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大德慈藏(대덕자장) : 대덕(大德) 자장(慈藏)은
金氏(금씨) : 김씨(金氏)이니
本辰韓眞骨(본신한진골) : 본래 진한(辰韓)의 진골(眞骨)
蘇判茂林之子(소판무림지자) : 소판무림(茂林)의 아들이다.
(三級爵名(삼급작명) : (蘇判; 三級의 벼슬 이름) )
其父歷官淸要(기부력관청요) : 그의 아버지는 맑은 요직을 지냈으나
絶無後胤(절무후윤) : 뒤를 계승할 아들이 없으므로
乃歸心三寶(내귀심삼보) : 삼보(三寶)에 마음을 돌려
造于千部觀音(조우천부관음) : 천부관음(千部觀音)에게 나아가
希生一息(희생일식) : 아들 하나 낳기를 바라고
祝曰(축왈) : 이렇게 빌었다.
若生男子(야생남자) : "만일 아들을 낳게 되면
捨作法海津梁(사작법해진량) : 그 아이를 내놓아서 법해(法海)의 진량(津梁)으로 삼겠습니다."
母忽夢星墜入懷(모홀몽성추입회) : 갑자기 그 어머니의 꿈에 별 하나가 떨어져서 품 안으로 들어오더니
因有娠(인유신) : 이내 태기가 있어서
及誕(급탄) : 아이 하나를 낳았는데
與釋尊同日(여석존동일) : 석존(釋尊)과 같은 날이므로
名善宗郎(명선종낭) : 이름을 선종랑(善宗郞)이라 했다.
神志澄睿(신지징예) : 그는 정신과 뜻이 맑고 슬기로웠으며
文思日贍(문사일섬) : 문사(文思)가 날로 풍부하고
而無染世趣(이무염세취) : 속세의 취미에 물들지 않았다.
早喪二親(조상이친) : 일찍이 두 부모를 여의고
轉厭塵譁(전염진화) : 속세의 시끄러움을 싫어해서
捐妻息(연처식) : 처자를 버리고,
捨田園爲元寧寺(사전원위원녕사) : 자기의 전원(田園)을 내어 원녕사(元寧寺)를 삼았다.
獨處幽險(독처유험) : 혼자서 그윽하고 험한 곳에 거처하면서
不避狼虎(부피낭호) : 이리나 범도 피하지 않았다.
修枯骨觀(수고골관) : 고골관(枯骨觀)을 닦는데
微或倦弊(미혹권폐) : 조금 피곤한 일이 있으면
乃作小室(내작소실) : 작은 집을 지어서
周障荊棘(주장형극) : 가시덤불로 둘러막고,
裸坐其中(나좌기중) : 그 속에 발가벗고 앉아서 조
動輒箴剌(동첩잠랄) : 금만 움직이면 가시에 찔리도록 했으며,
頭懸在梁(두현재량) : 머리는 들보에 매달아
以袪昏暝(이거혼명) : 어두운 정신이 없어지게 했다.
適台輔有闕(적태보유궐) : 때마침 조정에 재상 자리가 비어 있어서
門閥當議(문벌당의) :자장이 문벌(門閥) 때문에 물망(物望)에 올라
累徵不赴(누징부부) : 여러 번 불렀지만 나가지 않으니
王乃勑曰(왕내래왈) : 왕이 칙명(勅命)을 내렸다.
不就斬之(부취참지) : "만일 나오지 않으면 목을 베겠다."
藏聞之曰(장문지왈) : 자장이 듣고 말했다.
吾寧一日持戒而死(오녕일일지계이사) : "내가 차라리 하루 동안 계율(戒律)을 지키다가 죽을지언정,
不願百年破戒而生(부원백년파계이생) : 100년 동안 계율을 어기고 사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
事聞(사문) : 이 말을 들은
上許令出家(상허령출가) : 왕은 그가 중이 되는 것을 허락했다.
