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노조, 총파업 돌입... “기재부와 국토부가 나서서 해결해야”
안녕하세요. 일요서울입니다.
지난 4일 철도노조는 교섭장에서
불법 계엄령 소식을 접한 이후
사측과 속개한 교섭에서 막판 절충을 시도했지만,
합의 타결에 이르지 못한 바 있습니다.
노조는 “쟁점은 컸고, 이견은 해소되지 않았다”라며
“사측은 경영진 책임을 외면했고,
성과급 체불 해결 방안을 마련하지 못했다”고
밝혔답니다.
막판 교섭이 결렬됨에 따라
철도노조는 파업에 돌입한 상황입니다.
노사 간 주요 쟁점을 살펴보면 ▲4조 2교대 근무체계 개편
▲성과급 지급률 개선 ▲임금 인상 ▲인력 충원 등이 있으며,
사측에 따르면 4조 2교대와 인력충원 등은
어느 정도 의견 접근이 있었으나,
성과급과 임금 등에 대해서는 견해 차이가 컸다고
밝혔답니다.
철도노조는 일부 양보하며 합의를 시도했음에도,
그 간격이 너무나 컸다고 말했습니다.
더불어 이들은
경영진의 책임이 필요하다고 요구했으나,
사측은 과도한 요구라고 거부했다고 알렸답니다.
노조는 표면적으로, 노사문제로 비추어지지만,
그 배경에는 기획재정부(이하 기재부)와
국토교통부(이하 국토부)가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노조 측은 4조 2교대 전환과
열차 운전실 감시카메라는 국토부 승인 사항 또는
추진 중인 사항이라며,
국토부가 철도 파업의 원인 제공자라고 판단해
국토부를 비판하고 있습니다.
최명호 철도노조 위원장은 총파업에 돌입하며
“그들이 철도 노동자의 정당한 요구를 외면했고,
이는 결국 철도 노동자의 안전과
시민의 안전을 위협하는 결과로 이어질 것”이라고 밝혔는데요.
또한 “철도노동자의 권리와
안전을 지키고 무너져 가는 공공철도를 지켜내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고 덧붙였답니다.
이어 그는 “사측이 기재부와
국토부만 바라보면 구체적 대안을 제시하지 못했다며
실질적 권한을 가진 기재부와
국토부가 나서야 한다”라고 촉구했답니다.
철도노조는 총파업에 출정식에 오는 7일에는
모든 철도노조 조합원이 서울로 집결하는
제1차 상경투쟁에 나설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제1차 상경투쟁에는 1만여 명이 참석할 것으로 보입니다.
한문희 코레일 사장은
“철도노조 파업 강행으로 열차운행에
차질을 빚게 된 것에 대해 국민께 사과드리며,
24시간 비상수송대책본부를 가동해
철도 안전을 최우선으로 확보하겠다”고 고개 숙였답니다.
한 코레일 사장은
“파업에 참여한 직원들에게 임금 인상을 목적으로
파업을 강행하는 것은
결코 국민의 동의를 얻기 어렵다며
공기업 직원으로서의 책임을 되새겨
일터로 돌아오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답니다.
아울러 그는 “무엇보다 철도 안전을 최우선으로 해
열차 안전운행과 조속한 정상화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한국철도공사(이하 코레일)는
임금 인상재원을 마련하기 위해 여러 방안을 제시했으나,
철도노조의 무리한 요구로 인해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고 밝혔습니다.
철도노조가 주장하는 기본급 2.5% 인상 요구에
코레일 측은 “연초 기본급 인상(정액 6만 원)과
실적급 등으로 정부의 인상률(총인건비의 2.5%)을
이미 반영해 지급했다”고 밝혔답니다.
2급 이상 직원의 임금을 2024년‧2025년도
두 해에 걸쳐 동결하라고 요구한 부분에 관해
“ 해당 개개인에게 향후 수천만 원에 달하는
막대한 손해를 입히는 것은 물론
공사가 정상적인 조직 경영을 할 수 없게 하는 것”이라며
“올해 임금 교섭권을 넘어서 내년도 임금까지
미리 결정하라는 것으로 공사로서는
도저히 수용할 수 없다”고 밝혔습니다.
코레일은 철도노조 파업에 따른
국민 불편 최소화를 위해 지난 4일 오전 9시부터
비상근무체계에 돌입했으며,
가용자원을 모두 동원해 철도 안전을 지키기 위한
비상수송대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파업으로 인해
평시 인력의 60% 수준인 총 1만 4861명을 운용하고 있으며,
이용객이 많은 KTX와 출퇴근 시간 수도권 전철을 중심으로
열차 운행 횟수를 최대한 확보할 계획이라고 밝혔답니다.
파업 이후 평시대비 열차운행률은
▲수도권전철 75%(출근시간대 90% 이상)
▲KTX 67% ▲새마을호 58%, ▲무궁화호 62% 수준
▲화물열차 22% (수출입 화물, 산업필수품 등
긴급화물 위주 수송)으로 집계됐답니다.
▼ 기사 원문 보기 ▼
▼ 지난 기사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