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인스티즈
백제의 금마저에 해당되는 전라북도 익산에는 오래전부터
민간에서 대왕릉과 소왕릉이라고 불리는 두 개의 큰 무덤이 알려져 있었다.
쌍릉이라고도 불리는 이 무덤들은 이미 고려시대부터 왕과 왕비의 무덤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그러다 일제의 침략으로 나라를 뺏기고 일제강점기가 도래하자
일본인들 입장에선 자국 왕의 무덤도 아니니 식민지 왕의 무덤이니
거칠것 없이 연구를 진행해 1917년에 무덤을 파헤쳤다
이때 수습된 사람의 어금니 몇개와 목관의 잔편, 그리고 목관 장신구 몇점은
우여곡절을 겪은 후 국립전주박물관에 보관되었다.
그러다 2016년에 국립전주박물관은 어금니를 조사해 이것은 여성의 것이니
쌍릉의 주인은 왕이 될 수 없다고 발표했다
그렇다면 무덤의 진짜 주인은 누군가 논란이 일어났다
2009년에 미륵사지 서탑을 보수공사 하다가 금제 사리봉안기가 발견 됐다
이때 발견 된 두장의 문서들은 학계를 뒤집어 엎어 버렸다
내용은 이렇다
"백제의 왕후는 좌평 사택적덕의 딸이며 639년 사택적덕의 따님이 대왕(무왕)의 건강회복을 위해 사리를 봉안했다"
이는 무왕의 왕비는 선화공주이고, 두 분의 발원에 의해서 미륵사가 조영되었다는
에 기초한 13세기 이래의 정설이 붕괴 된 것이다
삼국시대때 역사서 중 고구려의 역사서 유기 100권과 신집5권
백제의 역사서 서기 등은 당군이 불살라 버리고 신라의 역사서 국사는 실종 상태기 때문에
삼국시대 종말 이후 300~400년 후에 만들어진 삼국사기나 삼국유사보다는
그 당시 유물이 진짜 역사에 가깝다는건 당연하기 때문이다
2009년에 발견 된 사리에 들어있던 문서들로 인해
무왕의 마누라가 사실은 선화공주가 아닌 사택적덕의 따님이고
이분에 의해 639년 서탑에 사리봉안이 이뤄졌다는 것
자연히 쌍릉의 주인이 선화공주인지 사택왕후인지도 쟁점으로 대두되었다
결국 미륵사 창건과 쌍릉의 피장자를 둘러싼 대혼란을 잠재우기 위해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와 원광대 마한백제문화연구소가 재발굴조사에 들어갔다.
2018년 3월에 다시 무덤의 문을 열고 발굴을 시작했는데
이때 저 유골함이 발견 됐다
그리고 2018년 7월 17일 학자들이 모여 조사했던 최종결과가 발표 됐다
당시 저 유골을 조사하고 발표했던 사람들은
고고학, 역사학, 법의학, 유전학, 생화학, 암석학, 임산공학, 물리학 분야의 전문가등 모두가 모였었다
결과는 이렇다
이 뼛조각들은 여러 사람의 것이 아니라 한 사람의 것이며
키가 161~170㎝ 정도로서 상당히 큰 편인 60대 이상의 남성
생전에 낙상한 결과 골반뼈에 골절이 생겨 후유증을 앓은 사실
늙어서는 ‘광범위 특발성 뼈과다증’(DISH, Diffuse Idiopathic Skeletal Hyperostosis)에 걸려
척추에 극심한 통증을 안고 살았다는 점을 밝혀냈다
이 병은 인대가 골화(뼈처럼 되는 현상)되는 희귀질병으로서 50살 이상의 남성에게 발병할 가능성이 높으며
원인이 분명치 않으나 어패류를 장기간 다량 섭취한 결과로 생길 수 있다는 것이였다
법의학자들은 종전 연구에서 어금니를 여성의 것으로 본 주장에 반대하고
연령이 많은 점은 분명하지만 성별은 알 수 없다고 하였다.
