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산 주릉 북쪽계곡인 심원계곡, 뱀사골, 백무동, 칠선계곡에서 발원한 물이 모여 만든 임천강이 산청군 생초면에서 경호강으로 흘러든다.
합천군 황매산 자락에서[진양기맥에 속함] 발원, 삼가면 문송천과 학리천을 이루며 산청군 생비량면에서 양천강이란 이름으로 신안면 적벽산과 엄혜산 사이에서 경호강과 만난다.
이 강의 이름을 보면 산청(山淸)을 느낄 수 있는데, 즉 경호강[거울같이 맑은 호수]란 뜻이 바로 그것이다.
경호강 주변은 빼어난 자연경관 뿐만 아니라 산청 선비들의 고고한 이야기도 널려 있어 도도한 느낌 마져 든다.
강이 산을 맞아 굽이를 도는 곳마다 선비들이 남긴 싯귀가 있고, 골에서 흘러온 물이 만나는 곳마다 정자가 있다.
경호강 본류와 임천강이 만나는 곳의 지명이 강정(江亭)이요, 경호강과 양천강이 만나는 곳에 엄혜산이 있다.
바로 그 옛날 풍류 과객들이 뱃놀이를 즐기며 시 한 수를 읊었던 유서깊은 곳이다.
적벽산과 엄혜산이 달빛에 어울려 일렁이는 경호강에 취해 시간 가는 줄 모르고 뱃놀이를 즐기던 어느 수령이 흥에 겨워 덩실덩실 춤을 추다 관인(官印)을 강에 빠뜨려 파직(罷職) 당했다는 일화는 경호강의 멋스러움을 잘 말해준다.
경호강은 강폭이 넓은데다 큰 바위가 없고, 굽이굽이에는 모래톱과 잔돌들이 퇴적돼 있어 유속은 빠르면서도 소용돌이치는 급류가 거의 없어 신종 수상 레저인 레프팅의 조건을 잘 갖추고 있기도 하다. 적벽산을 지나 엄혜산에 이르면 산청의 비경을 감추고 있다는 양천강이 경호강으로 흘러들어 온다. 합천군 삼가면 문송천과 학리천에서 시작해 산청의 생비량에 이르러 양천강을 이룬다.
전체적으로 경호강이 산청의 중심을 관통한다면 덕천강과 양천강은 좌우에서 흘러내리는 형상을 하고 있다.
황매산 자락에서 발원한 양천강과 우리나라에서 목화를 처음으로 재배한 배양마을에서 흘러오는 배양천, 청계(淸溪)라는 이름만으로도 그 맑음을 짐작할 수 있는 청계계곡에서 시작해 남사들을 적시는 남사천이 경호강과 합류하는 묵곡 또한 강변을 에워싸고 있는 소나무와 대나무, 밤나무 숲의 풍치가 볼만하다.
특히 묵곡에서부터 엄혜산을 감아돌면서 산청과 작별을 아쉬워라도 하는 듯 너른 백사장을 펼쳐놓은 소남까지의 강변은 산고수장(山高水長)의 유장함을 볼 수 있다.
경호강이 소남을 지나면 진주의 대평 들을 거쳐 진양호로 흘러든다. 덕유산에서 시작해 정자의 계곡 화림동과 상림숲을 지나 강을 형성하고는 다시 지리산에서 흘러온 엄천강과 황매산에서 흘러온 양천강을 만나 큰 물을 이룬 경호강. 예나 지금이나 변함없이 강물 가득히 담기는 달빛 마냥 어둔 시대를 밝히는 선비정신이 흐른다.
2. 산행회비 및 준비물 □ 산행회비:: 45.000원[차량비/레프팅비/중식제공] □ 기본등산장비, 우의, 장갑, 모자, 여벌옷, 스틱, 개인의약품 등 □ 식수,간식 필히 준비[중식제공] □ 행동식(과일,육포,초코렛,커피 등)
경남 함양군 함양읍에서 전북 남원 방면 24번 국도를 타고 10분 가량 가면 '백무동·칠선계곡·오도재(해발 773m)' 방면 이정표가 나온다. 이 길로 접어들면 머지않아 쉴새 없이 꼬인 S자 모양의 길이 나타난다. 꼬불꼬불한 길을 오르다 보면 웬만한 승용차도 힘에 부친다. 지금은 관광지로도 유명한 오도재다. 고갯마루에 오르면 우뚝 솟은 '지리산 제일문'이 반긴다.
상림공원 : 역사적으로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인공림"의 하나
지정번호 : 천연기념물 제154호
지정일자 : 1962년 12월 3일
위치 : 함양군 함양읍 운림리, 대덕리
규모 : 면적21HA (연장1.6KM,폭80~200M)
시대 : 신라 진성여왕때
설명 : 최지원이 이곳 천령군의 태수로 계시면서 조성 했다는 상림은 역사적으로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인공림의 하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