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패스트패션 브랜드 성장으로 중저가 제품 판매 증가 추세 -
- 캐나다 의류용 액세서리시장 2022년까지 안정적인 성장률 기록 전망 -
□ 의류용 액세서리(Apparel Accessories)* 시장 개요
ㅇ 최근 캐나다에 진출한 외국계 패스트패션 브랜드의 급성장에 힘입어 저렴하면서도 최신 유행 디자인을 반영한 의류용 액세서리가 큰 인기를 끌고 있음.
- H&M, ZARA, Uniqlo, Forever 21 등 SPA** 브랜드에서는 최신 유행 디자인의 의류용 액세서리를 저렴한 가격에 구매할 수 있어 10~20대 여성 소비자들이 선호
* 의류용 액세서리는 벨트, 장갑, 모자, 스카프, 넥타이 등을 포함
** SPA는 자가상표부착제 유통방식을 말하며, Specialty retailer of Private label Apparel의 약자임. 패스트패션이라고도 부름. SPA는 미국 브랜드 GAP이 1986년에 선보인 사업모델로 의류기획·디자인, 생산·제조, 유통·판매까지 전 과정을 제조회사가 맡는 의류 전문점을 말함. 대량생산 방식을 통해 효율성을 추구해 제조원가를 낮추고, 유통 단계를 축소시켜 저렴한 가격에 빠른 상품회전을 하는 것이 특징임.
ㅇ 캐나다 소비자들은 인터넷 등 온라인 매체를 통해 브랜드와 제품에 대한 사전조사를 실시한 뒤, 오프라인 매장에서 구매하는 성향이 강함.
ㅇ 의류용 액세서리는 시장 특성상 품질과 소재로 제품을 차별화할 수밖에 없는데, 이 또한 대다수의 제품이 동일한 수준에 올라와 있음. 그렇기 때문에 높은 브랜드 인지도와 공격적인 마케팅 전략이 소비자들의 구매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큰 요인임.
ㅇ 또한 의류용 액세서리 시장은 트렌드에 민감하기 때문에 캐나다 소비 성향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해 제품에 반영하는 것이 중요
- KOTRA 토론토 무역관 시장조사 결과, 올해는 보헤미안 풍, 플로럴 패턴, 노란색이 유행을 타고 있음.
2018년 유행 중인 의류용 액세서리


자료원: ZARA, H&M
ㅇ 한편 고급 의류 브랜드는 시즌별 의류용 액세서리 컬렉션을 출시해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음.
- 캐나다 의류 기업 Canada Goose는 다양한 스타일의 모자, 스카프, 장갑 등 스몰 럭셔리 제품들을 선보임.
Canada Goose가 출시한 의류용 액세서리



자료원: Canada Goose
□ 시장규모 및 수입 동향
ㅇ 유로모니터(Euromonitor)에 따르면, 2017년 캐나다 의류용 액세서리시장은 전년 대비 3% 증가한 17억6330만 캐나다 달러(약 1조4804억 원)를 기록
ㅇ 2017년 기준 시장규모가 가장 큰 품목은 모자(36.3%)이며, 그 다음으로 스카프(24.2%), 장갑(14.6%) 순임.
- 캐나다는 햇빛이 뜨겁고 겨울철 추위가 오래 지속되기 때문에 소비자들은 모자를 액세서리 용도 외에도 스포츠, 자외선차단·방한 등 다용도로 사용함.
- 이 중에서 캐나다 유일의 미국메이저 리그 프로야구팀인 Toronto Blue Jays를 비롯해 야구 모자는 유행을 타지 않고 캐나다 남성 소비자들로부터 꾸준히 인기를 얻고 있는 품목임.
ㅇ 매출액 기준, 2012년부터 2017년까지 가장 빠른 연평균 성장률을 기록한 품목은 스카프(3.6%)이며, 그 다음으로 벨트(3.3%), 모자(2.8%) 순임.