마지막으로 고고학 전공자들이 가세하였다
대왕릉의 규모는 왕릉급임이 분명하고 그 연대는 7세기 전반 무렵으로 비정된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모든 의견을 종합해 보자
1. 7세기 전반에 사망한 평균 이상으로 큰 키의 60대 남성
2. 고급스러운 음식을 장기간 섭취한 결과 발생한 질병으로 인해 극심한 통증으로 장기간 투병한 병력
3. 익산이란 신도시에 있는 왕릉에 묻힌 남자
단 한명의 인물 밖에 떠오르지 않는다
익산 쌍릉의 진짜 주인은 선화공주도 사택왕후도 아닌
바로 백제 무왕이였다
참가자들은 뼛조각으로 1500년의 시간을 뛰어넘어 후손들 앞에 모습을 드러낸 무왕 앞에서 고개 숙여 예를 표했고
다음날 오전 모든 언론에서 ‘백제 무왕의 무덤 확인’이란 제목의 기사가 일제히 보도되어
이 사건은 2018년도 고고학, 고대사 연구의 최대 성과로 평가되었다
사실 백제왕의 무덤으로 거의 확실시 추정되는 무덤이 하나 더 있긴 하다
바로 석촌동 고분군 3호다
이 무덤은 고구려와 똑같은 돌무지 양식의 무덤이고 무덤의 주인은 백제의 전성기를 이끌었던 근초고왕으로 추정 중이다
발굴하면 알 수 있을지도 모르지만 현재까지 그런 움직임은 없다
인골 연구를 통하여 특정 인물의 신원을 정확히 밝힌 무왕의 경우는 매우 기적같은 경우며
이렇게 운이 좋은 경우는 드물다
예로 무령왕릉만 해도 발견 당시 저 상자속에 유골은 이미 썩어 없어져 아무것도 없었다
->
무령왕릉에서도 인골 자체는 발견되었음. 근데 발굴 당시에는 인지하지 못하다가 무려 30여년 뒤인 2009년에야 수장고에 보관되어있는 걸 뒤늦게 발견한 건데 왜 이렇게 늦게 발견했냐고?
무령왕릉 발굴했을 때 ㅈㄴ 졸속으로 발굴해서 걍 자루에 쓸어담았으니까...
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09/12/09/2009120900023.html
한 박물관의 억지 주장이 화근이 되어 시작 된 무덤 주인 논쟁
이를 확실하게 하기 위해 무덤을 재발굴 하던중 유골이 발견되었고
유골을 확인한 결과 백제 무왕으로 확인되며
무령왕에 이은 두번째 백제 왕릉으로 확인 되었다
Q. 그런데 고분군 중에서 발굴안하는 것들은 이유가 뭐임?
발굴을 제대로 할 수 있을 거란 보장도 없고 발굴 과정에서 훼손될 가능성도 많으니까.
당장 박정희 때 황남대총, 천마총을 발굴하라는 계획을 수립했을 때도 학계에서 격렬하게 반대했지만 (예를 들어 당시 문화재연구실장이었던 김정기 박사는 황남대총을 파는 건 미친 짓이다, 잘 보존되어있는 고분을 뭐하러 파냐라는 입장이었고) 당시는 대통령의 명령이 곧 법이었던 유신 시절이었기 때문에 반강제적으로 발굴이 강행되었던 거지.
현재도 학계 내 대부분의 인사들은 대형 고분들의 발굴은 반대하고 있음.
후손반대 . 기술적문제 . 후손에게 유적들 물려주려고 등
현실적인 문제가 많음
고고학 석사인데, 현재 우리나라 고고학 수준이 대형 고분 여러기도 한 번에 발굴할 능력이 됨. 못하는 이유가 예산 문제가 제일 크고 아무리 발굴을 잘해도 파괴가 된다고 보는 학자들도 많아서 안하는거임.
가장 큰 문제를 예산이라고 본 이유가 뭐냐면, 지자체에서 예산을 제대로 안줌 ㅋㅋ.. 매장문화재조사단가 기준이 있는데, 그 기준의 100프로를 절대 안줌 70~80% 주면 잘준거... 정말 제대로 발굴한다고 해도 발굴 이후 좋은 보고서까지 내야만 발굴이 제대로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음. 근데 예산을 후두려 까대니 발굴할 때부터 예산걱정하고 보고서 낼 때도 인건비 걱정하는게 대부분의 기관인데 잘 될리가 있나. 그러한 사정을 교수들이 잘 아니까 반대하는거지 예산만 잘줘봐라... 아주 멋드러지게 잘 할 수 있다.
첫댓글 헐 신기해...
우와.. 무왕도 대단한데 근초고왕 추정되는 무덤도 넘 궁금하다
신기하다!!
재밌다 신기해!!!
진짜 최근에 저 사리봉안기 발견된게 넘 신기.. 일본놈들때문에 망가진 유물 복구하려다가 어케 저게..!!! 글고 선화공주님 얘기는 완전 거짓말인지 이것두 넘 궁금하고ㅋㅋㅋㅋㅋㅋ 학교다닐때 배워서 완전 믿었는데...!!!
난 삼국시대 고구려 신라 백제 중에 백제가 젤 좋더라ㅠ
※ 여성시대 인기글 알림 봇 v1.2.0
※ 연속 등극 시 최대 3회까지 기록됩니다.
※ 자세한 내용은 프로필 게시글을 참고해주세요.
✧⋄⋆⋅⋆⋄✧⋄⋆⋅⋆⋄✧⋄⋆⋅⋆⋄✧⋄⋆⋅⋆⋄✧
2024년 03월 29일(금) 18시 - 인기글 81위 🎉
신기하다 정말
백제가 미래다
흥미돋..!
나 방금 테마스페셜보고 연어왔어. 진짜 흥미로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