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연구하는 교실
일본말을 만들 때 모델이 된 말은 “고아 달라, 이~”이다.
이 말을 일본인들은 사투리로 “과 달라, 이~”라고 했다.
이 말을 백제글자와 이두로 써보면 아래와 같다.
盥 たら, い~
관 다라, 이~. (이두인 ‘관’자의 종성을 제거하면)
과 다라, 이~. (이 사투리를 현대인이 알 수 있게 고치면)
고아 달라, 이 ~. (의 뜻이 된다.)
2. 언어로 확인한 참 역사
** 이~; 이야기의 흥을 돋우거나 동의를 청하는 도움말.
*** 일본인들은 ‘과’자와 ‘가’자를 구분하지 못하고 사용한 예가 많다.
원주민이 처음에는 말을 할 줄 몰랐으므로 ‘과’자와 ‘가’자를 구분하여 발음
하는 것은 불가능 했었다.
설상가상으로 “백제 글자(平仮名)”로는 ‘과’자와 ‘가’자를 구분하여 표기
할 수도 없었다.
이처럼 “백제 글자”가 나온 이후, 글자의 소리값이 실제 말과 달라서 말이
변질되기도 했다.
그러므로 왜지방의 실 생할에서는 "과 달라, 이~"도 “가 달라, 이~”라고
하고 “가 달라, 이~”도 "과 달라, 이~"로 쓰기도 했다고 본다.
*** 또한 “백제 글자”로는 ‘달’자를 표기할 수 없으므로 ‘달라’를
‘다라(たら)“ 라고 쓰게 되었다.
2. 초대 천황, 명치(1867년; 고종 15년)이후 일본정부 산하 조선어
비밀연구원들이 위의 말의 띄어쓰기를 무시하고 함부로 갈라서
아래와 같은 사전적 단어를 만들어 내었다.
사 실은 여기서 부터가 백제말(조선말)과 일본말? 과의 경계선이다.
たらい [盥]; 대야 (盥; 대야 관)
3. 미래를 개척하기 위한 교실
** 위 단어는 이두인 “盥”자를 정책적으로 뜻으로 해석하여 백제 말,
‘다라이’가 “대야”라는 뜻으로 바뀌고 말았다.
** 위와 같은 방법으로 일본어? 의 단어를 만던 결과 ‘盥’자를 ‘たらい’라고
읽는 웃지 못 할 꼴이 되었다.
*** ‘盥’자가 없었다면 ‘たらい’가 원래 무었을 의미했던 백제말인지 영영
몰랐을 것이다.
우리는 지금까지, 이런 것을 “명치식 읽기” 라고 명명해 왔다.
*** 그러므로 부러진 칼로 부자관계를 확인하듯, “백제 글자”와
이두가 한 치의 착오도 없이 걸맞아 들어가므로 일본말이라는
것은 바로 백제 말이다.
*** 모든 일본 말? 이라는 것이 이렇게 만들어 졌다.
(글읽는이들은 지금, 일본으로부터 위대한 백제역사를 되찾아 오는
전환점에 서계십니다.)
(*** 빨래를 하기 위한 큰 물통을 “다라이” 대신에 뭐라 하면 좋을지
연구 좀 부탁 합니다.
지금은 쉬고 있지만 원래 우수한 인재님들이시니 좋은 결과가
있을 줄 압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