乃深隱岩叢(내심은암총) : 자장이 바위 사이에 깊이 숨어서 사니
粮粒不恤(량립부휼) : 양식 한 알 돌봐 주는 사람이 없었다.
時有異禽(시유리금) : 이때 이상한 새가
含菓來供(함과내공) : 과일을 물어다 바쳐서
就手而喰(취수이식) : 이것을 손으로 받아 먹었더니
俄夢天人來授五戒(아몽천인내수오계) : 이윽고 꿈에 천인(天人)이 와서 오계(五戒)를 주었다.
方始出谷(방시출곡) : 이에 자장이 비로소 골짜기에서 나오니
鄕邑士女(향읍사녀) : 향읍(鄕邑)의 남녀가
爭來受戒(쟁내수계) : 다투어 와서 계(戒)를 받았다.
藏自嘆邊生(장자탄변생) : 자장은 변방 나라에 태어난 것을 스스로 탄식하고
西希大化(서희대화) : 중국으로 가서 대화(大化)를 구했다.
以仁平三年丙申歲(이인평삼년병신세) : 인평(仁平) 3년 병신에
(卽貞觀十年也(즉정관십년야) : (丙申; 636, 곧 貞觀 10년임))
受勑(수래) : 왕명(王命)을 받아
與門人僧實等十餘輩(여문인승실등십여배) : 제자 실(實) 등 중 10여 명과 더불어
西入唐(서입당) : 서쪽 당(唐)나라로 들어가서
謁淸涼山(알청량산) : 청량산(淸凉山)에 가서 성인(聖人)을 뵈었다.
山有曼殊大聖塑相(산유만수대성소상) : 이 산에는 만수대성(曼殊大聖)의 소상(塑像)이 있는데
彼國相傳云(피국상전운) : 그 나라 사람들이 서로 전해 말했다.
帝釋天將工來彫也(제석천장공내조야) : "제석천(帝釋天)이 공인(工人)을 데리고 와서 조각해 만든 것이다."
藏於像前禱祈冥感(장어상전도기명감) : 자장은 소상 앞에서 기도하고 명상(冥想)하니,
夢像摩頂授梵偈(몽상마정수범게) : 꿈에 소상이 그의 이마를 만지면서 범어(梵語)로 된 게(偈)를 주었는데
覺而未解(각이미해) : 깨어 생각하니 알 수가 없었다.
及旦有異僧來釋云(급단유리승내석운) : 이튿날 아침 이상한 중이 오더니 이것을 해석하여 주고또 말하기를,
(巳出皇龍塔篇(사출황룡탑편) : (이 이야기는 이미 皇龍寺 탑편에 나와 있다) )
又曰雖學萬敎(우왈수학만교) : "비록 만 가지 가르침을 배운다 해도
未有過此(미유과차) : 이보다 더 나은 것은 없다."하고는
又以袈裟舍利等付之而滅(우이가사사리등부지이멸) : 가사(袈裟)와 사리(舍利) 등을 주고 사라졌다
(藏公初匿之(장공초닉지) : (자장은 처음에 이것을 숨겼다
故唐僧傳不載(고당승전부재) : 그래서 <당승전唐僧傳>에는 기록되지 않았다).)
藏知已蒙聖莂(장지이몽성별) : 자장은 자기가 이미 성별)을 받은 것을 알고
乃下北臺(내하배대) : 북대(北臺)에서 내려와
抵太和池(저태화지) : 태화지(太和池)에 이르러
入京師(입경사) : 당나라 서울에 들어가니
太宗勅使慰撫(태종칙사위무) : 태종(太宗)이 칙사(勅使)를 보내어 그를 위무(慰撫)하고
安置勝光別院(안치승광별원) : 승광별원(勝光別院)에 거처하도록 했다.
