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명해 드리면 다음과 같습니다.
대학지구과학개론 529면 그림 7-16은 서해안 해역의 월별 수온연직분포이며, 대학지구과학개론 575면에는 따뜻하고 습윤한 공기가 차가운 지표(해수면 포함) 위를 지날 때 이슬점까지 냉각되어 포화되면서 이류안개가 생기는 것으로 설명한다. 복사안개는 밤과 새벽에 복사냉각으로 형성된 안개를 말한다. 복사 역전층은 일교차가 크고, 맑은 날이 많으며, 바람이 불지 않는 봄이나 가을 새벽녘에 나타나기 쉽다. 특히 가을 날씨처럼 이동성 고기압이 지나가면서 하늘에 구름이 적은 날씨가 맑은 날이나 계절 중에서 내륙 지방에서 밤과 새벽에 복사냉각으로 주로 복사안개가 생길 수 있다.
대학지구과학개론 576면에 의하면, 이류안개의 경우 습윤공기가 바람에 의해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찬 바다 또는 지표면 위로 이동할 때 생기는 반면에 복사안개는 공기의 수평 이동없이 비교적 안정된 기층(주로 역전층) 조건에서 형성된다고 설명한다. 증발안개는 찬 공기가 따뜻한 수면 위로 이동할 때 수면으로부터 물이 증발하여 수증기가 대기로 공급되고 이러한 수증기 공급에 의해 포화됨에 따라 생기는 안개를 말한다.
이류안개와 복사안개는 공통적으로 수증기의 냉각에 의한 안개이고, 이류안개는 공기의 수평 이동이 있고, 복사안개는 공기의 수평 이동없는 안개이다. 냉각에 의한 안개에는 복사안개, 이류안개, 활승안개가 있다.
증발안개는 수증기 공급에 의해 포화됨에 따라 생기는 안개이다. 증발에 의한 안개(수증기 첨가에 의한 안개)에는 증발안개(steam fog, 증기안개), 전선안개(frontal fog)가 있다.
증기안개(증발안개)는 찬 공기가 따뜻한 수면 위로 이류할 때 수증기 공급에 의해 포화되어 하여 생기는 안개이다. 이류안개는 따뜻하고 습윤한 공기가 차가운 지표(해수면 포함) 위를 이류할 때 이슬점까지 냉각되어 포화되면서 생기는 안개이다.
증발안개(증기안개)는 수증기 공급에 의해 포화되어 생기는 안개이고, 이류안개는 이류할 때 냉각되어 포화되어 생기는 안개이다.
①대기환경과학(민경덕) 92면 설명에 의하면, 증발안개는 차가운 공기가 초겨울 얼지 않은 호수와 같은 따뜻하고 습한 수면 위로 통과할 때 생긴다. 처음 증발이 대기 중 수증기를 증가시키기에 증기안개라고 한다.
②대기과학개론 95면 설명에 의하면, 증발안개는 찬 공기가 따뜻한 수면 위로 이류할 때 발생한다. 이때 수면으로부터 증발에 의한 수증기의 공급과 함께 하층이 급속히 가열되므로 대기가 불안정해져서 안개를 소산시키는 작용이 동시에 일어난다. 따라서 증발안개가 형성되려면 수면위에 높지 않은 고도에 역전층이 있어야 한다. 중위도 지방에서는 늦가을에 호수나 강 부근에서 잘 발생한다.
③대학지구과학개론 577면 설명에 의하면, 증발안개는 기온과 수온의 차이가 상당히 커야 하고 수면으로부터 높지 않은 고도에 역전층이 있어 대기 하층이 안정되어 있어야 한다. 따라서 겨울철 수온이 꽤 높은 노천 온천에서 증발안개가 잘 생긴다.
한반도 가을에 내륙에는 주로 복사안개가, 서해안은 주로 이류안개가 나타난다. 대학지구과학개론 529면 그림 7-16 서해안 해역의 월별 수온연직분포에 의하면, 표면 수온은 9월이 26°C, 8월이 24°C, 10월이 19°C, 11월이 15°C, 12월이 11°C로 늦가을과 겨울의 해수면 온도는 낮은 편이고 늦여름과 초가을의 해수면 온도는 다소 높은 편이다.
한반도에서 전형적인 가을은 주로 10월을 말하는데 해수면 온도가 높은 편이 아니기에 기온과 수온의 차이가 상당히 큰 조건에서 발생하는 증발안개가 서해안 해역에서 생기기 어렵다. 기온과 수온의 차이가 상당히 큰 조건에서 발생하는 겨울철 수온이 꽤 높은 노천 온천에서 증발안개가 잘 생기는 것을 고려하면 서해안 해역은 수온이 꽤 높은 노천 온천과는 환경이 다르기 때문이다. 증발안개는 수증기 공급에 의해 포화됨에 따라 생기는 안개인 반면에 이류안개는 수증기의 냉각에 의한 안개로 한반도 가을에 서해안은 수증기의 냉각에 의한 이류안개가 나타난다. 이류안개의 경우 습윤공기가 바람에 의해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찬 바다 또는 지표면 위로 이동할 때 생긴다. 섬 지역은 주변의 바다에서 바람에 의해 이동해 온 습윤공기가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해안 부근이나 섬 지역의 지표면 위로 이동할 때 가을 날씨처럼 이동성 고기압이 지나가면서 하늘에 구름이 적은 날씨가 맑은 날이나 계절에 이류안개가 생길 수 있다.
이류안개(이류무, advection fog)는 간단히 말해서 냉각에 의한 안개에 해당하며, 차가운 지표면(지면 또는 해면) 위로 습윤공기(사실상 온난다습한 공기)가 이류하여 그 온도가 이슬점 이하로 냉각되어 생기는 안개이다. 찬 지표면(지면 또는 해수면) 위로 온난다습한 공기가 이류하면 해무(해상에서 형성된 안개)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