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T 신희섭 박사팀 “사이코 패스, 뇌 과학으로 치료 가능”
[2010.03.02 18:56]
보통 사람은 다른 사람이 고통이나 공포를 느낄 때 이를 공감할 수 있다. 하지만 반사회적 인격 장애인 ‘사이코 패스’는 다른 사람의 고통에 무감각하고 양심의 가책을 느끼지 않기 때문에 자신이 저지른 죄의 대가로 받게 될 처벌을 두려워하지 않고 마구 연쇄 범죄를 저지른다. 국내 연구진이 이처럼 타인의 고통과 공포를 공유하는 능력이 없는 사이코 패스를 뇌 과학으로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신경과학센터 신희섭 박사(사진)팀은 다른 사람의 공포나 고통을 공감하는 작용이 뇌신경 내부의 통증 체계에서 일어나며, 특히 뇌신경으로 칼슘이 이동하는 경로 중 하나인 ‘L-타입 칼슘이온 통로’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2일 밝혔다.
연구팀은 동물 실험을 통해 한 생쥐가 전기 자극에 고통스러워하는 다른 쥐를 볼 경우 공포 반응을 나타내는 것을 관찰했다. 반면 뇌신경에서 L-타입 칼슘이온 통로를 손상시킨 돌연변이 쥐의 경우는 다른 쥐의 고통에도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 박사는 “다른 사람의 공포를 공감하는 능력은 사회 속에서 인간이 타인과 유기적 관계를 유지하는 데 도움을 주는데, 사이코 패스는 이런 능력에 장애를 보인다”면서 “이번 연구는 공포 공감 능력에 문제가 있는 정신질환인 정신분열증, 외상 후 스트레스증후군(PTSD) 등의 치료법 개발에도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뉴로사이언스’ 1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
KIST 신희섭 박사팀… 치매·파킨슨병 치료제 개발 단서 얻어
국민일보 | 입력 2007.12.05 19:11
국내 연구진이 뇌 인지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또 하나의 유전자를 발견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신희섭 박사팀은 'P/Q-타입 칼슘 채널'이 결여된 생쥐를 이용한 연구를 통해 이 채널이 뇌 인지 기능 조절에 중요한 인자임을 알아냈다고 5일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과학원회보(PNAS) 최근호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P/Q-타입 칼슘 채널의 유전자를 제거한 생쥐를 정상 생쥐와 비교해 실험했다. 그 결과 유전자 변형 생쥐에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정보를 처리하는 뇌의 시상과 대뇌피질간의 신호 전달에 이상이 있음이 관찰됐다. 또 인지, 지각 같은 뇌의 고등 기능과 관련된 뇌파인 감마파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 박사는 "인지 기능의 이상을 동반하는 치매나 파킨슨병, 간질, 수면장애 등 정신신경질환 증상에 대한 신경과학적 이해를 높여 앞으로 치료제 개발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라고 말했다.
신 박사팀은 현재 유전자 변형 생쥐 기술을 통해 뇌의 인지 기능 원리를 규명하고 다양한 뇌기능 분석을 통해 뇌 질환에 대한 치료 전략을 구축하기 위한 '브레인 K' 프로젝트를 수행 중이다.
민태원 기자
< GoodNews paper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신희섭 KIST박사 연구팀, 공포공감 뇌회로와 메커니즘규명
[한경닷컴] 신희섭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신경과학센터 박사 연구팀은 타인의 공포를 공감하는 능력에 관여하는 뇌 회로와 그 작용 메커니즘을 규명하는데 성공했다고 2일 밝혔다.