寵賜頗厚(총사파후) : 태종의 은총과 내린 물건이 매우 많았으나
藏嫌其繁(장혐기번) : 자장은 그 번거로움을 꺼려서
擁啓表入終南雲際寺之東崿(옹계표입종남운제사지동악) : 표문(表文)을 올리고 종남산(終南山) 운제사(雲際寺) 동쪽 절벽에 들어가서
架嵓爲室(가암위실) : 바위에 나무를 걸쳐 방을 만들고
居三年(거삼년) : 3년 동안을 살면서
人神受戒(인신수계) : 사람과 신들이 계를 받아
靈應日錯(령응일착) : 영험이 날로 많았는데,
辭煩不載(사번부재) : 말이 번거로워서 여기에는 싣지 않는다.
旣而再入京(기이재입경) : 이윽고 다시 서울로 들어오자
又蒙勅慰(우몽칙위) : 또 칙사를 보내 위무(慰撫)하고
賜絹二百疋(사견이백필) : 비단 200필을 내려서
用資衣費(용자의비) : 의복의 비용으로 쓰게 했다.
貞觀十七年癸卯(정관십칠년계묘) : 정관(貞觀) 17년 계유(癸酉; 643)에
本國善德王上表乞還(본국선덕왕상표걸환) : 신라 선덕왕(宣德王)이 표문을 올려 자장을 돌려보내 주기를 청하니
詔許引入宮(조허인입궁) : 태종은 이를 허락하고 그를 궁중으로 불러들여
賜絹一領(사견일령) : 비단 1령(領)과
雜綵五百端(잡채오백단) : 잡채(雜綵) 500필을 하사했으며,
東宮亦賜二百端(동궁역사이백단) : 또 동궁(東宮)도 비단 200필을 내려 주고
又多禮貺(우다례황) : 그 밖에 예물로 준 물건도 많았다.
藏以本朝經像未充(장이본조경상미충) : 자장은 본국에 아직 불경(佛經)과 불상(佛像)이 구비되지 못했으므로
乞齎藏經一部(걸재장경일부) : 대장경(大藏經) 1부(部)와
洎諸幡幢花蓋(계제번당화개) : 여러 가지 번당(幡幢)·화개(花蓋) 등
堪爲福利者皆載之(감위복리자개재지) : 복리(福利)가 될 만한 것을 청해서 모두 싣고 돌아왔다.
旣至(기지) : 그가 본국에 돌아오자
洎擧國欣迎(계거국흔영) : 온 나라가 그를 환영하고
命住芬皇寺(명주분황사) : 왕은 그를 분황사에 있게 하니,
(唐傳作王芬(당전작왕분) : (芬皇寺; <당전唐傳>에서는 王芬寺라고 했다))
給侍稠渥(급시조악) : 물건과 시위(侍衛)는 조밀하고도 넉넉했다.
一夏請至宮中(일하청지궁중) : 어느 해 여름에 왕이 궁중으로 청하여
講大乘論(강대승론) : <대승론(大乘論)>을 강(講)하게 하고
又於皇龍寺(우어황룡사) : 또 황룡사(黃龍寺)에서
演菩薩戒本七日七夜(연보살계본칠일칠야) : 보살계본(菩薩戒本)을 7일 밤낮 동안 강연하게 하니,
天降甘澍(천강감주) : 하늘에서는 단비가 내리고
雲霧暗靄(운무암애) : 구름과 안개가 자욱하게 끼어
覆所講堂(복소강당) : 강당을 덮었다.
四衆咸服其異(사중함복기리) : 이것을 보고 사중(四衆)이 모두 그의 신기함을 탄복했다.
