“DEI 운동의 위선이 드러났다. 능력이 아니라 인종에 기반한 교육의 폐해다.
반유대주의의 근본적인 원인이기도 하다”
라며 총장들 끈질기게 패기 시작함.
그리고 매년 수천만달러를 모교에 기부하는 것을 안하기로 하고
다른 유대인 동지들과 함께 대학 기부금 끊어버림
그렇게 각잡고 패니까
2024년 1월 3일, 못 버티고
결국 하버드 역사상 초단기 퇴진함.
하지만 아직 한 발 남았음,,,,
하버드 총장 사퇴시킨날
아이비리그 총장 청문회 3인방 중 마지막
MIT 총장 저격하는 트윗 올림
"샐리는?"
(MIT총장 샐리)
첫댓글 개못됐다 저 유대인놈 헐 진짜 악랄하네
와.. 진짜 유대인 파워 쎄다ㅠ
그니까 비판하는 합리적 이유가 있는게 아니라 유대인 기분이 상해서라는거잖아 어이가 없네…미국도 거꾸로 가고 있구나
와 진짜 유대인 파워 미쳤네..
돈으로 휘두르네. 역시 유대인다움!
유대인에 대한 편견 생기게 하네..
유대인들 미쳤다 진짜..
유대인…여러모로 참 대단하네
와 돈으로 악랄하게 사네
미국 내에서 지금 빌 애크만 저 ㅈㄹ 하는 거 비판 여론 없어? 여론 세면 아무리 돈 많아도 멈추지 않나? 왜 계속 저 짓거리 하는 겨
와 이게 무슨일이야.. 유대인들 진짜..
역행하네....돈으로 나찌짓 하고 다니노
인종뿐만아니라 젠더또한 논란이 되고있음 미국은 지원시 본인의 젠더를 체크하게하는데 여기서 본인이 남자인데 여자를 체크하는 경우 즉 트렌스젠더랑 일하기 꺼려함
일할때 본인을 어떻게부르는지에 너무신경쓰고 일에집중못하는 경향이 많이보여져서 사람뽑는 입장에선 싫어하더라
미국이 딱 저런 짓 하잖아 완전 미국 속의 미국 아닌가 ㅋ
사다리 걷어차겠다 이거네…
미쳤다
백래시 오지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