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드라이브 티샷을 날리는 이민영
클럽이 길어 질수록 공을 정확히 임팩트 하기 어렵다.
그 중 드라이버는 클럽 중 가장 길어 프로와 아마추어 모두 부담스럽다.
하지만 스윙 궤도를 이해하면 쉽고 강하게 휘두를 수 있는 것이 드라이버다.
업퍼 블로(Upper Blow)로 볼을 치고 있는 김세영(미래에셋).
어드레스에서 피니시까지 클럽 헤드의 궤적을 그려 보면 타원형이 된다.
이 때 모든 클럽은 지면의 최저점을 지난다.
아이언의 최저점은 지면 아래에 있어 클럽 헤드가 공에 임팩트 되고 최저점을 지나기 때문에 디보트가 생긴다.
아이언의 스윙 궤도는 '다운블로(down blow)'다.
공이 놓인 위치에 따라 다르지만 페어웨이 우드의 최저점은 지면과 동일선상에 있어 임팩트 후 디보트를 내지 않는다.
'사이드 블로(side blow)'의 스윙 궤도이다.
'티(tee)' 위에 놓고 샷을 하는 드라이버는 스윙의 최저점을 지나 헤드가 위로 올라가면서 공에 임팩트 된다.
'어퍼블로(upper blow)'인 것이다.
드라이버샷의 정확도를 높이고 비거리 손실을 방지하려면 임팩트 구간까지 오른팔을 펴지 않아야 한다.
이를 위한 연습방법은 의외로 간단하다.
어드레스에서 스탠스 넓이와 관계없이 왼쪽 겨드랑이 밑에 공을 위치시키고 백스윙 톱에서 다운스윙으로 전환할 때 오른 팔꿈치가 몸 안쪽으로 들어간다는 느낌으로 스윙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