朝廷議曰(조정의왈) : 이에 조정에서 의론하기를,
佛敎東漸(불교동점) : "불교가 우리 동방에 번져서
雖百千齡(수백천령) : 비록 오랜 세월이 지났지만
其於住持修奉(기어주지수봉) : 그 주지(住持)를 수봉(修奉)하는
軌儀闕如也(궤의궐여야) : 규범(規範)이 없으니
非夫綱理(비부강리) : 이것을 통괄해서 다스리지 않고는
無以肅淸(무이숙청) : 바로잡을 수가 없다."하고
啓勅藏爲大國統(계칙장위대국통) : 왕이 자장을 대국통(大國統)으로 삼아
凡僧尼一切規猷(범승니일절규유) : 중들의 모든 규범을
總委僧統主之(총위승통주지) : 승통(僧統)에게 위임하여 주장하도록 했다
(按北齊天寶中(안배제천보중) : (상고해 보건대, 북제北齊의 천보天寶 연간에는
國置十統(국치십통) : 전국全國에 10통統을 두었는데,
有司卷宜甄異之(유사권의견리지) : 유사가 아뢰기를, "마땅히 직위職位를 분별해야 할 것입니다"하여
於是宣帝以法上法師爲大統(어시선제이법상법사위대통) : 이에 宣文帝는 法上法師로 대통大統을 삼고
餘爲通統(여위통통) : 나머지는 通統을 삼았다.
又梁陳之間(우량진지간) : 또 梁·陳의 시대에는
有國統(유국통) : 國統
州統(주통) : 州統·
國都(국도) : 國都
州都(주도) : 州都
僧都(승도) : 僧都
僧正(승정) : 僧正
都維乃等名(도유내등명) : 都維乃 등 이름이 있었으니
總屬昭玄曹(총속소현조) : 모두 昭玄曺에 소속되었다.
曹卽領僧尼官名(조즉령승니관명) : 昭玄曺는 僧尼를 거느리는 官名이다.
唐初又有十大德之盛(당초우유십대덕지성) : 당나라 초기에는 또 10대덕의 성함이 있었다.
新羅眞興王十一年庚午(신나진흥왕십일년경오) : 신라 진흥왕 11년 庚午에
以安藏法師爲大書省一人(이안장법사위대서생일인) : 安藏法師로 대서성을 삼으니 이것은 한 사람뿐이고,
又有小書省二人(우유소서생이인) : 또 小書省 두 사람이 있었다.
明年辛未(명년신미) : 그 이듬해 辛未에는
以高麗惠亮法師(이고려혜량법사) : 고구려의 惠亮法師를
爲國統(위국통) : 國統으로 삼았으니
亦云寺主(역운사주) : 寺主라고도 한다.
寶良法師(보량법사) : 寶良法師 한 사람을
爲大都維那一人(위대도유나일인) : 大都維那로 삼고
及州統九人(급주통구인) : 州統 9인과
郡統十八人等(군통십팔인등) : 都統 18인을 두었다.
至藏更置大國統一人(지장갱치대국통일인) : 자장 때에 와서 다시 大國統 한 사람을 두었으니
蓋非常職也(개비상직야) : 이것은 常職이 아니다.
亦猶夫禮郎(역유부례낭) : 이것은 또한 夫禮郞이
爲大角干(위대각간) : 大角干이 되고,
金庾信大大角干(금유신대대각간) : 김유신이 太大角干이 된 것과 같다.
後至元聖大王元年(후지원성대왕원년) : 후에 元聖大王 원년에 이르러
又置僧官名政法典(우치승관명정법전) : 또 僧官을 두고 政法典이라 하여
以大舍一人(이대사일인) : 大舍 1인과
史二人(사이인) : 史 2인을
爲司(위사) : 사로 삼아서
揀僧中有才行者爲之(간승중유재항자위지) : 승려들 중에서 才行이 있는 이를 뽑아서 그 일을 맡겼으며,
有故卽替(유고즉체) : 有故한 때에는 바꾸어서
無定年限(무정년한) : 年限은 정定하지 않았다.
故今紫衣之徒(고금자의지도) : 때문에 지금 紫衣의 무리들은
亦律寺之別也(역률사지별야) : 역시 律宗과 다른 것이다. .