일반적으로 사람은 타인이 고통이나 공포를 느낄 때 이를 공감할 수 있다.연구팀은 다른 사람의 공포나 고통을 공감하는 작용이 뇌신경 내부의 통증체계(medial pain system)에서 일어나며 뇌신경으로 칼슘이 이동하는 경로인 ‘L-타입 칼슘이온통로(L-type Ca2+ channel)’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연구팀은 쥐를 이용한 실험에서 한 쥐가 전기자극에 고통스러워 하는 다른 쥐를 볼 경우 공포반응을 나타내는 것을 관찰했다.또 뇌 신경에서 L-타입 칼슘이동 경로를 손상시킨 돌연변이 생쥐의 경우 다른 쥐의 고통에도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연구팀 관계자는 “돌연변이 생쥐가 공포 공감능력이 저하된다는 사실을 통해 L-타입 칼슘이온통로가 공포 공감능력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임을 알아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결과가 사람에게 적용될 수 있는지 연구범위를 확대할 계획이다.특히 연구팀은 타인의 공포에 공감하는 능력이 없는 사이코패스나 정신분열증,외상후 스트레즈증후군 환자를 치료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흔히 연쇄살인범으로 유명한 사이코패스는 다른 사람의 공포와 고통에 무감각하고 양심의 가책을 느끼지 않기 때문에 자신이 저지른 죄의 대가로 받게될 처벌을 두려워하지 않고 연쇄범죄를 저지를 가능성이 높다고 알려져 있다.학계에서는 현재 사이코패스의 발생이 뇌신경 장애로 인한 것으로 추측하는 정도다.
신희섭 박사는 “향후 공포 공감능력에 장애를 보이는 정신질환에 대한 치료법 개발의 가능성을 열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네이쳐 뉴로사이언스(Nature Neuroscience)’지 1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임기훈 기자 shagger@hankyung.com
신희섭 박사, "뇌신경 연구분야 기틀 마련할 것"
KIST 신경과학연구센터 청사진 '공개'
ⓒ 2006 HelloDD.com
"4대 핵심과제 달성으로 KIST(한국과학기술연구원) 뇌신경 연구분야의 기틀을 마련하겠다"
지난 달 말 이서구 이화여대 교수와 공동으로 '제 1호 국가과학자'로 선정된 신희섭 KIST(한국과학기술연구원) 신경과학센터장이 밝힌 청사진이다.
지난 10여년간 뇌의 인지기능 연구에 매진해 온 신희섭 박사는 우리나라 뇌 과학 연구의 대표 주자로 꼽힌다.
신희섭 박사는 12일 KIST에서 기자 간담회 및 국가 과학자 지정 기념 국제 심포지엄을 개최하고, 오전에 열린 기자회견 자리에서 이 같이 밝히고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설명했다.
국가 과학자 지정과 함께 제공받은 연구비 15억원을 활용, '뇌 인지 기능의 신경과학적 원리규명'이라는 연구과제를 본격 추진하겠다는 계획이다.
이 연구는 4대 핵심 과제로 구성돼 있으며 ▲정상 뇌와 비정상 뇌의 인지기능 차이 및 시상(간뇌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회백질부)에서의 역할 규명 ▲시상과 대뇌피질의 신경망 작동 기재와 특정신경(TC·RC) 간의 상호 작용 원리 및 역할 규명 ▲시상에서의 수명 뇌파 생성 및 전파 원리 규명 등을 주 골자로 하고 있다. 여기에 ▲MEMS(극미세공학) 등 기계공학을 이용한 생체 뇌세포 신호 추출 기술개발 도 중요 추진 기술 중 하나다.
ⓒ2006 HelloDD.com
신 박사는 국가과학자 지정 당시 "세계적인 신경과학연구센터를 만드는 게 꿈이었는데 이번 국가과학자 지원을 통해 그 꿈을 실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KIST를 이 분야의 최고 연구기관으로 키우고 싶다"고 소감을 밝힌 바 있다.
이미 세계적으로 유례를 찾기 힘든 성과를 척척 만들어 내고 있다. 총 15종의 유전자 변이 생쥐 샘플을 확보하고, 이들의 행동패턴을 연구하는 등 다양한 연구성과를 나타내고 있다. 센터 관계자에 따르면 15종 이상의 돌연변이 생쥐 샘플을 구비한 연구기관은 전 세계적으로 몇 곳 되지 않는다.
