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7년 기준 목재 제품 시장 규모 총 67억 달러 -
- 미시간 주 사무용 목재 가구 제조업 미국 전체 1위 –
□ 목재 제품 시장 동향
ㅇ (시장 규모) 미국 노동부가 5월 발표한 노동지표에 따르면 신규 고용자수는 22만 3,000명임. 5월 실업률 또한 3.8%로 기존 예상치인 3.9%를 밑돌면서, 완전 고용 상태에 근접했다는 분석이 잇따르고 있음
ㅇ 이에, 신규 오피스 빌딩 건설 증가로 건축자재와 책상과 같은 사무용 가구에 대한 수요도 동시에 증가하고 있음. IBIS World는 목재 제품의 시장규모가 2023년까지 지속적으로 유지되며 향 후 5년간 1억 달러가 증가한 68억 달러 규모의 시장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
ㅇ 2017년 목재 제품 시장 규모는 총 67억 달러로 이 중 연료용 목재 (Wood stock and fuel) 31.7%, 건축자재 (Architectural products) 21.4%, 가정용 가구 (Home furnishing) 19.8%, 바구니, 릴 및 스토퍼 (Baskets, reels and stoppers) 9.9%, 공구 및 핸들 (Tools and handles) 7.8%, 기타 (Other) 4.7% 및 스포츠 제품 (Sporting foods) 4.7%를 차지하는 것으로 집계
- 주요 판매 거래처로는 소매업자 (Retailers) 28.3%, 도매업자 (Wholesalers) 23.2%, 건축 도급업자 (Building Contractors) 18.9%, 수출용 (Exports) 14.8%, 비즈니스 (Business) 12.0%, 기타 (Other) 2.8% 순임
목재 제품 시장 구성표 및 매출이익 전망

자료원 : IBIS World
ㅇ (주요 생산기업) IBIS World에 따르면 2017년 기준 미국 내 총 6,500개의 목재 제품 생산 업체가 있으며, 이 중 Sonoco Products Company 2.4% 및 American Wood Fibers 1.7%로 가장 눈에 띄는 점유율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집계됨
- 미국 사우스 캐롤라이나 주 하츠빌 (Hartsville) 시에서 시작된 Sonoco Products Company는 글로벌 포장기업으로 다양한 포장용기, 소비재 및 산업용 포장지를 전문적으로 생산.
- American Wood Fibers는 목분 (Wood Flour)과 팻밥 (Wood Shavings)을 생산하는 기업으로 현재 매년 10억 파운드 (Ib) 이상의 목질 섬유를 소비자들에게 제공하고 있음
ㅇ (목재 제조기업분포) 목재 제품 제조시장은 플로리다, 조지아 및 놀스캐놀라이나 주가 위치한 동남부 지역이24% 밀집률을 보임. 동남부 지역이 차지하는 인구 비율이 미국 인구의 약 4분의 1이며 1인당 소득이 높은 조지아 주 아틀란타 시와 플로리다 주 마이애미 시를 중심으로 제품 수요가 빠르게 확대되고 있음
- 비교적 온화한 날씨와 산림지의 비율이 높아 동남부 지역에 미국 전체의 약 50%에 해당하는 벌목 업체와 제재소가 진출해 있음
ㅇ 이 외 , 위스콘신, 인디애나, 미시간, 오하이오 주가 위치한 오대호 (Great Lakes)지역이 캐나다와 인접하고 수출이 용이하다는 점이 부각되면서 미국 전체의 약 19.0%의 목재 제조산업이 위치해있음
목재 제품 제조기업 분포도

자료원 : IBIS World
□ 미시간 주 목재 산업 동향
ㅇ 미시간 주의 주요 도시 중 하나인 Grand Rapids 시는 풍부한 목재 자원을 바탕으로19세기부터 가구산업이 발달. 이에, 가구의 도시 (Furniture City)로 불리며 사무용 가구산업이 특히 발달
- 미시간 주 Department of Natural Resources가 발표한 “Forest Products Industries’ Economic Contributions to Michigan’s economy – 2017”에 따르면 사무용 목재 가구 제조업 (Wood Office Furniture Manufacturing)이 미국 전체 1위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남
* 주요 사무용 가구 업체로는 가구계의 BIG 3로 불리는 Steelcase, Herman Miller, Haworth가 Grand Rapids 인근 지역에 위치함. 그 외 70여개의 중소 업체가 분포해 있음
3사 주요 사무용 가구 제품

자료원 : steelcase.com / hermanmiller.com / haworth.com
ㅇ 미시간 주 정부는 2013년 목재 제품 제조 산업 활성화를 위해 5년 장기 계획을 발표함으로써 공공 및 민간 정책, 각종 프로그램 투자를 적극적으로 검토
- 국가 및 지역 경제에 미치는 목재 산업의 경제적 영향을 200억 달러로 확대
- 미시간 주 목재 산업의 수출 부가가치 창출 규모를 최대50%로 확대
* Michigan Department of Natural Resources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미시간 주 목재 제품 총 수출규모는 1억 6,140 만 달러임. 이 중, 캐나다 7,420 만 달러, 중국 3,230 만 달러, 독일 840만 달러, 일본 660 만 달러, 멕시코 500 만 달러 순임
* 목재 제품 외 2016년 종이류의 수출 규모는 3억 2,190 만 달러로 집계되며, 가구 제품은 5억 4,120 만 달러로 집계됨
2016년 미시간 주의 목재 제품 연간 총 수출

