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경주시 문무대왕면(文武大王面) 용당리(龍堂里)에 있는 신라 때의 감은사 절터. 慶州 感恩寺址 사적 제31호.
통일신라시대의 전형적인 쌍탑식 가람배치이며 금당과 양측 동서 회랑 사이로 익랑을 두어, 이후 건립된 사천왕사(四天王寺) 배치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감은사는 황룡사(皇龍寺)·사천왕사(四天王寺) 등과 함께 호국사찰이었다.
〈삼국유사〉에 문무왕(文武王)이 왜병을 진압하기 위해 역사를 시작했으나 중도에 죽자 그의 아들 신문왕(神文王)이 즉위해 682년(신문왕 2) 완성했으며, 금당의 기단 아래에 동향한 구멍을 두어 이곳으로 해룡이 된 문무왕이 출입할 수 있도록 했고, 또 유서에 따라 골(骨)을 매장한 곳이 절의 앞바다에 있는 대왕암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절의 이름은 본래 나라를 지킨다는 의미에서 진국사 였으나 신문왕이 부왕의 호국충정에 감사해 감은사로 고쳐 불렀다.
1960년과 1979~80년에 걸친 발굴조사를 통해 이탑식 가람배치로 남북보다 동서 회랑의 길이가 길며, 양 탑의 중앙부 뒷면에 앞면 5칸, 옆면 3칸의 금당터가 확인되었다. 또한 금당의 바닥구조가 H자형의 받침석과 보를 돌다리처럼 만들고 그위에 직사각형의 석재유구를 동서방향으로 깔아 마치 우물마루 모양으로 된 것은 〈삼국유사〉의 기록과 일치하는 것으로 매우 흥미롭다.원래 앞면 8칸, 옆면 4칸이었던 북쪽 강당은 후대에 앞면 5칸, 옆면 4칸으로 고쳐 지은 것도 밝혀졌다.
경주 감은사지 동·서 삼층석탑 국보 제112호,
감은사탑은 종래의 평지가람에서 산지가람으로, 고신라의 일탑 중심의 가람배치에서 쌍탑일금당(雙塔一金堂)으로 바뀌는 과정에서 보이는 최초의 것이다. 즉 동서로 두 탑을 세우고, 이 두 석탑 사이의 중심을 지나는 남북 선상에 중문과 금당, 강당을 세운 형태이다. 중문은 석탑의 남쪽에, 금당과 강당은 석탑의 북쪽에 위치한다. 회랑은 남·동·서 회랑이 확인되었고, 금당 좌우에는 동·서 회랑과 연결되는 주회랑이 있다. 이는 불국사에서도 볼 수 있는 형식이다.
감은사지서삼층석탑 사리장엄구 (감은사 서탑 사리장치)보물 제366호
1959년 감은사 발굴조사 때 서탑에서 나온 수레 모양의 청동제 사리장치. 정교한 연화문이 새겨진 얇은 동판 위에 복부를 만들고 네 모서리에 여덟 개의 감실을 만들어 팔부신장을 안치하였다. 또 중심부에는 작은 보주형의 사리탑을 만들어놓고 그 네 모서리에 악기를 연주하는 여인좌상을 안치했다. 화려하고 섬세한 예술성과 종교적 감성이 잘 어우러진 이 사리함은 보물로 지정돼 있으며, 국립중앙박물관에서 볼 수 있다.
한편 1996년 4월 동탑 수리 때는 높이 27㎝, 폭 19㎝로 네 면에 사천왕상이 정교하게 조각된 금동사리함이 발견되었다. 사리함 속의 금동사리장치는 높이 13.4㎝, 폭 14.5㎝의 2층 전각 모양으로 크기나 조각기법 등이 서탑 사리장치와 거의 같으며, 사리장치 2층의 연꽃봉오리 모양 탑 속에서 수정사리병과 사리 55과가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