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변을 일으켜서 목종을 폐위하고 실권자 천추태후를 실각시키고 대량원군을 고려 현종으로 즉위시킨 서북면 도순검사 강조의 정변이 거란 성종이 고려를 침략하는 데에 강조의 정변을 명분으로 삼아서 강조를 징벌을 한다는 구실을 내세웠습니다. 강조가 거란 성종에게 대항해서 맞서 싸울 때에 농성전을 하지 않았고 거란 성종의 40만 대군과 정면으로 맞서 싸울려고 했던 것은 어떻게 봐야할까요?
고려군이 청야수성전에 능하다고 본다면 침략을 한 거란 성종의 친정군이 현지에서 식량과 군수물자를 자체적으로 조달을 하지 못하게 청야전을 하면서 성에 의지해서 수성전을 하면서 농성을 하는 것이 들판에서 거란군과 정면으로 맞서는 것 보다는 더 낫다고 할 수 있지 않을까요?
기병이 주력이고 유목민인 거란군에 맞서서 고려군에 검차 라는 대기병전에 쓸 무기가 있었고 30만 이라는 병력으로 거란 성종의 40만 대군에 맞섰다면 대등하게 맞서 싸웠을 것 같고 고려가 성종 이후에 목종 시기에 군사력을 키우고 증강을 했다면 강조가 거란 성종의 40만 대군을 막아 내는 것은 가능한 일이 라고 봅니다.
그런 데, 의문인 것이 강조가 전장에서 거란 성종을 상대로 한 전투에서 승리를 하고 자만심이 생겨서 장수로써의 위엄을 잃고 바둑을 두었다는 것이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아무리 바둑을 두는 것을 좋아하고 잘 두는 사람 이라고 해도 때와 장소를 가려야 하는 것이 아닌가요? 한 군대를 이끄는 수장 이라는 사람이 적군과 대치하고 있는 긴장상황에서 몇 번 전투에 승리를 했다고 자만심이 생겨서 긴장을 풀고 바둑을 두었다는 것이 상식적으로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물론, 강조가 거란성종에게 포로로 잡힌 후에 회유에 넘어가지 않고 고려의 장수 답게 죽음을 선택을 했다는 것은 높이 평가를 할 수는 있지만요. 강조가 거란 성종에게 맞서면서 청야수성전을 하면서 장기전을 끌고 가지 않고 들판에서 정면승부를 할려고 했었고 거란성종을 상대로 몇 번 승리를 해서 자만심이 생겨서 장수로써의 위엄을 잃고 바둑을 두었다는 것을 어떻게 봐야할지 의문이 듭니다. 역사는 승자의 기록 이라는 점에서 본다면 강조가 정변을 일으키고 현종을 옹립하면서 폐위된 목종을 시해 했던 것은 어떻게 봐야할까요? 고려사 기록이 강조 라는 인물을 왜곡한 것일까요?
KBS 드라마 천추태후에서는 강조 라는 인물이 발해유민 출신으로 천추태후의 최측근으로 설정이 되어 있었고 태조왕건의 친손녀, 외손녀 이고 경종의 왕후, 목종의 모후 였던 천추태후에 대해서는 김치양과 놀아나고 조카이면서 사촌동생인 대량원군을 죽일려고 했고 김치양과의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을 목종의 후사로 옹립할려고 했던 요부로 역사에 기록이 된 것을 요동정벌을 꿈꾸고 거란의 침략에 맞서 싸웠던 인물로 재평가를 한 것은 드라마 상의 이야기이고 강조 라는 인물이 목종 시기에 서북면도순검사로 있었다는 것은 강조가 천추태후와 상당히 가까운 최 측근에 있었다는 이야기가 될 수도 있다고 봅니다.
서북면도순감사 라는 자리가 서북면의 치안과 국경수비를 책임 지는 중요한 자리 라고 본다면 천추태후가 아들 목종을 대신해서 섭정을 하면서 서북면을 중요시 했다고 볼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