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왕의 남자 내시 1
내시하면 역사드라마에서 보듯 배우지 못해 마냥 부족 해 보이고 고자로 아이를 낳지 못하며 여자 목소리에 궁궐에서 왕의 몸종으로 잡일을 하는 사람으로 인식한다.
일면 수긍이 가고 타당하지만 고려와 조선의 차이는 있지만 내시가 반드시 고자만은 아니었다는 것과 과거에도 급제하고 상당한 재능과 학문적 지식을 가진 김부식의 아들 김돈중, 최충의 손자 최사추 등 문벌집안의 자제 였으며 임진왜란 때 피난길을 모신 내시, 왕이 정사를 돌보지 않고 주색에 빠져 방탕히고 문란한 생활에 직언을 서슴치 않았던 충신 김처선, 개국과 개창시 궁궐건축과 제도를 정비한 김사행, 조선의 건국이념인 성리학을 전래 한 안향 등과 반면에 고려말 원간섭기에 권력을 탐하고 부을 축적한 내시, 연산군을 주색에 빠지개 한 간신 김자원 등등
왕을 지근거리에서 왕명전달, 궁궐의 대소사 등을 하며 모신 이들이고 내시들은 결혼을 하고 양자를 입양하여 가정을 꾸리고 나라에서 녹봉을 받아 경제생활을 하는 재능있고 용모 있는 종2품 상선에서 종9품 상원의 품계인 전문직 남성 관리들(오늘날로 하면 대통령비서실 공무원)이었다.
* 충신 김처선/연산군에 의해 활을 맞고 다리와 혀가 잘려 죽음/사진/KBS 역사저널 그날
1. 내시(內侍, 환자(宦者), 화자(火者,효자동의 옛이름), 혼관(閽官), 혼시(閽寺), 내환(內宦), 시인(寺人) : 내시(內侍모실시, 거세 X) ⇔ 환관(宦벼슬환官, 고자, 환자, 거세, 남성의 일부 기능을 상실한 남성관리)/녹봉
조선시대 왕명 전달(전명), 궐내의 음식물 전반 감독(불과감선), 청소(소제), 궁궐문 지키기(수문,수직)을 비롯해 궁중 제사, 왕실 재산관리, 궁실의 각종 공사, 궁녀의 감독 등 궁궐내의 대소사를 하던 종2품 상선 등 16개 직책 140여명의 내시부(內侍府)의 관리로 고려때는 숙위(숙직하며 지킴) 혹은 근시(近侍, 가까이서 모심) 관리였으나, 고려 말에 환관(거세한 내시)들이 내시직에 많이 진출하여 환관이라 칭하게 되었다. 내시는 상근과 비상근으로 구분되고 월급(녹봉)을 받아 경제적 생활과 결혼, 4 ~ 5명의 양자, 첩 등을 통해 가정을 이루며 살았으며 또한 내시 족보(순조 4년 1805년 이윤묵 養世系譜)를 작성 내시 777명의 자호(자기 이름), 본관, 생몰년(生死年), 묘소 위치, 배우자 본관 등 기록을 엿볼 수 있다.
※ 내시 거세이유
- 사대부들의 왕권과 결탁하여 세력를 확대하는 것을 막기 위해 종족번식의 제한 과 친족과의 절연을 통해 사대부들의 지위를 안정적으로 지키기 위함.
- 내시와 궁녀들간의 성문란 방지
* 화자(火者) : 종로구 효자동의 옛이름, 내시들이 많이 살아 붙여진 이름
* 내시구별 : 모자의 옆에 날개가 없으면 내시
2. 내시제도의 변천
가. 고려 전기 : 내시와 환관은 명확히 달리 부르던 명칭으로 내시는 왕의 신뢰하고 명확한 지식을 지닌 가문과 학 식, 재능과 용모를 갖춘 엘리트 계층(과거, 음서 제도 문벌집안의 자제, 군공자, 학식있는 자, 예) 고려후기 안향과 최충헌의 사위 등)이고 환관은 거세(남자의 생식기, 고환을 제거하거나 능력 상실)을 한 남자로 궁중에서 잡일을 하던 관리이다.
나. 고려후기 : 공민왕 5년 1366년 내시부가 신설되며 내시부 소속의 환관과 본래의 내시를 혼용해서 부르게 됨.
다. 조선전기 : 태조 때 내시 김사행(박자청의 스승, 창덕궁 인정전)이 내시부제도를 정비했고 고려때 내시가 정치 . 경제적 질서에 관여했던 것을 정비 내시 본래의 역할을 충실히 하게 되었고 내 시와 환관은 동일한 의미로 사용 하였다.
