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내고향 풍기
카페 가입하기
 
 
 
 

회원 알림

다음
 
  • 방문
    1. 나그네.
    2. 왕머스마
    3. 깡추
    4. 구름밭(김정묵)
    5. 천개사
    1. 석양 나그네
    2. 렛테(김서정)
    3. 인풍52
    4. 德隱
    5. 쥔장
  • 가입

회원 알림

다음
 
  • 방문
  • 가입
    1. 노자규
    2. Pine
    3. 류재수/52임을 등..
    4. 손혁수55
    5. 콩콩
    1. *상록수
    2. 구름한조각
    3. 풍기
    4. 한도배
    5. 현철
 
 
카페 게시글
향토회 5050만원 하는 해창 대장경 출시
小談 (구 큐티여사) 추천 0 조회 204 25.02.01 06:36 댓글 5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25.02.02 04:44

    첫댓글 고금 동서의 고급 명주는 술맛도 좋고 가격도 비싸서 주객들의 선호의 대상입니다.
    하지만 필부인 저는 비록 주미도 떨어지고 가격도 저렴한 막걸리나 소주, 맥주를 벗합니다.

    상기한 원문의 18도 해창 막걸리(1병 11만원)를 3년 전에 서울 벗님이 어렵게 구했다며,
    귀하니까 막걸리를 소줏잔에 나누어 마셨는데, 맛이 막걸리 + 소주의 조합이었습니다.

    110만원 짜리(18도) 막걸리, 5050만원 호가의 증류 82도의 소주 세트 해창대장경은
    화중지병(畵中之餠) 즉, '그림의 떡'이니 간과지사(看過之事)의 대상입니다.

    더우기 6억 이상의 와인을 선물 내지는 마시는 자는 고급 귀족이 아니라, 어리석고 모자라
    제 구실을 못하는 '마음의 병신' '쪼다'라고 명명해도 제 속은 가라앉지 않을 것입니다.

  • 작성자 25.02.01 21:33

    저도 해창 막걸리 대표님이 지 정신인가 했더니
    외국의 와인 값은 그리 비싼데
    한국의 전통 막걸리는 왜 몇 천 원 해야 하냐면서
    간 크게 계속 비싼 막걸리와 소주를 출시하네요
    막걸리 18도를 도매에 12만원하니 소매엔15만원이 맞네요
    제가 그냥 아무리 촌에 살아도 이렇게 비싼 술도 있다는 걸
    못마시지만 알기라도 하라는 생각에 캡처해서 올렸습니다.
    술 한병 그림 한 점에도 경매가 가 몇 억원씩 하는 것 우리와는 상관도 없는
    일이니 열받지 마시옵소서..ㅎㅎ

  • 25.02.01 16:39

    막걸리..어릴 적 추억이 소환된다
    영주국민학교 그 도로 양켠으로 관공서 상가가 밀집되어 시내 중심이 된곳이다
    경찰서에서 매일 정오가 되면 사이렌이 울려서
    우리는 오정분다 그래 표현했다
    그 신작로는 오일마다 장이 선다
    막걸리..선술집이 더 맞는 왕내포 라는 빨간색 글씨가 유리창문에 붙어있는 곳
    문 앞에 장국이 설설 끓고 그 국 냄새가 아직도 코 끝에 스친다
    그 왕대포집이 주인이 무슨 이유에선지 가게 세놓는다는 소문이 났다
    잠 자다 깨었는데 엄마 아버지께서 진지한 의논을 하시는데
    그 왕대포집을 하면 어떨까 엄마의 주장이고
    아버지께서 강력히 반대하시네
    그 반대 이유가~딸 만 키우는데
    항차 장래 술집 딸들이란 오명을 어찌 내 새끼들에게 씌우리 였다
    배곯게 되어 밥 얻어 먹으러 다니게 할지언정
    그건 가난한 죄 뿐이니 술집 딸 멍에에 비할거냐
    절대 그건 아닐세 잔잔한 아버지 말씀이
    나는 오래 가슴에 담고 샬았다
    막걸리~~동네 아이들 어른들 심부름으로 주전자 들고 가는거 보고
    우리 아이들에게 그런 일은 절대 하게 말아라고
    엄마에게 다짐하셨던 아버지..
    초등동창회 어떤 동창이 술 심부름 하다
    그 막걸리를 배고파 다 마신 이야기가
    그 동창의 직업과 연결된게 참 아이러니했다

  • 작성자 25.02.01 21:42

    렛테님은 어릴 적에 추억이 참 많은 것 같아요.
    저는 별로 추억없이 살았고, 이북에서 피난 와서
    풍기 직조 공장도 하고 형제들이 많지 않아
    경제적으로는 힘든 걸 모르고 산 반면 엄마가 10년 이상
    걷지도 못하고 병석에 누워서 받은 정신적인 고통은
    밥을 굶는 것 보다 더 힘들었던 것 같아요.
    우리 학교 다닐 때 양조장집 딸은 부자 집 딸이었답니다.

  • 25.02.04 07:27

    서정님의 답글을 볼 때마다 '어찌 저런 감성을 소유하셨나?' 했는데,
    그 것은 어릴 때부터 바로 부모님의 사랑을 듬뿍 받으셨기에 풍성한
    사랑이 늘 가슴에 지닌 걸로 생각되어 집니다.

    그 당시 남아 선호 사상이 지배적이었는데도 영애님들을 위한 부모님의
    너르고 깊으신 사랑이 함께 하셨기에, 참고 이겨내며, 배려할 수 있는
    오늘까지의 원동력이 생기신 겁니다.

    서정님 탄생하신 날에는 축하 받음도 소중하지만, 우선적으로 부모님
    계신 곳을 향하여 큰 절 올리는 것이 지극히 마땅하다고 여깁니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