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리치웨이 바이오매트 전신 온열요법
 
 
 
카페 게시글
암 투병 기본정보 스크랩 육종은 크게 악성골종양과 연부조직육종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브이맨2 추천 0 조회 80 17.01.15 15:17 댓글 0
게시글 본문내용

 

 

 

육종이란 

악성종양은 종양 세포가 기원하는 조직에 따라 암종(Carcinoma)과 육종(Sarcoma)으로 구분됩니다. 육종은 근육, 결합조직, 지방, 뼈, 연골, 신경, 혈관 등의 비상피성 세포에서 생긴 악성종양입니다. 즉, 근골격 조직의 악성종양 을 육종이라고 부릅니다. 

 

육종은 크게 악성골종양과 연부조직육종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악성골종양은 뼈에서 발생한 종양이며, 연부조직육종은 피부, 지방, 신경, 혈관, 근육 등의 연부조직에서 발생합니다. 각각의 육종은 현미경적 병리학적 검사를 통해 기본적으로 종양세포가 어떤 세포에서 기원했는가에 따라 분류합니다.

 

1. 연부조직 육종

지방, 근육, 신경, 인대, 혈관, 림프관 등 우리 몸의 각 기관을 연결하고 지지하며 감싸는 조직에서 발생하는 악성종양을 뜻합니다. 따라서 연부조직 육종은 팔다리, 체간, 후복막, 두경부 등 몸의 여러 부위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지방육종, 평활근 육종, 횡문근 육종, 활막 육종, 상피육종, 섬유 육종, 악성 섬유성 조직구종, 말초 신경의 악성종양, 혈관 육종, 투명세포 육종, 혈관외피종 등이 포함됩니다.

 

2. 뼈에서 발생되는 육종

뼈에서 원발성으로 발생된 악성종양을 골육종이라고 하며, 타 장기기관으로부터 전이가 된 경우를 전이성 또는 이차성 뼈암이라고 합니다. 원발성 종양은 주로 팔, 다리 긴뼈에서 주로 발생됩니다. 골육종, 연골육종, 섬유육종, 유잉 육종, 악성 섬유성 조직구종 등이 포함됩니다. 

 

원인 및 위험인자 

현재까지 발병 원인은 정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흔히 암의 발병 원인으로 알려져 있는 흡연, 잘못된 식이습관 등은 대부분 육종과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드문 경우 신경섬유종증, 및 특정 질환 증후군 등의 유전적 요인, 방사선치료의 과거력 등의 방사선 조사, 바이러스 감염과 면역 결핍이 육종의 발생과 연관성이 있으며, 골절과 이식부위의 흉터 조직으로부터 기원한 연부 조직 육종에 대한 보고도 있습니다. 거의 대부분의 육종 환자에서는 이런 발병 원인을 보이지 않고 발병 원인을 모릅니다. 

 

증상

가장 흔한 증상은 무증상 종괴이나, 연골 육종과 같이 통증과 부종을 동반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다른 부위에 전이가 되면, 그 부위의 증상이나타날 수 있습니다. 

 

육종의 진단 

 

1. 병력 청취 및 이학적 검사 

임상 증상, 발생 연령, 발생 부위에 따라 호발하는 종양의 종류가 다릅니다. 골종양 환자는 보통 종괴의 유무에 관계 없이 동통 및 운동기능의 감소를 호소하며 연부조직육종의 경우 촉지되는 종괴를 주로 호소합니다.

 

대부분의 원발성 골종양은 10-20세에 발병하는데 골육종과 유잉육종이 흔합니다. 30-40세 이후에는 연골육종이 호발합니다. 연부조직 육종의 경우 소아에서는 횡문근 육종이 가장 흔한 반면 성인에서는 악성 섬유성 조직구종과 평활근육종의 발생빈도가 높습니다. 

골종양은 발생 부위가 진단에 도움이 됩니다. 골단은 연골모세포종 등이 호발하고, 골간부에는 유잉육종, 연골육종 등이 호발합니다.

   

2. 임상 병리 검사

근골격계 종양 진단에서는 혈액 검사, 생화학 검사, 면역학 검사는 대부분 크게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혈청 칼슘 전이성 골종양 등에서 증가하고. 혈청 알카리성 인산효소(alkaline phosphatase)는 골육종의 약 50%에서 증가합니다.

 

3. 방사선 검사 

(1) 단순 방사선 사진 (X-선 검사)

골 병변이 염증성 질환인지, 종양 계통의 양성종양인지, 악성종양인지를 감별하는데 간편하면서도 유용한 검사입니다. 최소한 두 방향 이상의 사진을 찍어서 체계적으로 관찰해야 하며 사진의 질이 좋아야 정확한 판독이 가능합니다. 

 

?(2) 혈관조영술

종양 내의 동정맥의 문합, 혈관의 협착, 종양의 크기, 혈관의 전위 등을 아는 데 중요합니다. 현재는 전산화단층촬영(CT), 자기공명영상(MRI) 등 진단기술의 발달로 그 이용 빈도가 많이 감소하였습니다. 

 

?(3) 뼈 스캔 (골 주사)

주로 테크네슘(Technetium) 99MDP가 주로 사용되며, 다발성 병소나 전이 병소를 조기에 발견할 수 있습니다. 또한 부분적으로 종양의 항암화학요법 후의 효과 판정 등에 이용되고 있습니다.

 

(4) 전산화단층촬영(CT) 

골 종양의 발생 부위나 범위, 피질 골의 파괴 및 주위 조직으로의 침범 여부를 정확히 판정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종양의 폐 전이 유무, 복부 장기로의 전이 등 종양의 병기(stage) 결정에 유용하게 이용되고 있으며, 원발암의 추적 조사 등에도 이용되고 있습니다

 

(5) 자기공명영상(MRI)

조직 간의 대조도가 우수하고, 다방면 영상을 얻을 수 있으며, 골 종양의 연부 조직 침범 유무나 그 정도, 종양과 주위 혈관과의 관계를 잘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종양의 진행단계와 수술방법을 결정하는 데 매우 중요한 검사입니다. 또한 종양에 대한 항암화학요법 전후에 영상을 비교하여 치료 효과 판정에 이용하기도 합니다. 

 

(6) 양전자방출단층촬영(PET)

원격 전이의 진단에 정확성이 높은 검사이며 또한 재발 여부를 판단하는데 좋은 검사입니다.

 

4. 조직 검사

종양의 진단에서 가장 확실하고 중요한 방법입니다 

 

1) 천자검사

비교적 간단하며 침습도가 적고, 양성과 악성종양의 구별에 유용하지만 적은 검체의 채취 때문에 진단이 불완전 할 수 있습니다. 

 

2) 침생검

투관침을 이용한 방법으로 병소가 큰 경우, 비교적 균질한 병변을 보이는 경우, 절개 생검이 곤란한 경우 등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척추 골 병변에 주로 이용됩니다. 

 

3) 절개 생검

정확한 생검 부위를 선택하여, 종적 절개를 한 후 근육을 통과하여 종양 조직을 확실히 채취합니다. 

 

4) 절제 생검

임상적, 방사선학적으로 종양이 양성인 경우에 주로 시행하며, 골종 등의 악성종양에서 종양 전체를 적출하는 방법으로도 사용됩니다.

   

 

[암과 싸우는 사람들] 네이버밴드로 초대합니다. 


아래 링크를 눌러 들어오세요. 


http://band.us/@cancer

 

 

 

 
다음검색
댓글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