라. 갑신정변(고종 21넌 1884년) : 내시제도폐지 3일만에 부활
마. 갑오개혁(고종 31년 1894년 ) : 갑오개혁을 계기로 내시제도 폐지
3. 내시가 되는 과정/선발, 교육 급여 등
1) 선발 : 양민 혹은 천민출신으로 거세된 10세 전후의 어린 아이로 궐에 입궁 청소, 잔심부름 등 10년 정도 수습 후 정식 내시 가 됨.
초기에는 선천적 고자를 대상으로 산발하나 고려후기에는 내시에 대한 경제적인 혜택이 많아 지며 스스로 거세하여 지원하는 경우가 빈번해졌다. 내시 지원자는 주로 양민 빈곤 가정의 자녀들로 내시양성소 시험에 통과해야, 즉 사고나 선천적 고자 우선 선발, 후천적 고자. 수염이 없을 것, 고환(양물) 제거자(3살 아이의 고환 (양물)을 명주실 묶어 제거 혹은 사기 그릇 조각 사금파리로 자름) 등 테스트를 통과해야 선발되었다. 선발은 양민 중에 선발하며 지원자 중에서 선발하는데 거세 장소에서 내시가 될 것이지 3회 질문에 자신있게 “내시가 되겠습니다.”고 해야 거세를 해 주었다 한다. 그리고 조선은 중국과는 달리 고환만 제거했다(조선왕조 실록)
입궁할 때는 항아리에 고환을 담아 이름을 붙여 내시감에 보관했다가 내시가 죽을 때 고환을 꺼내서 바늘로 시신에 봉합해서 함께 장례를 치렀다(신체발부(身體髮膚) 수지부모(受之父母) 유교사상)
* 내시의 되살이 검사의 한장면/1986년 개봉했던 이두용 감독 이미숙 주연 영화 "내시"
* 되살이 : 내시들 중에 성장기 신진대사가 활성화 되어 자른 고환의 기능이 되살아나는 경우가 있었는데 남자의 생식기능을 되찾은 내시를 일컬어 되살이라고 부르고 중국과 달리 조선에서는 음경을 자르지 않고 고환만 잘라 내시들이 성생활이 가능했다.
2) 내시 거세
가. 이유
A. 사대부들은 내시가 왕권과 결탁하여 세력를 확대하는 것을 막기 위해 종족번식의 제한과 친족과의 절연을 통 해 자기들의 지위를 안정적으로 지키기 위함.
B. 내시와 궁녀들간의 성문란 및 아이를 낳는 것 방지하여 궁궐의 질서유지
나. 방법 : 3살 아이의 고환(양물)을 명주실 묶어 제거 혹은 사기 그릇 조각 사금파 리로 자름
다. 거세 후 외모의 변화
A. 수염 : 어린아이 거세(수염 나지 않음), 수염이 난 후에 거세(3개월 이내 수염 다 빠짐)
B. 목소리 : 어린아이 거세(어린 소녀 목소리), 사춘기 이후 거세(찌를 듯이 가늘고 톤이 높음, 목이 쉰 사람의 목 소리)
C. 피부 : 여성들의 피부
D. 비만 : 남성호르몬 테스토테론이 분비되지 않아 그 원료인 지방이나 콜레스테롤이 축적되고 성생활을 하지 않 아 살이 찜.
E. 갱년기 장애와 노화촉진
거세로 열등감과 수치심을 갖게 되어 도박, 아편, 술을 즐기고 40세만 되어도 살이 빠지고 주름이 생기며 60세 노인 처럼 보임.
3) 신분 : 고려전기에는 문벌집안의 과거. 음서제도 합격자와 군공자 및 학식있는 자 중에서 선발했으나 고려후기부터는 천민(공사노비, 무녀, 부곡출신)이나 혹은 경제 적 궁핍한 빈민층(양민)이 지원하는 경우가 많았다.