鄕傳云(향전운) : 鄕傳에 보면,
藏入唐(장입당) : 慈藏이 唐나라에 갔더니
太宗迎至武乾殿(태종영지무건전) : 太宗이 式乾殿에 맞아들여
請講華嚴(청강화엄) : <화엄경華嚴經>의 강의를 청하매,
天降甘露(천강감노) : 하늘이 단 이슬을 내려
開爲國師云者妄矣(개위국사운자망의) : 비로소 그를 國師로 삼았다고 했으나 이것은 잘못이다.
唐傳與國史皆無文(당전여국사개무문) : 唐傳이나 <國史>에 모두 그런 글은 없다))
藏値斯嘉會(장치사가회) : 자장이 이와 같은 좋은 기회를 만나
勇激弘通(용격홍통) : 용감히 나가서 불교를 널리 퍼뜨렸다.
令僧尼五部各增舊學(령승니오부각증구학) : 그는 승니(僧尼)의 5부(部)에 각각 구학(舊學)을 더 증가시키고
半月說戒(반월설계) : 15일마다 계율을 설명하였으며
冬春惣試(동춘총시) : 겨울과 봄에는 시험해서
令知持犯(령지지범) : 지범(持犯)을 알게 하고
置員管維持之(치원관유지지) : 관원을 두어서 이를 유지해 나가게 했다.
又遣巡使(우견순사) : 또 순사(巡使)를 보내어
歷檢外寺(력검외사) : 서울 밖에 있는 절들을 조사하여
誡礪僧失(계려승실) : 중들의 과실을 징계하고
嚴飾經像爲恒式(엄식경상위항식) : 불경과 불상을 엄중하게 신칙함을 일정한 법으로 삼으니,
一代護法(일대호법) : 한 시대에 불법을 보호하는 것이
於斯盛矣(어사성의) : 이때에 가장 성했다.
如夫子自衛返魯(여부자자위반노) : 이것은 공자(孔子)가 위(衛)나라에서 노(魯)나라로 돌아와
樂正雅頌(낙정아송) : 음악을 바로잡자 아(雅)와 송(頌)이
各得其宜(각득기의) : 각각 그 마땅함을 얻었던 일과 같다.
當此之際(당차지제) : 이때를 당하여
國中之人(국중지인) : 나라 안 사람으로서
受戒奉佛(수계봉불) : 계(戒)를 받고 불법을 받든 이가
十室八九(십실팔구) : 열 집에 여덟, 아홉은 되었다.
祝髮請度(축발청도) : 머리를 깎고 중이 되기를 청하는 이가
歲月增至(세월증지) : 세월이 갈수록 더욱 많아지니
乃創通度寺(내창통도사) : 이에 통도사(通度寺)를 새로 세우고
築戒壇以度四來(축계단이도사내) : 계단(戒壇)을 쌓아 사방에서 오는 사람들을 제도(濟度)했다.
(戒壇事已出上(계단사이출상) : 계단의 일은 이미 위에 나타나 있다)
又改營生緣里第元寧寺(우개영생연리제원녕사) : 또 자기가 난 집을 원녕사(元寧寺)로 고치고
設落成會(설낙성회) : 낙성회(落成會)를 열어
講雜花萬偈(강잡화만게) : 잡화(雜花) 1만 게(偈)를 강의하니
感五十二女現身證聽(감오십이녀현신증청) : 오십이녀가 감동하여 현신(現身)해서 강의를 들었다.
使門人植樹如其數(사문인식수여기삭) : 문인(門人)들에게 그들의 수대로 나무를 심어
以旌厥異(이정궐리) : 이상스러운 일들을 표하게 하고
因號知識樹(인호지식수) : 그 나무를 지식수(知識樹)라고 이름지었다.
嘗以邦國服章(상이방국복장) : 그는 일찍이 우리 나라의 복장(服章)이
不同諸夏(부동제하) : 제하(諸夏)와 같지 않다 하여
擧議於朝(거의어조) : 조정에 건의하니
簽允曰臧(첨윤왈장) : 조정에서는 허락하였다.
