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에는 항상 안전성과 경제성을 고려하여야 합니다. 많은 규정들은 설계시 경제성만 중시하였을 때의 안전성을 기준으로 설계기준을 만들지요. 전선관은 그 사용 위치에 따른 재질의 부식 문제와 기계적 보호 등의 여러 문제를 고려하여 선정을 하게 됩니다. CD 전선관이나 ELP 전선관은 파상형으로 강도를 보강하였으므 이로 인한 전선의 넣을시에 어려움이 있기도 합니다.
설치 장소 와 용도에 따른 장단점이 다르다는 점을 참조해서 보고서를 만들면 좋을 것 같읍니다. 지중 매입의 경우에는 부식의 문제를 고려한 배관의 선정, 모터와 같은 부하설비에는 진동을 고려한 배관의 선정, 노출배관, 매입배관, 은폐배관 등 각각의 환경에 따른 관련 규정등을 검토하다보면 각각의 배관특성에 따른 장단점을 파악하실 수 있을 것 같읍니다. 예전에 정리한 자료가 있는데 참조해 보세요. http://cafe.daum.net/jungi0482/ShQ/170
첫댓글 무풀이군요.. 지나가시더라도 단점이라도 한마디씩 부탁드려요~
일단 스틸파이프는 가공하기가 어렵죠...단가가 높은대신에...학교나 공공기관 같은곳의 작업에 거의쓰인다고 보면됩니다.
이유는 튼튼한 내구성(쥐가 전선을 갉을 조건을 완벽차단)과 시공만 완벽히 해놓으면 거의 문제가 없는것으로 보면됨...
이상 짧은 지식하나 였습니다.^^
설계시에는 항상 안전성과 경제성을 고려하여야 합니다. 많은 규정들은 설계시 경제성만 중시하였을 때의 안전성을 기준으로 설계기준을 만들지요. 전선관은 그 사용 위치에 따른 재질의 부식 문제와 기계적 보호 등의 여러 문제를 고려하여 선정을 하게 됩니다. CD 전선관이나 ELP 전선관은 파상형으로 강도를 보강하였으므 이로 인한 전선의 넣을시에 어려움이 있기도 합니다.
cd전선관은 슬래브 시공후 발히면(철근과 같이)찌그러짐발생, 직선배관이아니다 보니 시공후 전선입선이 쉽지가않음
hi-pvc전선관은 슬래브에 시공후 발히면 깨질수(겨울철)있는단점 과 밴드시 반드시 토치램프로 가열하여 처리함. 또한 커프링연결시 뽄드를 사용하여야함.
elp전선관 옥외지중에 사용되며. 배관연결시는 관련 부속자재를사용하여야하며 마무리는 수밀성 테이핑처리를 하여야함
설치 장소 와 용도에 따른 장단점이 다르다는 점을 참조해서 보고서를 만들면 좋을 것 같읍니다.
지중 매입의 경우에는 부식의 문제를 고려한 배관의 선정, 모터와 같은 부하설비에는 진동을 고려한 배관의 선정,
노출배관, 매입배관, 은폐배관 등 각각의 환경에 따른 관련 규정등을 검토하다보면 각각의 배관특성에 따른 장단점을 파악하실 수 있을 것 같읍니다.
예전에 정리한 자료가 있는데 참조해 보세요. http://cafe.daum.net/jungi0482/ShQ/1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