4) 급여
궁녀들이 1925년 순종 때 월급기준으로 곡식(쌀, 콩, 어류 등)이나 비단, 옷감, 어류 등과 각종 수당(비자(무수리 등 하인)를 거느리는 비용, 생신, 명절 세 찬(보너스)을 급여로 받았고 상궁(1925년 기준 급여액)은 오늘날 기준으로 약 2백 (40원 X 5만)~4백만원(80원 X 5만) 상당을 그리고 지밀상궁은 250만원(50원 X 5 만원) ~ 980만원(196원 X 만원) 급여 수령/천비(비자(婢子)) 등 품계가 없는 궁녀 들의 경우에는 90만(18원 X 5만)~100만원(20원 X 5만)정도이고 세찬을 더 했을 때 는 1,200만원이고 명절, 생신 등 받는 비룔을 합산했을 때는 1,300만원 정도를 받았음을 볼 때
내시는 녹(토지)봉(곡식)을 받았고 궁녀들의 최고 품계가 정5품임 을 감안할 때
내시는 최고 품계가 종2품이어서(대략 3단계 지위가 높음) 궁녀들보다 40 ~ 50% 정도 더 받았을 것(종2품 급여 1천8백만원 이상)으로 추정된다. 내 시들 최고 품계인 종2품이 양관 관료인 정1품보다 녹봉이 많았다. 그러나 내시들 은 궁중안에서만 생활하는 궁녀들보다 궁궐을 출입해 씀씀이 많아 궁녀들보다 경제적으로 형편이 넉넉하지 못했다.
※ 1925년 : 1원이 현재 5만원 정도 화폐가치/궁녀들은 월급(곡식이나 옷감,어류 등) 을, 일반관리, 내시들은 녹봉(祿俸)을 받음. 녹(토지), 봉(곡식)
5) 교육 및 진급
가. 교육 : 내시 자질 향상 목적
A. 소수(小豎,소환小宦) : 궁궐내 견습내시(어린 내시) 90명/대전통편
- 인내력 테스트 : 물고문, 모래고문, 왕 업고 달리기 등
- 궁궐내 청소, 잔심부름, 왕 모시는 실습
- 비상시 왕을 업고 탈출하는 연습 등
* 신언패(愼심길신言牌) : 연산군 10년 1504년 3월/사진 KBS 역사저널 그날
연산군(燕山君)이 환관과 궁녀들에게 말을 삼가도록 목에 걸고 다니게 한 팻말.
1) 연산군일기 11년 1월 29일 중에서
환관이 차고 있는 말조심하라는 경귀를 조관(리가 조복을 입을때 쓰던 관)들에게도 차가 하리라.
2) 패(牌)의 내용 -
口是禍之門(구시화지문) : 입은 화를 가져오는 문이요
舌是斬身刀(설시참신도) : 혀는 내몸을 베는 칼이니
閉口深藏舌(폐구심장설) : 입을 다물고 혀를 깊이 간직하면
安身處處牢(안신처처뢰) : 몸이 편안하여 곳곳이 안온하리라.
B. 사서(논어, 맹자, 대학, 중용)와 소학, 삼강행실 교육을 받았고 매달 시험을 보 았으며 1년에 4번 근무성적평가를 받았다.
나. 시험
35세까지 사서(논어, 맹자, 중용, 대학 중 한과목을 선택해서 매달 강론을 시험 보았는데 성적을 4등급으로 분류해서 성적에 따라 근무일수가 증감하고 녹봉도 더 받았다.
※ 내시 승진시험 채점표
1등급 : 通(통) : 시험에 완전 통과 ⇒ 출근일수 2일 증가
2등급 : 略(약) : 시험에 대략 통과 ⇒ 출근일수 1일 증가
3등급 : 粗(조, 거칠조) : 약간 부족 ⇒ 출근일수 반나절 증가
4등급 : 不(부) : 성적이 부족하다 ⇒ 3일동안 출근할 수 없다.
경국대전에 따르면 내시정원은 140명이고 왕실출입내시 60명, 견습생 내시가 80 명 이었다. 왕실출입내시는 장번내시(궁중에서 상근, 성종부터 내반원에서 근무, 창덕궁 선정문 안 우측)와 출입번내시(출퇴근 비상근)로 구분하고 장번내시는 약 20명 이고 나머지는 출퇴근 내시(내소방, 종로구 효자동)로 40명이었다.
따라서 시험성적 에 따라 장번내시로 승진과 출근일수 증감여부에 따라 승진과 더불어 녹봉을 더 많이 받아 승진시험 성적이 우수해야 했다.
시험은 사서 등 기본 지식 외에 내시 입단속 인내력을 테스트, 비상시을 대비하여 왕을 업고 탈출 연습 등등을 시험했다 한다,
다. 진급 : 종2품 상선까지 진급 가능했고 정4품 상전 이하는 근무일수에 따라 승 진하되 3품이상은 왕의 특별한 명령이 있어야 했으며 종2품이 되어 정치에 관여할 수 없고 종4품 이하(체아직,遞번갈아체兒아이아職벼슬직)는 번갈아 가며 관직을 제 수 받았다.