乃以眞德王三年己酉(내이진덕왕삼년기유) : 이에 진덕왕(眞德王) 3년 기유(649)에
始服中朝衣冠(시복중조의관) : 처음으로 중국의 의관(衣冠)을 입게 하고
明年庚戌又奉正朔(명년경술우봉정삭) : 이듬해인 경술(庚戌)에 또 정삭(正朔)을 받들어
始行永徽號(시항영휘호) : 비로소 영휘(永徽)의 연호를 썼다.
自後每有朝覲(자후매유조근) : 이 뒤부터는 중국에 조근(朝覲)할 때마다
列在上蕃(렬재상번) : 상번(上蕃)에 있었으니
藏之功也(장지공야) : 자장의 공이었다.
暮年謝辭京輦(모년사사경련) : 만년(晩年)에는 서울을 하직하고
於江陵郡(어강능군) : 강릉군에
(今溟州也(금명주야) : (江陵郡; 지금의 溟州))
創水多寺居焉(창수다사거언) : 수다사(水多寺)를 세우고 거기에 살았더니
復夢異僧狀北臺所見(복몽리승상배대소견) : 북대(北臺)에서 본 것과 같은 형상을 한 이상한 승려가 다시 꿈에
來告曰(내고왈) : 나타나서 고하여 말했다.
明日見汝於大松汀(명일견여어대송정) : "내일 대송정(大松汀)에서 그대를 만날 것이다."
驚悸而起(경계이기) : 자장이 놀라 일어나서
早行至松汀(조항지송정) : 일찍 송정(松汀)에 가니
果感文殊來格(과감문수내격) : 과연 문수보살(文殊菩薩)이 감응(感應)하여 와 있었다.
諮詢法要(자순법요) : 그에게 법요(法要)를 물으니
乃曰(내왈) : 대답하기를,
重期於太伯葛蟠地(중기어태백갈반지) : "태백산(太伯山) 갈반지(葛蟠地)에서 다시 만나자."하고
遂隱不現(수은부현) : 드디어 자취를 숨기고 나타나지 않았다.
(松汀至今不生荊剌(송정지금부생형랄) : 송정은 지금 가시나무가 자라지 않고
亦不棲鷹鸇之類云(역부서응전지류운) : 또 매같은 종류가 깃들지 않는다고 한다)
藏往太伯山尋之(장왕태백산심지) : 자장이 태백산(太伯山)에 가서 찾다가
見巨蟒蟠結樹下(견거망반결수하) : 큰 구렁이가 나무 밑에 서리고 있는 것을 보고
謂侍者曰(위시자왈) : 시자(侍者)에게 말했다.
此所謂葛蟠地(차소위갈반지) : "이곳이 바로 이른바 갈반지이다."
乃創石南院(내창석남원) : 이에 석남원을 세우고
(今淨岩寺(금정암사) : (石南院; 지금의 淨岩寺))
以候聖降(이후성강) : 대성(大聖)이 내려오기를 기다렸다.
粤有老居士(월유노거사) :
方袍襤褸(방포남루) : 이때 늙은 거사(居士) 하나가
荷葛簣(하갈궤) : 남루한 도포를 입고 칡으로 만든 삼태기에
盛死狗兒來(성사구아내) : 죽은 강아지를 담아 메고 와서
謂侍者曰(위시자왈) : 시자에게 말했다.
欲見慈藏來爾(욕견자장내이) : "자장을 보려고 왔다."
門者曰(문자왈) : 문인(門人)이 말했다.
自奉巾箒(자봉건추) : "내가 건추를 받든 이래
未見忤犯吾師諱者(미견오범오사휘자) : 우리 스승님의 이름을 함부로 부르는 자를 보지 못했다.
汝何人斯(여하인사) : 너는 어떤 사람이기에
爾狂言乎(이광언호) : 미친 말을 하는 게냐."
居士曰(거사왈) : 거사가 말한다.