자료원 : Department of Natural Resources
- 목재 산업에 접목되는 일자리10% 확대를 통해 고용 증가 전망. 2012년 고용인원인 34,204 명을 넘어2018년 총 37,624명에 근접할 전망
□ 미국 목재 제품 수입 규제
ㅇ 목제품의 경우 미국으로 수출 시 반드시 미국표준협회(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 ANSI) 규정을 준수해야 함. 목제품 중 건축용일 경우 미국상무 부 (U.S Department of Commerce)가 발표한 판재 표준인 PS-1 또는 건축에 적합한 목재 제품 성능을 정해놓은 APA (The Engineered Wood Association)의 PRP -108 (구조용 판재의 성능 표준 및 품질관리 정책) 기준을 따라야 함
ㅇ 또한 , 미농무 부는 불법으로 벌채된 목재 제품 수입을 방지하고 미국 목재산업을 보호하기 위해 레이시 법령 (The Lacey Act)에 따라 모든 목재 제품의 식물 종과 원산지에 대한 세관 신고를 의무화하고 있음
□ 미국 수입 동향
ㅇ HS Code 4401 (Fuel Wood in Logs, Faggots etc)을 기준으로 2017년 미국 시장의 전체 수입 규모는 약 1억 1,120만 달러로, 전연 대비 11.4% 증가함. 2017년 해당 품목의 대미 수출 최대 규모 국가는 캐나다로 약 8,920만 달러 수출하며 전체의 79.6% 차지
HS 4401 기준: 미국 시장 내 수입 현황: 연간 기준
(단위: 십만 달러)
순위 | 국가 | 2015년 | 2016년 | 2017년 |
| 비중 | | 비중 | | 비중 |
| 총 수입액 | 1,084 | 100 | 1,005 | 100 | 1,120 | 100 |
1 | 캐나다 | 916 | 84.5 | 798 | 79.3 | 892 | 79.6 |
2 | 프랑스 | 40 | 3.7 | 44 | 4.4 | 71 | 6.4 |
3 | 에스토니아 | 31 | 2.9 | 25 | 2.6 | 34 | 3.0 |
4 | 라트비아 | 30 | 2.8 | 43 | 4.3 | 31 | 2.8 |
5 | 온두라스 | 21 | 2.3 | 42 | 4.2 | 19 | 1.8 |
자료원: Global Trade Atlas
ㅇ HS Code 9403 (Furniture)을 기준으로 2017년 미국 시장의 전체 수입 규모는 약 233억 5,384만 달러로, 전연 대비 9.1% 증가함.2017년 해당 품목의 대미 수출 최대 규모 국가는 중국으로 약 113억 1,130만 달러 수출하며 전체의 48.4% 차지
HS 9403 기준: 미국 시장 내 수입 현황: 연간 기준
(단위: 백만 달러)
순위 | 국가 | 2015년 | 2016년 | 2017년 |
| 비중 | | 비중 | | 비중 |
| 총 수입액 | 20,329 | 100 | 21,402 | 100 | 23,353 | 100 |
1 | 중국 | 9,549 | 47.0 | 10,142 | 47.4 | 11,311 | 48.4 |
2 | 베트남 | 2,884 | 14.2 | 3,025 | 14.1 | 3,373 | 14.5 |
3 | 캐나다 | 2,132 | 10.5 | 2,386 | 11.2 | 2,423 | 10.4 |
4 | 멕시코 | 1,108 | 5.5 | 1,115 | 5.2 | 1,108 | 4.8 |
5 | 말레이시아 | 655 | 3.2 | 645 | 3.0 | 712 | 3.1 |
자료원: Global Trade Atlas
□ 시사점
ㅇ 미국경제가 완만한 회복세를 보임에 따라 일반가정 및 산업에서 다양한 형태의 목재 제품을 구매하기 위한 소비지출이 더욱 확대될 전망. 이에, 기존 시장에서 유통되고 있는 제품들과 내구성, 품질 등 차별화된 장점으로 시장 공략 계획 수립 필요
- 특히 고가의 디자이너 목재 제품과 중국, 배트남, 말레이시아 등 중저가형 목재 제품과의 경쟁이 치열할 것으로 전망
ㅇ 미국은 자국의 목재 산업을 보호하기 위해 수입 목제품에 사용된 식물 종과 최종 제품의 원산지까지 철저히 관리하고 있음으로 국내 기업의 원활한 수출을 위해 관련 제품 인증 및 수출 서류를 면밀히 준비할 필요가 있음
자료원 : Kotra 디트로이트 무역관 보유 종합 자료, Global Trade Atlas, steelcase.com, hermanmiller.com, haworth.com, Department of Natural Resources, IBIS World, APA, 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