캐나다 의류용 액세서리시장 품목별 매출동향
(단위: C$ 백만)
구분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벨트 | 112.0 | 116.7 | 120.0 | 125.2 | 128.2 | 131.6 |
장갑 | 23.01 | 236.3 | 240.2 | 244.6 | 251.0 | 258.0 |
모자 | 556.6 | 572.0 | 590.8 | 598.2 | 619.8 | 639.6 |
스카프 | 358.5 | 373.5 | 386.7 | 401.5 | 412.0 | 427.6 |
넥타이 | 120.5 | 122.9 | 124.8 | 125.5 | 128.0 | 130.8 |
기타 | 155.7 | 160.6 | 162.5 | 166.0 | 170.3 | 175.7 |
합계 | 1,533.4 | 1,581.9 | 1,624.9 | 1,660.9 | 1,709.2 | 1,763.3 |
자료원: 유로모니터(Euronomitor)
ㅇ 2017년 캐나다의 의류용 액세서리 수입액은 전년대비 8.23% 증가한 3억6786만 달러(약 3943억4592만 원)를 기록
- 같은 기간 한국에서의 의류용 액세서리 수입액은 전년대비 60.16% 급증한 115만 달러(약 12억3387만 원)를 기록
캐나다 의류용 액세서리 수입동향(HS Code 3926.20, 6214, 6505 기준)
(단위: US$ 천, %)
순위 | 국가명 | 2015 | 2016 | 2017 |
금액 | 증감률 | 금액 | 증감률 | 금액 | 증감률 |
1 | 중국 | 250,008 | -4.38 | 231,812 | -7.28 | 250,785 | 8.18 |
2 | 방글라데시 | 19,066 | 13.88 | 18,995 | -0.37 | 22,476 | 18.32 |
3 | 미국 | 17,912 | 1.64 | 15,739 | -12.13 | 17,636 | 12.05 |
4 | 이탈리아 | 12,697 | -7.74 | 14,865 | 17.08 | 17,220 | 15.84 |
5 | 베트남 | 11,802 | -8.47 | 13,303 | 12.72 | 15,489 | 16.43 |
6 | 인도 | 13,283 | 8.88 | 11,931 | -10.18 | 9,499 | -20.39 |
7 | 프랑스 | 5,997 | -11.10 | 4,813 | -19.74 | 5,784 | 20.19 |
8 | 대만 | 4,825 | 2.48 | 4,426 | -8.27 | 4,056 | -8.36 |
9 | 영국 | 3,875 | -0.35 | 3,586 | -7.46 | 2,880 | -19.68 |
10 | 캐나다(재수입) | 2,663 | -15.30 | 2,581 | 0.67 | 2,386 | -11.00 |
15 | 한국 | 898 | -22.93 | 719 | -19.93 | 1,151 | 60.16 |
총액 | 361,696 | -2.91 | 339,908 | -6.02 | 367,866 | 8.23 |
자료원: 캐나다 통계청(Statistics Canada)
□ 경쟁동향
ㅇ 2017년 의류용 액세서리 시장은 Gap(미국), Totes-Isotoner(미국), Reitmans(캐나다), Hugo Boss(독일), Canadian Tire(캐나다) 등 다국적 기업이 주도
- 캐나다 생활용품 유통기업 Canadian Tire는 2002년 Mark’s Work Warehouse를 인수를 통해 자체브랜드 Dakota, Denver Hayes, WindeRiver 등을 보유 중임.
ㅇ 식품 유통기업 Loblaw의 자체브랜드인 Joe Fresh는 Club Monaco의 창립자인 Joe Mimran이 2006년 캐나다에서 런칭한 디자이너 SPA 브랜드
- 남·여, 아동 의류를 비롯한 스포츠웨어, 라운지웨어, 액세서리, 화장품까지 폭넓은 상품 구성과 다양한 컬러감, 높은 품질과 합리적인 가격으로 소비자들의 인기를 끌고 있음.
캐나다 의류용 액세서리 기업별 시장점유율
(단위: %)
기업명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Gap Canada Inc. | 4.2 | 4.1 | 4.1 | 4.2 | 4.1 |
Totes-Isotoner Corp. | 4.1 | 4.1 | 4.1 | 4.1 | 4.0 |
Reitmans(Canada) Ltd. | 3.8 | 3.7 | 3.5 | 3.3 | 3.2 |
Hugo Boss Canada Inc. | 2.1 | 2.1 | 2.3 | 2.3 | 2.2 |
Canadian Tire Corp Ltd. | 2.0 | 1.9 | 2.0 | 2.0 | 2.0 |
PVH Corp. | 1.7 | 1.7 | 1.7 | 1.7 | 1.7 |
Lululemon Athletica Inc. | 1.5 | 1.5 | 1.5 | 1.6 | 1.6 |
Ralph Lauren Corp. | 1.8 | 1.8 | 1.8 | 1.6 | 1.5 |
Loblaw Cos Ltd. | 1.4 | 1.4 | 1.4 | 1.4 | 1.4 |
Columbia Sports Co. | 1.2 | 1.2 | 1.2 | 1.2 | 1.2 |
자료원: 유로모니터(Euronomitor)
ㅇ 미국의 Gap, 캐나다 Lululemon 등 일부 기업들은 옴니채널*을 활성화해 고객을 적극 유치 중임.
- 미국 SPA 브랜드 Gap은 2013년 6월 온라인 예약, 매장 픽업 서비스를 도입해 2014년 4월 기준 매출이 전년 대비 21.5% 상승했다고 밝힌 바 있음.
- 캐나다 요가복 기업 Lululemon은 전문 요가 강사 또는 요가업계 전문가를 매장 직원으로 채용해 매장에서 바로 강습을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요가 클래스를 운영하는 등 오프라인에서 고객들과 지속적인 관계를 구축 중임.
- 이와 동시에 Lululemon은 모든 수업을 온라인에서 사전에 알아볼 수 있도록 공개하고, 무료 온라인 요가 수업도 진행하는 등 온라인 및 오프라인 시장 융합에 매우 적극적임.