但告汝師(단고여사) : "너는 너의 스승에게 아뢰기만 하면 된다."
遂入告(수입고) : 시자가 들어가서 고하자
藏不之覺曰(장부지각왈) : 자장도 깨닫지 못하고 말했다.
殆狂者耶(태광자야) : "필연 미친 사람이겠지."
門人出詬逐之(문인출후축지) : 문인이 나가서 그를 꾸짖어 쫓으니,
居士曰(거사왈) : 거사가 다시 말했다.
歸歟歸歟(귀여귀여) : "돌아가리라, 돌아가리라,
有我相者(유아상자) : 아상(我相)을 가진 자가
焉得見我(언득견아) : 어찌 나를 볼 수 있겠느냐."
乃倒簣拂之(내도궤불지) : 말을 마치자 삼태기를 거꾸로 들고 터니
狗變爲師子寶座(구변위사자보좌) : 강아지가 변해서 獅子寶座가 되고
陞坐放光而去(승좌방광이거) : 그 위에 올라앉아서 빛을 내고는 가버렸다.
藏聞之(장문지) : 자장이 이 말을 듣고
方具威儀(방구위의) : 그제야 위의(威儀)를 갖추고
尋光而趨登南嶺(심광이추등남령) : 빛을 찾아 재빨리 남쪽 고개에 올라갔으나
已杳然不及(이묘연부급) : 이미 아득해서 따라가지 못하고
遂殞身而卒(수운신이졸) : 드디어 몸을 던져 죽으니,
荼毗安骨於石穴中(도비안골어석혈중) : 화장하여 유골(遺骨)을 석혈(石穴) 속에 모셨다.
凡藏之締構寺塔(범장지체구사탑) : 대체로 자장이 세운 절과 탑이
十有餘所(십유여소) : 10여 곳인데
每一興造(매일흥조) : 세울 때마다
必有異祥(필유이상) : 반드시 이상스러운 상서(祥瑞)가 있었기 때문에
故蒲塞供塡市(고포새공전시) : 그를 받드는 포색(浦塞)들이 거리를 메울 만큼 많아서
不日而成(불일이성) : 며칠이 안 되어 완성했다.
藏之道具布襪(장지도구포말) : 자장이 쓰던 도구(道具)·옷감·버선과
幷太和龍所獻木鴨枕(병태화룡소헌목압침) : 태화지(太和池)의 용이 바친 목압침(木鴨枕)과
與釋尊由衣等(여석존유의등) : 석존(釋尊)의 유의(由衣)들은
合在通度寺(합재통도사) : 모두 통도사(通度寺)에 있다.
又巘陽縣(우헌양현) : 또 헌양현에
(今彦陽(금언양) : (巘陽縣; 지금의 彦陽))
有鴨遊寺(유압유사) : 鴨遊寺가 있는데,
枕鴨嘗於此現異(침압상어차현리) : 침압(枕鴨)이 일찍이 이곳에서 이상한 일을 나타냈으므로
故名之(고명지) : 이름한 것이다.
又有釋圓勝者(우유석원승자) : 또 원승(圓勝)이란 중이 있는데,
先藏西學(선장서학) : 자장보다 먼저 중국에 유학갔다가
而同還桑梓(이동환상재) : 함께 고향에 돌아와서
助弘律部云(조홍률부운) : 자장을 도와 율부(律部)를 넓게 폈다고 한다.
讚曰(찬왈) : 찬(讚)해 말한다.
曾向淸凉夢破廻(증향청량몽파회) : 일찍이 청량산에 가서 꿈 깨고 돌아오니
七篇三聚一時開(칠편삼취일시개) : 칠편삼취(七篇三聚)가 한꺼번에 열렸구나!
欲令緇素衣慚愧(욕령치소의참괴) : 치소(緇素)의 옷을 부끄럽게 여기어
東國衣冠上國裁(동국의관상국재) : 우리 나라 의관을 중국과 같이 만들었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