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여성시대* 차분한 20대들의 알흠다운 공간
카페 가입하기
 
 
 
카페 게시글
악플달면 쩌리쩌려버려 흥미돋 파묘는 초대는 되었지만 내 잔치가 아닌 거 같은 영화였음.twt (스포주의)
카카오82% 추천 0 조회 57,061 24.03.30 10:08 댓글 319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24.03.30 22:40

    나도 여시들이 김고은이 다했다고 한 게 영화 보기 전과 후로 다르게 들렸음 근데 사회가 그만큼 마초적이고 영화는 그보다는 성평등했고 난분(난년x)은 이거 성평등 아니다 할 수도 있지 여자가 굳이 충성스럽게 영화 앞에 서서 몸빵하는 건 하녀근성임

  • 24.03.30 23:02

    이해하려고 두번 읽어도 공감이 안간다 화림의 활약은 1장 친일의 파묘였다고 생각해서..굿하는거. 2장에서 일본음양사의 저주는 한국의 무당법으론 풀 수 없는거 아니었나? 그래서 땅의해법으로 풀었다 생각하는데 그러니까 당연히 상덕이 오니를 때릴수밖에 당돌한 무당이었던 화림이 한국의한과 다른 일본의 원의 개념에 눌리는 과거사도 있다고 서사 주는데 활약없고 무능력하다고하면......애초에 이 영화가 그런 무당이 칼춤추는 동양무협 요소가 없는데..그런 장르의 감독도 아니고 ...난 가끔 이런해석 1등 원탑여주물아니면 여캐들 더 작게만드는 그런느낌임....

  • 24.03.30 23:04

    화림캐 더 살리려면 장르 바꿔야지 조상신 등에업은 화림이 야스쿠니신사를 박살내고 그런거....이건 민족주의 아닌가? 나도 이런거 좋아하는데 이런 찌개끓여주는사람이 있어야지..다른말인데 이런설정 비슷한거 웹툰있지않았나...?근데 쪽바리가 검열해서 무마되고 바꿨다며 그런거 만드는 제작자가 과연 몇될까싶은....투자도 어려울듯
    그나마도 이런 항일 민족주의 설정만 넣어도 별별 공격 다 나오는데 거기다 여주가 원탑이면...슬프다 나도

  • 24.03.30 23:59

    다나카의 '한국인의 통속민족주의에 실망한다'는 글에 맞서 작가는 "잘못을 사과할 용기조차 없는" 일본을 가차 없이 비판한다. "일본인에게 예(禮)를 차리지 말라"란 유명한 말은 박경리가 이 논쟁에서 사용한 표현으로, 다나카의 글에 대한 반박문의 제목이 됐다.
    박경리는 이 글에서 이렇게 일갈한다.
    "일본을 이웃으로 둔 것은 우리 민족의 불운이었다. 일본이 이웃에 폐를 끼치는 한 우리는 민족주의자일 수밖에 없다. 피해를 주지 않을 때 비로소 우리는 민족을 떠나 인간으로서 인류로서 손을 잡을 것이며 민족주의도 필요 없게 된다."

    일본인이 한국(조선)의 민족민족거리는 그런거 비웃어서 박경리쌤이 반박한거
    갑자기 이걸 말하고싶네 민족주의가 허상이라고 한들
    https://m.yna.co.kr/amp/view/AKR20230524109400005

  • 24.03.30 23:43

    나도 공감
    화림이 너무 무력했다는 느낌
    최민식 비중이 너무컸어..

  • 24.03.30 23:45

    이런 해석 되게 흥미롭다 화림이라는 캐릭터에 대한 기대감이 도깨비불 전까지 있었는데 그 이후에 팍 꺼진 느낌이 들었거든 생각 정리에 도움될 것 같아

  • 24.03.31 03:52

    나두 아니 그렇게 카리스마 넘치던 화림이 저렇게 발발 떤다니.. 이생각

  • 24.03.31 12:16

    공감 안 됨..글케 따지면 화림으로부터 오니를 막아주는건 할매신인데? 글고 마지막 사진은 가부장제에 편입이라기보다 동지애로서 보여주는데.. 특히 나중에 각자의 삶으로 돌아가는 거로 보아

  • 24.03.31 12:21

    너무너무 공감

  • 24.03.31 19:23

    오... 흥미로운 해석이다

  • 24.03.31 20:13

    공감된다
    화림이 주인공인줄 알고 보러갔고 초반부에서도 화림이가 주인공이라고 느꼈는데 딱 그 이후는 생각보다 너무 약해서 아쉬웠음. 그리고 이 감독은 항상 늙은남자 주인공 구도를 쓰는 것 같아서 아쉬웠고
    오컬트라는 장르영화 탈을 쓰기만 했지(물론 세련된 부분도 많음) 전체적으론 그냥 한국의 다른 영화와 크게 차이 없다고 느껴짐.

  • 나도 영화보고 동생하고 얘기하면서 이런 비슷한 대화 했었어
    바이럴로 화림이 굿하는 짤 돌면서 여성 주인공인 무당 위주의 영화인줄 알았는데, 갑자기 마지막으로 갈수록 최민식이 다 해먹고있음.. 파묘 보기전에 검은사제들, 사바하 봤는데 사바하 볼때도 이정재랑 그 쌍둥이 둘 위주인줄 알았는데 갑자기 황정민 나타나서 다 해먹는? 그런느낌이었어ㅋㅋㅋㅋ 조금 당황스러웠달까

  • 24.04.01 11:32

    어제 보고왔는데 매우 공감 재밋는 영화긴 하다만 여성주의적이라고는 절대 말할 수 없음 ㅋㅋㅋ

  • 24.04.02 00:56

    오오 맞아.. 저 분 책 진짜 마니 읽는거같다.. 본질을 느끼고 설명할 줄 아시네

  • 24.04.17 21:48

    공감한다는게 신기할 정도로 노공감ㅋㅋㅋ 가부장제 틀에 본인 생각을 끼워 맞추는 것 뿐인데. 화림이 했던 굿은 평가 절하하고 이도현은 무슨 식민지남성으로 만드는지ㅋㅋㅋ

  • 24.04.19 13:15

    음..

  • 24.05.08 04:10

    너무 공감

  • 24.06.11 19:24

    글 너무 잘쓴다

  • 24.10.04 07:48

    진짜 해석이랑 댓글의견 다 너무 재밌다... 난 영화외적인 얘기긴 한데 이 감독은 늘 어린 남성을 구원하는 어린소녀에 관한 이야기. 성녀 이야기를 했거든. 그래서 이번에도 화림이 그런 역할을 한다면 더이상 이 감독작품은 안봤을거같아. 나 말고도 다른 사람들이 전작의 소녀역할에 대한 비판은 해왔던걸로 알아. 그래서 비판을 수용한다는 생각을 하긴했엇어 ㅋㅋㅋ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