3, 내시의 품계와 업무
1) 내시부(內侍府) : 내시부(고려 공민왕)) ⇒ 내소방(조선 태조) ⇒ 내시원(세조 12 년 1466년) 폐지 ⇒ 내반원(內班院, 성종)
내시부 소속 내시 정원 140여명(경국대전)으로 왕명 전달(전명), 궐내의 음식물 전반 감독(불과감선), 청소(소제), 궁궐문 지키기(수문,수직)을 비롯해 궁중 제사, 왕실 재산관리, 궁실의 각종 공사, 궁녀의 감독 등 궁궐내의 대소사를 하던 조선의 관청. 공민왕 5년 1356년 처음 설치되었다가 우왕 때 폐지, 공양왕 때 재설 치, 조선에서는 태조 1년 1392 내시 김사양이 내시부제도를 정비(內小房, 내소 방). 세조 12년 1466년 내시원 폐지. 정조 때는 대전 장번과 출입번내시, 왕비전 출입번내시, 세자궁 장번내시, 빈궁에 출입번 내시를 둠. 오늘날 대통령 부속실 격. 내시들은 1년에 4번 근무평정을 통해 인사를 했으며 4품 이하는 문무관리와 같이 승진했고 3품 이상은 왕의 특지가 있어야 했다. 고려말 내시부는 조 선초(태조) 내소방으로 개칭하여 부르다 성종때부터 내반원(본래의 장번내시 직무실 외에 왕의 병 치료처, 왕비 간호차 세자 거처, 왕의 진료 등으로 쓰임)이 되 었다.
* 왕을 시위하는 내시/국사편찬위원회
* 장번내시 : 가장 강한 권력을 가진 내시
당번 생활을 오랫동안 지속하는 내시로집에서 출퇴근하는 것이 아니라 내반원(내시 직무실)에 1개월씩 머물며 생활하다가 1번씩 휴가를 받아 집에 다녀오는 내시들. 왕과 왕비, 세자, 왕대비 등의 명령을 전달하거나 심부름을 하는 일 담당.
가. 장기 : 문서나 기록을 담당 내시
나, 장무 : 궁궐 안에서 오가는 일반적인 서류를 챙기는 업무
다. 승언색(세자의 비서) : 동궁(세자궁)의 심부름
라. 승전색(왕이나 왕비의 생활 비서) : 왕의 명령을 받고 심부름 역할.
2) 내시의 품계와 업무
(1) 품계/59명
A. 종2품 ~ 종4품 : 상선(종2품), 상온(정3품), 상다(정3품), 상약(종3품) ⇒ 왕의 특지(特旨)가 있어만 진급 가능
B. 정4품 ~ 종9품 : 상전(정4품), 상책(종4품), 상호(정5품), 상탕(종5품), 상세(정6 품), 상촉(종6품), 상훼(정7품), 상설(종7품), 상제(정8품), 상문(종8품), 상경(정9 품), 상원(종9품) ⇒ 일반관리 등과 관리 진급, 종4품 이하 체아직은 정해진 녹(토지)봉(곡식)없이 근무성적을 평가하여 지급
(2) 업무
가. 상선(尙膳반찬선): 종2품, 내시부 최고 품계. 왕, 왕비, 대비의 수라 담당, 쌀 1석 1말, 콩 10말(정1품보다 급여 많음)
※ 쌀 1석(144kg), 1말(1kg)
나. 상온(尙醞술빚을온, 당상) : 정3품, 왕실 사람들 시중과 술 빚는 일, 내시부의 수장
다. 상다(尙茶차다, 당하) : 정3품, 차와 과일(茶菓)을 준비
라. 상약(尙藥약약) : 종3품, 약에 관한 업무
정3품 이상 집급은 왕의 특별한 지시가 있어야 진급가능.
----------------------------------------
마. 상전(尙傳전할전) : 정4품, 왕의 명령을 승정원에 전달(승전색), 대전 내관
바. 상책(尙冊책책) : 종4품, 매를 기르는 응방관리, 서적관리. 주방, 주연장 관리
사. 상호(尙弧활호) : 정5품, 응방(매) 궁방(활과 화살관리), 왕비전 주방담당
아. 상탕(尙帑금고탕) : 종5품, 재화관리/대전의 창고관리(상고), 등과 촛불을 관 리하는 등촉방. 궁궐에 딸린 농토를 관리(감농(監農)), 세자궁의 문서 관리( 섭리)
자. 상세(尙洗씻을세) : 정6품, 대전의 그릇(대전 장기). 정원의 청소
화약방, 왕비전 등촉방의 끼니(진지), 세자궁(주방), 빈궁(섭리)
차. 상촉(尙燭촛불촉) : 종6품, 등불과 촛불관리
대전과 왕비전 등의 문을 지킴이(문차비), 세자궁(등촉방), 왕비전 주연 등 잡일 을 주관(장무)
타. 상훼(尙烜불훼) : 정7품, 난방, 궁궐문 지킴, 진상 물품 관리
세자궁의 문차비나 각 궁의 섭리, 문차비 등
파. 상설(尙設) : 종7품, 휘장, 돗자리 만드는 일/건축물의 보수나 증축 담당
하. 상제(尙除섬돌제) : 정8품, 궁궐 청소(소제)
궁궐 내부의 공원 관리, 문차비의 명령을 받아 각 궁의 문을 지키는 등 잡다한 일이나 노비들을 부리는 일.