이런 성과로 미국의 뉴욕 대학교, 독일의 MEMS 멀티 마이크로전기시스템 전문가 그룹 등과 공동연구를 추진하고 있으며, KAIST 김대수 교수 연구팀과도 함께 두뇌의 국소활성 조절 등을 목적으로 하는 위탁연구 역시 추진 중이다.
신 박사는 과거에도 다양한 연구기법을 활용, 수면조절, 간질, 통증치료 기술 개발 등의 길을 열어 놓은 성과를 인정받고 있다. 이 기술들은 현재도 연구과제 KIST 내 생체과학연구팀과 공동 연구를 추진 중이다.
신희섭 박사는 서울대 의대를 나와 미국 코넬대학교에서 유전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MIT대학 조교수를 거쳐 1991년 포항공대에 부임해 10여년 교수로 재직하다 지난 2001년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으로 자리를 옮겼다. 현재는 KIST 신경과학센터 센터장으로 근무 하고 있다.
연구소에서 대학으로 자리를 옮기는 상황에 오히려 연구에 매진하기 위해 KIST를 택한 그의 행보는 당시 화제가 되기도 했다.
신 박사는 "뇌 과학연구는 화학 및 기계공학 분야의 도움이 꼭 필요하다"며 "국가 중심 연구기관인 KIST는 각종 연구부서가 집결돼 있어 융·복합 분야 연구를 수행하는데 가장 적합한 기관"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이날 오후 개최된 '신희섭 박사 제 1호 국가과학자 선정 기념 국제심포지엄' 에서는 신 박사가 '유전자에서 행동까지(From Genes to Behavior)'라는 제목으로 자신의 연구프로젝트에 대해 소개했으며 이어 일본인 RIKEN의 Shigeyoshi Itohara 박사, 워싱톤 대학교의 김진석 심리학과 교수,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정민환 교수, KAIST 생명공학과 김대수 교수 등의 강연이 이어졌다.
KIST 신희섭 박사, 통증 억제 유전자 및 메커니즘 규명
[속보, IT] 2003년 10월 03일 (금) 12:00
뇌 속에서 통증감소에 획기적인 역할을 하는 유전자와 그 통증 억제 메커니즘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처음으로 규명돼 `꿈의 진통제`를 개발할 수 있는 가능성이 열렸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신희섭 박사팀은 잠을 잘 때나 간질을 비롯한 여러 가지 뇌질환에 걸렸을 때 의식을 차단하는데 관여하는 유전자 `T-타입칼슘채널`이 통증도 억제한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규명했다고 2일 밝혔다.
뇌속 시상핵에 존재하는 T-타입 칼슘채널은 그동안 간질ㆍ치매ㆍ파킨슨씨병ㆍ우울증ㆍ정신분열증 등 다양한 뇌신경 질환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신 박사는 "생쥐를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일반 생쥐의 경우 통증신호를 차단해 통증을 자체적으로 차단할 수 있었지만 시상핵에서 T-타입 채널을 제거한 돌연변이 생쥐는 통증신호가 여과없이 뇌로 전달돼 더욱 심한 통증을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그동안 학계에 보고된 바 없는 새로운 통증조절 메커니즘으로, 뇌가 수동적으로 외부의 모든 자극을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능동적으로 이를 선별, 조절할 수 있다는 결정적인 증거를 제시한 것으로 평가된다.
특히 T-타입 캡슐의 통증조절 메커니즘을 이용하면 통증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꿈의 진통제`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신 박사는 "시상핵은 거의 모든 종류의 통증신호가 지나가는 길목으로 이곳에서 작동하는 의식차단 유전자(T-타입 캡슐)를 이용한다면 다양한 종류의 통증을 조절할 수 있는 꿈의 진통제가 개발될 수 있다"고 말했다.