* 모든 것을 의미하는 접두사 옴니(Omni)와 유통경로를 의미하는 채널(Channel)의 합성어로, 소비자가 온라인, 오프라인, 모바일 등 다양한 경로를 넘나들며 상품을 검색하고 구매할 수 있도록 한 서비스
캐나다 의류용 액세서리 주요 브랜드 제품정보
브랜드명 | 대표 제품 | 사진 | 가격(C$) |
Gap Canada Inc. | Logo Baseball Hat |
| 19.95 |
Totes-Isotoner Corp. | isotoner Pointelle Chenille Hat with Lurex for Women |
| 28.00 |
Reitmans Ltd. | Floral Scarf |  | 19.90 |
Hugo Boss Canada Inc. | BOSS GREEN Pixels Baseball Cap |
| 85.00 |
Canadian Tire Corp Ltd. | Toronto Raptors Hat, Black |  | 14.99 |
주: 제품 가격은 판매세(온타리오 주 기준 13%)가 제외된 가격
자료원: 유로모니터(Euromonitor), 각 사 웹사이트
□ 관세율
ㅇ 대다수의 한국산 스카프, 모자, 장갑 등 의류용 액세서리(HS Code 3926.20, 6214, 6505 기준)는 무관세가 적용돼 주요 수입국인 중국, 인도, 프랑스를 비롯한 여타국가 대비 유리한 상황임.
캐나다 의류용 액세서리 관세율(HS Code 3926.20, 6214, 6505 기준)
한국(FTA 특혜관세) | 개발도상국(GPT) | 최혜국(MFN) | 미국·멕시코 (NAFTA 특혜관세) |
0.0~3.0% | 0.0~10.0% | 0.0~18.0% | 0.0% |
주: 1) 한-캐나다 FTA 특혜관세: 원산지가 한국인 제품에 대해 적용되는 세율(한-캐나다 FTA는 2015년 1월 1일 발효됐으며, 2018년도에는 한-캐 FTA 4년차 관세율이 적용됨), 2) 일반특혜관세(General Preferential Tariff): 원산지가 캄보디아, 스리랑카 등 개발도상국(104개국)인 제품에 적용되는 세율, 3) 최혜국(Most Favoured Nation) 관세: 캐나다와 FTA를 체결하지 않은 국가들의 제품에 적용되는 세율, 4)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 특혜관세: 미국 및 멕시코산 제품에 적용되는 세율
자료원: 캐나다 국경관리청(Canada Border Services Agency)
□ 전망 및 시사점
ㅇ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캐나다 의류용 액세서리 시장은 2017년부터 2022년까지 연평균 1.5%의 안정적인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됨.
- 2022년 의류용 액세서리 시장 매출액은 2017년 대비 7.5% 증가한 18억7600만 캐나다 달러(1조5750억 원)를 기록할 전망
캐나다 의류용 액세서리 품목별 시장 전망
(단위: %)
구 분 | 증감률('18/'17) | 연평균성장률(2017~2022) | 증감률('22/'17) |
벨트 | 1.2 | 1.2 | 6.2 |
장갑 | 1.3 | 1.2 | 6.4 |
모자 | 1.6 | 1.7 | 8.8 |
스카프 | 2.6 | 2.3 | 11.8 |
넥타이 | 0.4 | 0.2 | 0.9 |
기타 | 1.0 | 1.2 | 6.1 |
합계 | 1.4 | 1.5 | 7.5 |
자료원: 유로모니터(Euromonitor)
ㅇ 캐나다 의류용 액세서리 브랜드 관계자와의 인터뷰에 따르면, 한국산 제품이 품질이 좋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지만 중국, 인도산 대비 가격 경쟁력이 약하다고 지적함.
- 그러나 최근 캐나다에 한류 열풍이 불면서 한국 배우나 가수가 사용하는 의류용 액세서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추세
ㅇ 최근 일본의 Uniqlo, 중국 Muji 등 아시아계 의류 제조사들이 캐나다 대형 쇼핑센터에 진출한 반면, 한국 브랜드 인지도는 매우 낮은 상황
- 우리 기업들은 주요 타깃층인 밀레니얼 세대를 공략하기 위해 소셜 인플루언서,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을 통한 공격적인 마케팅 전략 구사 필요
ㅇ 의류용 액세서리는 가격에 민감한 소비자들이 많이 구매하는 데다 타산업 대비 상표 충성도가 비교적 낮은 산업으로, 우리 기업들은 OEM으로 시장 진출하는 방안도 적극 고려 필요
자료원: ZARA, H&M, Canada Goose, 유로모니터(Euromonitor), 캐나다 통계청(Statistics Canada), Gap Canada, Totes-Isotoner Canada, Reitmans, Hugo Boss Canada, Canadian Tire, 캐나다 국경관리청(CBSA) 및 KOTRA 토론토 무역관 보유 자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