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양고깃국, 일본에 전해져 700여년 변모 국물 사라지고 갈근 넣어 단맛…과자로 변신 연양갱 19세기 확대…2차 대전 때 군용 간식으로 한국엔 20세기 초 전해져 광복 후 공장서 생산 ‘밤양갱’ 열풍 타고 ‘할매니얼’ 트렌드 간식으로
떠나는 길에 네가 내게 말했지. ‘너는 바라는 게 너무나 많아.’ 아냐 내가 늘 바란 건 하나야. 한 개뿐이야 달디단 밤양갱. 달디달고 달디달고 달디단 밤양갱 밤양갱. <비비 ‘밤양갱’
장기하가 만들고 비비가 부른 ‘밤양갱’이 신드롬을 일으키고 있다. 밤양갱은 밝은 왈츠 선율에 감미로운 비비의 목소리가 실려 살랑살랑 부는 봄바람 같은 느낌을 주는 곡이다. 지난달 13일 음원이 공개된 뒤 4주 연속 음원차트 1위를 달렸고, 소셜미디어(SNS)에선 각종 패러디물이 양산되고 있다.
중략
그런데 이 양갱이란 간식은 어디서 유래한 것일까. 이를 알기 위해선 일단 양갱의 이름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양갱의 한자 표기는 羊羹이다. 직역하면 ‘양고깃국’이라는 뜻이다. 밤, 팥, 녹두 등 앙금에 설탕과 한천을 넣어 굳힌 간식에 어쩌다 이런 이름이 붙었을까. 내용물에 양고기를 넣은 것도 아니고, 국물요리도 아닌데 말이다.
원래의 양갱은 중국 요리로, 진짜 양고기를 넣은 국이었다. 중국의 ‘송서’(488년 편찬)에는 남북조시대에 동진의 장수였던 모수지가 초기 북벌 과정에서 북위에 포로로 잡혔을 때, 당시 북위의 천자였던 세조 태무제에게 양갱을 만들어 바쳐 태무제가 기뻐했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이는 양갱이 등장하는 최초의 기록이다.
중략
일본에서 사찰음식으로 시작된 양갱은 귀족과 무인 계층에도 전해졌다. 주로 연회 요리로 제공되었는데 초기엔 국물이 있었으나 점점 국과 건더기가 분리됐다.
이후 서양에서 설탕이 전해지면서 설탕을 넣은 달콤한 양갱이 생겨났다. 다도가 유행했던 에도시대 양갱은 차와 함께 즐기는 다식으로 먹다가 과자로 정착됐다.
첫댓글 아 양갱할때 양자가 양양자라 왜 그렇지했더니 첨에는 양이 들어간거 맞구나
개흥미돋
우와 난 예전엔 젤라틴을 양고기에서 추출했나 해ㅛ네,,,
오 그렇네 양없는 양갱이군아
엄청 변했네 신기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