신 박사팀의 이번 연구결과는 세계적인 학술지인 사이언스지 최근호(3일자)에 게재되며, 다음달 미국 뉴올리언즈에서 열리는 신경과학 국제 학술대회에서도 발표될 예정이다.
‘뇌 연구를 통한 마음의 이해 ’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책임연구원 신희섭 박사-
◆ 방송일 : 2006년 01월 11일 (수) 밤 12시50분, KBS 1TV
◆ 강 연 : 신희섭 박사 /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책임연구원
◆ 내 용
우리가 느끼는 통증은 어디로부터 발생되는 것일까?
고통과 통증의 차이는 무엇일까? 인간의 희노애락은 물론 공포, 쾌락, 고통까지.
그 원인과 발생 매커니즘을 과학적으로 연구함으로써 인간의 마음까지도 연구하는
학문, 뇌과학. 뇌연구를 통해 우리는 뇌뿐만 아니라 지금까지 과학적으로 설명이
불가능했던 우리의 마음까지도 객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마음이 곧 뇌요, 뇌는 곧 자기 자신 그 자체다’라고 말하는 한국과학기술원(KIST)
책임연구원 신희섭 박사와 함께 경이로운 뇌의 세계로 떠나본다.
◆ 강연자 소개
한국과학기술원(KIST) 신희섭 박사. ‘뇌 박사’로 통하는 그는 지난 13년간 생쥐의
뇌 기능을 규명하는데 매달려왔다. 그 결과 공포유전자(2002)와 간질유전자(2004)를
세계 최초로 찾아냈으며, 몸의 리듬을 조절하는 생체시계를 발견(2005)하는 등의
업적을 쌓았다. 그 뿐 아니라 2003년엔 세계적 학술지인 ‘네이처’, ‘사이언스’에 3편의 논문을 싣기도 했다. 2005년엔 과학기술부와 한국과학문화재단이 주관하는 제 4회
‘닮고 싶고, 되고 싶은 과학기술인’으로 선정되었다.
또한 2004년 ‘듀폰과학기술상’, ‘호암상 과학상’, ‘KIST인 대상’, ‘이달의 과학 기술자상’을 연달아 수상하고 2005년에는 제3회 ‘대한민국최고과학기술인상’을 수상하는등
눈부신 경력을 갖고 있다.
* 경력
1968 ~ 1974년 서울대학교 의학 학사
1974 ~ 1977년 서울대학교대학원 의학 석사
1980 ~ 1983년 미국 코넬의과대학대학원 유전학 박사
1978 ~ 1980년 Sloan-Kettering Institute Postdoctoral Fellow
1983 ~ 1985년 Sloan-Kettering Institute Research Associate
1985 ~ 1991년 MIT Whitehead Institute Dept.of Biology Associate
Member & Assistant Professor
1991 ~ 2001년 포항공과대 생명과학과 부교수, 교수
1996 ~ 1998년 포항공과대 생물공학연구소 소장
現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생체과학연구부
학습기억현상연구단 센터장(책임연구원)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신경과학센터 센터장
~ 2004년 수면조절 유전자(T타입 칼슘채널 유전자) 발견
~ 2005년 제4회'닮고 싶고 되고 싶은 과학기술인' 10인에 선정
* 수상경력
- 1997년도 제14회 금호학술상, 금호문화재단
- 2000년도 함춘의학상(연구업적부문)
- 2004년도 2004 KIST 대상
- 2004년도 제3회 듀폰과학기술상
- 2004년도 제14회 호암상 과학상
- 2004년도 이 달의 과학자상
- 2004년도 국민훈장 동백장
- 2005년도 제3회 대한민국최고과학기술인상
첫댓글 닮고싶은 분.... 맞군요^ ^
저도 제 분야에서 닮고 싶다는 사람이었으면.....하면서 열심히 즐기며 연구하고 있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