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서울경제 독도 위안부 정면 거론한 文 대통령의 3.1절 기념사
문재인 대통령이 취임 후 첫 3.1절 기념사에서 독도와 위안부 문제를 정면으로 거론했다. 문 대통령은 기념사에서 독도는 일본의 한반도 침탈 과정에서 강점당한 우리 고유의 영토라묘 일본이 그 사실을 부정하는 것은 제국주의 침략에 대한 반성을 거부하는 것이나 다름없다고 지적했다. 위안부 문제에 대해서도 가해자인 일본이 끝났다고 말해서는 안 되며 반인륜적 인권범죄 행위는 끝났다는 말로 덮이지 않는다면서 고통을 가한 이웃 나라들과 진정으로 화해하고 평화공존과 번영을 함께 걸어가기 바란다고 강조했다. 일본의 과거사에 대한 진지한 반성이 한일관계 정립의 전체조건이라는 의미다.
문 대통령의 이날 기념사는 국민들의 공감을 받을 만하다. 위안부 문제에 대해 전 정부와 일본 간이면합의가 밝혀지고 일주일 전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의 독도는 일본 땅이라는 망언이 또 나왔는데 그냥 없었던 일로 덮고 넘어갈 수는 없다. 국민감정이 이를 받아들일 리도 없다. 3.1절 기념사에서 2007년 노무현 전 대통령 이후 처음으로 독도라는 단어가 등장한 것도, 문 대통령이 일본을 위안부 문제의 가해자로 못 박은 것도 같은 맥락이다.
하지만 우려되는 점도 없지 않다. 지금 우리의 최대 현안은 북핵 해결이다. 이를 위해서는 한미일이 탄탄한 공조로 북한에 대한 최대의 대북 제재와 압박을 가해야 한다. 일본 정부가 문 대통령의 기념사에 대해 절대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반발하는 수준에 그쳤지만
자칫 이로 인해 한일관계 전반이 나빠진다면 대북공조에도 틈이 생길 수도 있다. 우리로서는 반드시 피해야 할 부분이다.
국가 간 관계에서 할 말은 당연히 해야 한다. 하지만 잘못된 것은 바로잡되 건강하고 진실한 상호관계를 구축하는 것도 이에 못지않게 중요하다. 문 대통령의 기념사에서 이 부분을 찾아볼 수 없는 것은 아쉽다. 양국의 동반성장을 위해, 또 북핵 위기의 종식을 위해 한일관계의 미래지향적 관계에 대한 진지한 고민이 함께 이뤄져야 할 때다.
출처 : 경향신문
문재인 대통령이 99돌 3.1절 기념사에서 일본 과거사 문제와 건국절 논란 등에 대해 명확한 입장을 밝혔다. 문 대통령은 위안부 피해자 문제를 반인륜적 인권범죄 행위로 규정했다. 이어 위안부 문제 해결에 있어 가해자인 일본 정부가 끝났다라고 말해서는 안된다면서 일본은 인류 보편의 양심으로 역사의 진실과 정의를 마주할 수 있어야 한다고 했다. 일본의 독도 침탈에 대해서는 그 사실을 부정하는 것은 제국주의 침략에 대한 반성을 거부하는 것과 다를 바 없다고 했다. 통렬한 지적이다. 올해 3.1절 기념사에서 남녀 독립투사 17인의 이름을 일일이 부르기도 했다. 장소나 내용이나 역대 대통령 중 일본을 향해 가장 강력한 메시지를 보냈다고 할 수 있다. 문 대통령은 그러면서도 일본과 함께 미래로 나아갈 것이라고 말해 과거사 문제 해결과 한 일 협력을 분리 벼행하는 투트랙 전략 방침을 재확인했다.
하지만 일본 정부 대변인인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은 문 대통령 기념사가 나오자마자 2015년 한일 합의에서 위안부 문제의 최종적이고 불가역적인 해결을 했다며 문 대통령의 발언은 한 일 합의에 반하는 것으로 절대 받아들일 수 없다고 주장했다. 참으로 어처구니가 없다. 박근혜 정부 시절 위안부 문제의 최종적 불가역적 해결을 선언한 밀실합의가 얼마나 큰 잘못이요, 족쇄가 되고 있는지 알 수 있다. 자국민들에게 거짓 역사를 가르치고, 피해국들의 고통을 외면하는 나라는 선진국은 커녕 정상국가라 할 수 없다.
문 대통령은 상하이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인 내년데 대한민국 건국 100주년임을 분명히 했다. 너무도 당연한 얘기다. 1948년 8월 15일을 건국절ㄹ로 봐야 한다는 주장의 이면에 이승만 미화가 깔려있다는 건 공지의 사실이다. 이제 임시정부 법통을 무시하고, 독립운동가를 평가절하하는 소모적인 건국절 논란에 종지부를 찍어야 한다. 문 대통령이 건국 100주년을 맞는 내년까지 한반도 평화구조 정착의 중요한 전기를 마련해내겠다고 밝힌 것도 의미가 깊다.
문 대통령은 취임 이후 첫번째인 이번 3.1절 행사에서 여러 가지 쟁점과 논란에 대해 일목요연하게 정리된 입장을 내놓았다. 당연한 얘기지만 속이 시원했다는 반응이 많은 걸 보면 그만큼 역시 바로 세우기에 갈증이 컸다고 볼 수 있다. 문 대통령은 3.1운동 정신과 독립운동가들의 삶을 대한민국 역사의 주류로 세울 것이라고 했다. 내년 100번째 3.1절은 이런 꿈들이 모두 이뤄진 기념식이 되기를 바란다.
첫댓글 서울경제는 지금 우리의 최대 현안은 북핵 해결이다. 이를 위해서는 한미일이 탄탄한 공조로 북한에 대한 최대의 대북 제재와 압박을 가해야 한다라고 하고 있고, 경향신문은 문 대통령은 3.1운동 정신과 독립운동가들의 삶을 대한민국 역사의 주류로 세울 것이라고 했다. 내년 100번째 3.1절은 이런 꿈들이 모두 이뤄진 기념식이 되기를 바란다라고 하고 있다.
경향신문의 일본 정부 대변인인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은 문 대통령 기념사가 나오자마자 2015년 한일 합의에서 위안부 문제의 최종적이고 불가역적인 해결을 했다며 문 대통령의 발언은 한 일 합의에 반하는 것으로 절대 받아들일 수 없다고 주장했다라는 점에서 더 설득력있고, 더 타당하다. 정부는 위안부 문제를 잘 알리고 일본이 잘못했다는 것을 모두에게 알려서 일본이 창피하게 만들어야 한다.
요약에 경향신문은 결론만 갔다 썼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