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량교대 교좌부의 교량받침(Beaning)은 교량의 상부구조를 지지하면서 상판의 활하중(活荷重)과 동하중(動荷重)에 대응하고 하중을 하부구조로 전달하는 장치고 교량받침은 내진설계 개념의 강재받침과 면진설계 개념인 고무계열의 면진받침으로 구분하는데 받침쇠가 부식되는 이유는 신축이음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교량 슬래브 하부의 구체가 젖어 있는 것은 대부분 신축이음부의 결함(缺陷)에서 발생합니다. 신축이음(神縮繼手)은 교량상판 사이에 설치하여 교량의 노면수는 배수용 고무시트를 이용하여 교량하부로 처리하고 교량거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신축과 처짐, 회전 등의 거동(擧動)을 흡수하는 교량상판에 설치된 부속시설을 말하고 신축이음부에서 발견되는 문제점으로는 신축유간 시트 내 이물질 적채, 퇴적물질에 의한 배수시트 접착부 탈락, 오염퇴적물 장기 적채로 배수시설 열화 및 물성변화, 누수로 인한 하부구조물 열화촉진, 유간협착으로 인한 핑거판 솟음 등이 발견되기도 합니다. 누수(漏水)가 발생되면 콘크리트구체와 받침쇠를 부식(腐蝕)시켜 수명을 단축시킵니다.
1. 개요
① 일자 : 2024.5.2
② 장소 : 대전 동구지역
③ 내용 : 교량(橋梁) 교좌부 오염과 구조물(構造物) 설계수명
2. 현장모습
좋은 하루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