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 사람이 용접공이라고 해서 벽돌공이라고 해서 아무도 천한 직업이라고 입밖으로 내거나 글쓰지 않음 (그런 생각도 잘 안하는듯)
그렇기때문에 용접공,벽돌공 등등 많은 현장직들도 자신이 사회에서 은행장만큼 중요한 위치인 것을 인식하고 자존감을 갖고 있음
또한 사람을 사귐과 결혼에 있어서도 서로의 직업에 터치를 잘 안하는듯 (쟤는 쟤의 직업 나는 나의 직업 이렇게 각자의 역할에 충실할뿐)
얘들은 연봉비교같은것도 잘 안한다고함
연봉비교 시작하면 열등감 우월감이 생기고
직업 귀천이 생기고 자존감 박살 연쇄작용인듯
의사되려면 공부 많이 해야하고 청소부는 아무나 할수 있는데 인식이나 평균소득이 별차이 없으면 억울하지 않냐는 질문에
"노동은 방향만 다를뿐 둘 다 사회에 기여하는것은 똑같은데 왜 어떤건 더 좋아야만 하지?"
이 대답이 가슴을 후벼판다.
댓펌
그냥 존경심=돈임 벽돌공도 돈 많이 벌면 존경받는 거고 근데 한국은 자원이 없어서 인적자원으로 그런 직업들 단가 후려쳐서 성장한 나라였고 이제 그 대가를 치룰 때가 온 거지
의사는 공부 잘하고 많이 해서 된거니깐 고수익 철밥통 제도 유지되어야 한다는 헛소리는 요즘 많이 들리더라 ㅋ 상위권 이공계 다닌 사람들은 공부 못해서 신분 불안정한 직장인으로 낮은 연봉 받으며 조직 생활 해나가는지 아나 싶더라는
눈낮춰서 중소기업 가라는 어른들... 그런데 가면 패배자 라는 인식을 만들어 놓은것도 그런 어른들임.
사람 갈아넣어서 돌아가는 나라라 단가가 후려쳐지는거지ㅋㅋ 스페인이 우리보다 GDP 살짝 딸리긴한데 스페인은 노동시간은 우리보다 훨씬 적고(주4일제) 여름휴가 한달 동안이나 가는 나라임. 우리나라 노동시간은 OECD국가 중 1위니까 일 존나게 많이 하는거에 비해서 내실은 별로 없는거라 보면 됨
근데 이건 휘게문화랑 연결지어서 생각해봐야할듯
이거랑같이보면 덴마크특유의 정서를 이해하는데 도움이될거임
헛소리도 작작 좀 해라. 쟤네는 국민소득 전부 공개하는 나라라서 누가 얼마 버는지 평소에 전부 알고 있으니까 안물어 본다. 전국민 질투의 날이라고 핀란드는 11월 1일 전국민 소득 전부공개하는 이벤트가 있다고.
전국민의 과세정보와 수입을 전부 공개하는 정책은 핀란드를 비롯한 대다수의 북유럽 국가들이 모두 시행 중입니다. 1700년대 스웨덴에서 처음 시작된 이 제도는 당시 스웨덴의 식민지였던 핀란드와 노르웨이에 전해진 뒤 현재까지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다만 타인의 과세정보를 확인하는 방식이 조금씩 다릅니다. 핀란드는 세무서에 직접 방문해야 하는 반면 스웨덴의 경우 국세청에 전화를 하거나 '세금달력'이라는 이름의 책을 구매하면 됩니다. 노르웨이도 과거에는 책을 이용했으나 2001년부터는 인터넷을 통해 과세정보를 공개하고 있습니다.
이 분이 좋은 정보 잘 써주셨네 북유럽 국가들은 누가 얼마 벌고 세금 얼마 냈고 어느집 사는지 세금은 잘 냈는지 고로시 잘 할 수 있음 ㅋㅋ 거기서 과시한다? 바로 세금 더 내기를 기도하는 꼴임
이렇게 비교하면 음 그렇지 하던 사람들도 고졸 입사 문제 가면 입싹닫고 엘리트 주의 주장하는 거 개많이 봄ㅋㅋㅋㅋㅋ나는 고졸 입사랑 대졸 입사가 시작점에서 다른건 당연하다고 생각하는데 똑같은 업무하고 똑같은 연차인데 승진체계다르고 결국 고졸입사한사람들이 연차 더 많고 실무 더 많이해도 대졸직원이 승진 앞지르는 거 보고 진짜 불합리하다고 생각했는데 이건또 정당하다는 사람 많더라
첫댓글 나도공감해
모든 직업은 필요에 의해서 생기는 건데 왜 돈 잘번다고 존경해야되는지 모를..
이렇게 비교하면 음 그렇지 하던 사람들도 고졸 입사 문제 가면 입싹닫고 엘리트 주의 주장하는 거 개많이 봄ㅋㅋㅋㅋㅋ나는 고졸 입사랑 대졸 입사가 시작점에서 다른건 당연하다고 생각하는데 똑같은 업무하고 똑같은 연차인데 승진체계다르고 결국 고졸입사한사람들이 연차 더 많고 실무 더 많이해도 대졸직원이 승진 앞지르는 거 보고 진짜 불합리하다고 생각했는데 이건또 정당하다는 사람 많더라
ㅇㄱㄹㅇ 이거때매 지금 취준생들이 쌓여가는거잖아ㅋㅋㅋ그냥 일하면 할 수 있는데 좋은데 가야하니까 아예 포기해버리는 사람들
한국인들 특징이 직업 얘기하면 아무렇지 않게 돈 얘기 하더라 초면인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