가-1 . 상문(尙門) : 종8품, 궁궐 문지킴
나-1, 상경(尙更고칠경) : 정9품, 밤에 시간을 알리는 일, 야간에 시간 알림
다-1. 상원(尙苑나라동산원) : 종9품,정원관리, 녹봉 쌀9말(9kg)
※ 승전색(承傳色) : 집에서 출퇴근하지 않고 내반원에 머무는 ‘장번 내시’ 중에 가 장 강력한 권력을 지닌 내시. 연산군 간신 승전색 김자원
3) 내시의 근무
대전 장번과 출입번내시, 왕비전 출입번(당번을 교대)내시, 세자궁 장번내시, 빈궁에 출입번 내시 등 대전, 왕비전, 세자궁, 빈궁 등에서 일했고 내시부가 내반원으로 변경되며 내반원은 장번내시 20여명의 근무처이고 출입번(당번을 교대 출퇴근)내시는 효자동 인근 내시부에서 출퇴근 하였다.
4) 내시의 숫자 : 140명(태종) ⇒ 160명(연산군) ⇒ 120명(고종) ⇒ 갑오개혁 때 폐지
가. 내시정원은 140명(태종), 왕실출입내시 60명, 견습생 내시 80명
※ 이익의 성호사설 : 18c, 335명
나. 왕실출입내시
- 장번내시 20명은 궁중에서 상근, 성종 때부터 내반원에서 근무, 창덕궁 선정문 안 우측에 위치
- 출입번내시 40명은 출퇴근 비상근 내시로 내소방(테조 1392년, 종로구 효자동)에 출퇴근
다. 견습(소수, 소환)생 내시 80명 : 내시원(세종 때 네직원으로 개칭)에서 수습교육
* 내시족보/양세계보(養世系譜, 이윤묵)/내시 결혼과 입양을 통해 가정생활/서울역사박물관
족보를 보면 부자의 성이 다르다. 이는 동일 성씨내에서 입양의 한계로 이성에서도 입양 했음을 엿볼 수 있다.
4. 내시들의 생활
1) 가정생활과 결혼
결혼과 양자(3살 이전)를 입양해 가정을 꾸릴 수 있었다.
- 결혼에 첩까지 두고 산 내시도 있고 고환만 잘라 성생활도 가능했다.
* 내시 결혼 허용이유 : 내시의 안정적 공급(양자 ⇒ 내시)
- 양자를 4 ~ 5명 입양한 내시도 있었는데 동일한 성씨에서 입양할 수 있는 아이 가 부족 해 성이 다른 입양자가 많음 ⇒ 내시 족보 양세계보
2) 경제생활
고려말 원간섭기에는 막대한 부를 권력욕을 가진 환관 즉 정함(행량채만 200여 칸), 백안독고사(충선왕 귀양 보냄), 고용보(충혜왕 귀양 보냄), 방신우(토지 4천묘) 등이 있었으나 조선에 들어서는 정책적으로 내시제도를 정비 내시의 신분을 보장하 여 본래의 본분에 충실했고 출퇴근 등으로 궁녀들보다는 넉넉지 못함.
- 태조 : 내시 결혼 허용
- 태종, 세종 : 내시의 업무를 왕명 출납을 할 수 없게 하고 등불과 촐불관리, 청소 등만 허용
- 사대부 : 내시 결혼 반대
※ 이긍익의 “연려실기술“ : ”내시들이 장가들고 가정을 가지는 것은 이치에 어긋 날 뿐만 아니라 성인의 법도가 아니다.“ 항의 비판
3) 주거생활(住居生活) : 집단 생활 ⇒ 내시 마을
가. 종로구 효자(내시부. 화자)동, 봉익동, 계동 등
나. 은평구 신사동, 응암동, 구파발
다. 경기 : 양주군 장흥면 일영, 남영주시 화도읍 마석, 안양시 인덕원 등
라. 경북 청도 ⇒ 임당리 내시 고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