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구 선진국 제조기업의 특징은 개념설계 역량이 뛰어나다는 점이다.이러한 개념설계 역량은 오랜 시간 앞선 경험의 축적을 통해길러진다.현재 서구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논의는 이러한 개념설계 역량이 뛰어난 강소 제조기업을 보유한 선진국들이 IT기술을 활용하여 자국 제조기업들이 제조업의 고부가가치 영역을 계속해서 차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에서 전개되고 있다.
이것을 이해하지 못한 한국에서는 4차 산업혁명이라는 단어를 그저 ‘앞으로 우리 삶을 변화시킬 지금까지 경해해본 적 없는 큰 변화’ 정도의 모호한 의미로 사용하고 있는 듯하다.
IT 전략 컨설팅 분야에서 20여년의 경력을 보유하고 있는 저자는 IT기술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를 바탕으로서구에서 인더스트리4.0이라는 이름으로 진행되고 있는 4차 산업혁명의 최종 목적을 다음과 같이 밝혀준다.제조업 비즈니스를 모듈화한 뒤 대부분의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플랫폼 영역을 서구 선진 제조기업들이 가져가고 단순 생산영역은 중국 등의 신흥공업국이 담당하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이것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은 바로 정보혁명을 통해 탄생한 IT기술들이다.특히 4차 산업혁명에서 자주 이야기되는 클라우드와 빅데이터,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그리고 블록체인 기술이 그 주인공이다.
독자들은 이 책을 통해 4차 산업혁명이 가져오는 제조업의 새로운 비즈니스 구조는 어떤 모습일지,그리고 이것을 가능하게 하는 정보 혁명과 IT기술들에 대한 심도있는 이해를 얻을 수 있게 될 것이다.
[프라임경제]
문재인 정부가 한국 사회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는 새로운 담론으로 '제조업 르네상스 전략을 제시했다.
기존 한국 제조업 산업구조가 모방 추적형이었다면 이제는 지식 축적형 산업구조로 전환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말은 지금까지 한국 제조업이 집중해온 '실행' 역랑에서 벗어나 '개념설계 역량'을 키우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한국이 이제야 제조업 개념설계 역량을 강화하려 하고 있는 사이, 이미 지식 축적형 산업구조를 정착시킨 선진국 제조기업들은 다가오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어떤 방향으로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을까.
책에서는 선진국 제조기업들이 기존의 산업구조에서 벗어나 고부가가치를 창출해내는 새로운 비즈니스모델을 만들어내고 있다고 한다. 정부의 지원을 등에 업고 괄목할 정도로 성장해 기존 지위를 위협하고 있는 중국 제조업계와 격차를 벌리기 위해, 중국 제조업계보다 비교우위에 서있는 개념설게 역량을 소프트웨어화한 뒤, 클라우드 기반 판매 전략으로 전략을 바꾸고 있다.
▲ⓒ 하움
바로 이것이 인더스트리 4.0이며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이다. 안타깝게도 한국에서는 4차 산업혁명이라는 단어를 그저 우리 삶을 변화시킬 큰 변화 정도의 모호한 의미로 이해하는 사람들이 많다.
독자들은 이 책을 통해 4차 산업혁명이 가져오는 제조업의 새로운 비즈니스 구조는 어떤 모습일지, 그리고 이것을 가능하게 하는 정보혁명과 IT기술들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하움에서 펴냈고, 가격은 1만8000원이다.
첫댓글 네. 구독.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