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천군의 관광
관광 명소로는 '마량리 동백나무숲과 해돋이'를 비롯하여 신성리 갈대밭, 한산모시마을, 문헌서원, 춘장대해수욕장, '국립생태원과 국립해양생물자원관', 금강하굿둑 철새도래지, 장항스카이워크, '유부도와 서천갯벌' 등이 '서천 9경'으로 꼽힌다. 제1경인 서천 마량리 동백나무숲(천연기념물 169)은 바닷가 낮은 언덕에 수령 오백 년의 동백나무들이 군락을 이룬 곳으로, 전망대처럼 세워진 동백정(冬栢亭)에 올라 바라보는 서해의 풍광 특히 일몰 때의 모습이 장관을 이루며, 인근의 마량포구에서는 서해에서 드물게 일출과 일몰 광경을 한자리에서 감상할 수 있다. 제2경인 한산면의 신성리 같대밭은 약 25만㎡에 달하는 넓은 구역에 하늘과 맞닿을 듯 넘실거리는 키 큰 갈대들이 금강의 물결과 어우러져 빼어난 경관을 이루며, 겨울에는 고니·청둥오리 등 철새 군락지로도 유명하다. 제3경인 한산모시마을은 국가무형유산(14호)이자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된 한산모시짜기를 만날 수 있은 곳으로, 한산모시를 처음으로 생산하였던 건지산 기슭에 모시각과 전통 공방, 한산모시관, 토속관 등의 시설을 갖추어 모시 제작과정과 전통문화를 체험할 수 있게 하였다. 제4경인 문헌서원(충남 문화유산자료 125)은 고려 후기의 학자인 이곡(李穀)·이색(李穡) 부자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세운 서원으로, 기린산 자락의 짙푸른 송림과 전통 건축의 자연미가 어우러져 정취를 더한다. 제5경인 춘장대해수욕장은 고운 찰모래 백사장과 해송·아카시아숲이 어우러진 야영지를 갖춘 서천의 대표적 피서지로서 1997년 관광진흥법에 따라 관광지로 지정되었다. 제6경은 4500여 종의 동식물과 열대관·사막관·지중해관·온대관·극지관 등 5대 기후대 생태체험을 할 수 있는 에코리움 등을 갖춘 마서면의 국립생태원, 해양생물자원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장항읍의 국립해양생물자원관을 꼽는다. 제7경인 마서면의 금강하굿둑 일대는 풍부한 수자원과 어족자원 등을 갖춘 천혜의 철새 서식지로서 겨울마다 40여 종 50여 만 마리의 철새들이 날아들어 장관을 이루고, 사계절 풍광이 수려한 곳으로서 1993년에 관광지로 지정되었다. 제8경인 장항스카이워크는 기벌포해전전망대라고도 하는데, 676년 신라가 이곳 기벌포(장항읍의 옛 이름)에서 당나라 수군을 물리친 기벌포 전투를 기념하여 명명한 것이다. 스카이워크가 장항송림산림욕장에서 높이 15m, 길이 250m에 걸쳐 해송 숲 위를 가로질러 바다 위로 이어져 아찔하면서도 아름다운 전망을 즐길 수 있다. 제9경인 유부도는 서천군의 유일한 유인도이자 철새들의 중간 기착지로서 서천군의 시조(市鳥)인 검은머리물떼새들이 집단으로 겨울을 나는 곳이며, 서천갯벌은 서면·비인면·종천면 일원과 유부도 일대의 연안습지가 습지보호지역 및 람사르습지로 지정되었다.
이밖에 1816년(조선 순조 16) 당시 마량진에 정박한 영국 함선의 함장으로부터 성경을 처음 받은 일을 기념하여 건설한 마량포구의 '한국최초 성경전래지 기념관', 옛 장항화물역을 문화관광의 플랫폼으로 새 단장한 장항읍 창선리의 장항도시탐험역, 한말의 사회운동가로 활동한 월남 이상재선생생가지(충남기념물 84), 야생화관찰원·버섯재배원·숲속의집·야영장 등을 갖춘 종천면 산천리의 희리산해송자연휴양림, 연꽃정원·미로정원·솟대정원·옹기전시장·분재전시장 등을 갖춘 기산면 화산리의 서천식물예술원, 썰물 때 쌍도까지 약 300m의 바닷길이 열리고 일몰 풍광이 아름다운 비인면 선도리의 쌍도해안, 마량포구 인근의 마량권 낚시터 등의 명소가 있다. 걷기 여행으로는 금강하굿둑 관광단지~조류생태전시관~신성리 갈대밭으로 이어지는 금강2경 도보여행길을 비롯하여 문헌서원을 중심으로 하는 천년마중길, 국립생태원 배롱나무길, 바닷가 생태탐방 코스인 철새나그네길 등이 있다. 농어촌 체험마을로는 미니 베틀로 모시짜기와 소곡주 만들기 체험 등을 할 수 있는 한산면 동산리의 동자북마을을 비롯하여 신성리 갈대밭 주변의 갈숲마을, 마서면 계동리의 황새마을, 화양면 월산리의 달고개모시마을, 서천읍 삼산리의 고살메갈꽃체험마을, 판교면 심동리의 산촌생태마을, 서면 월호리의 월하성어촌체험마을, 비인면 선도리의 갯벌체험마을 등이 있다.
출처:(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2024-10-21 작성자 명사십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