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연호(年號)는 해의 차례를 나타내기 위하여 붙이는 이름으로, 본디 군주 국가에서 임금이 즉위하면 그 임금의 치세를 나타내기 위해 붙이던 칭호를 말한다. 그래서 어떤 군주가 다스리기 시작하는 바로 그때를 원년으로 하여 치세의 해를 셈하였다. 이러한 전통은 한나라 무제가 동중서의 건의를 받아서 ‘건원(建元)’ 이라는 연호를 사용한 데서 시작되었다.
국가의 질서가 새로워지는 것이 연호의 제정으로 나타난다면, 연호의 제정은 역으로 새로운 국가 질서를 의미하는 것이 된다. 그래서 동일한 왕의 치세 중에도 반란을 진압했다든가 정치적 혁신을 꾀했다든가 하면 연호가 새로이 제정되었다. 연호를 바꿈으로써 새로운 시간을 시작한다는 의미를 부여하고 국면 전환을 도모했던 것이다.
우리나라는 중국의 연호를 따르는 것이 일반적이었지만 독자적인 연호를 제정해 사용하기도 하였다.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한다는 것은 시간을 셈하는 근거가 중국 황제의 치세가 아니라 우리나라 왕의 치세임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고려 시대 태조와 광종은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한 바 있다. 특히 고려 시대 중엽 서경 천도 운동을 펼쳤던 묘청은 우리의 왕이 중국의 황제와 마찬가지로 독자적인 치세를 이루는 왕임을 표명하고자 고려의 독자적인 연호 사용을 주장하였다. 하지만 묘청의 난이 김부식 등에 의해 진압되고 그 이후 고려가 원나라의 속국이 되면서 ㉠독자적인 연호를 세우는 일은 생각할 수 없는 일이 되었다. 조선 시대를 통틀어 일상에서는 임인년, 갑자년처럼 간지에 따라 연도를 셈하는 것이 보통이었다. 그러나 장구한 시간을 적는 역사서라면 사정이 달랐다. 간지에 따른 해는 60년마다 반복되기 때문에 역사서에 그것만 사용하면 혼란이 생길 수밖에 없었다. 그래서 『조선왕조실록』에서는 우선 왕의 치세 햇수를 적고 작은 글씨로 중국 황제의 연호와 연호에 따른 햇수를 적어 연도를 표기하였다.
『조선왕조실록』은 한 장의 종이에 굵은 선을 둘러친 다음 30 줄로 나누고 세로로 써 내려갔다. 이 종이 한 장을 반으로 접어 책으로 묶으면, 한 면은 15줄이 되었다. 본문은 굵은 선으로 둘러친 이 15줄 안에 적었는데, 왕의 치세 햇수와 중국 황제의 연호 및 햇수는 본문에 적고 그 바깥에 작은 글씨로 간지를 적었다. 이렇게 해서 간지, 왕의 치세 햇수, 중국 황제의 연호 및 햇수의 순서로 연도가 표시되었던 것이다. 이것은 비록 조선이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지 못하고 중국의 질서는 받아들였지만, 일상의 연도 셈법과 우리 조정의 연도 셈법을 조화롭게 사용하고자 하는 의도의 산물이었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연호와 연도 셈법은 그 기원과 숫자의 출발에 대한 사고를 유발함으로써 당시의 정치적, 사회적 상황을 짐작해 볼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20 윗글의 내용과 일치하지 않는 것은?
① 치세의 해를 셈할 때에는 군주가 태어난 해를 원년으로 삼았다.
② 연호는 동일한 왕의 치세 중에도 새롭게 제정되는 경우가 있었다.
③ 고려의 태조와 광종은 중국과는 다른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였다.
④ 서경 천도 운동을 펼쳤던 묘청은 고려의 독자적인 연호 사용을 주장하였다.
⑤ 연호를 정하고 치세의 해를 셈하는 전통은 한나라 무제 때부터 시작되었다.
21 ㉠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중국에 새로운 군주가 즉위하였음을 의미한다.
② 고려에 대한 중국의 영향력이 더욱 커졌음을 의미한다.
③ 고려의 왕이 중국으로부터 자주적인 존재임을 의미한다.
④ 고려가 주변의 다른 나라를 통치하게 되었음을 의미한다.
⑤ 중국 황제의 치세에 대해 백성들이 순응하였음을 의미한다.
22 <보기>는 『조선왕조실록』의 「태조실록」의 일부이다. 윗글을 참고하여, <보기>에 대해 설명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3점]
<보기>

① ⓐ가 다른 연도 표기 방식과 함께 사용된 것은 ⓐ만 사용하면 혼란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② ⓐ, ⓑ는 일상의 연도 셈법과 우리 조정의 연도 셈법이 반영된 것이다.
③ ⓒ는 당시 조선 사회에 영향을 미치던 중국의 질서가 반영된 것이다.
④ ⓒ보다 ⓑ가 먼저 표기된 것은 태조가 독자적인 치세를 이루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⑤ ⓑ, ⓒ는 결국 같은 해를 가리키지만, 각각의 연도를 셈하는 기준 연도는 달랐다.
23 윗글을 읽을 때 사용할 수 있는 독서 전략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핵심 제재에 담긴 의미를 사실적으로 이해하며 읽는다.
② 핵심 제재의 작동 원리와 발전 과정을 정리하며 읽는다.
③ 핵심 제재와 관련한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생각하며 읽는다.
④ 핵심 제재와 관련해 글에 제시된 다양한 견해를 비교하며 읽는다.
⑤ 핵심 제재와 관련해 글에 제시된 사회적 통념의 적절성을 평가하며 읽는다.
20 ① 21 ③ 22 ④ 23 ①
인문 [20~23] ‘연호의 정치학’
해제
이 글은 해의 차례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었던 연호의 개념과 의미, 연도 셈법의 다양한 방법과 그것에 담긴 의미를 설명하고 있다. 연호는 치세를 나타내기 위해 붙이던 칭호로, 국가의 질서가 새로워졌음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우리나라는 고려 시대에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한 바 있지만, 조선 시대에 이르기까지 중국 황제의 연호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특히 『조선왕조실록』 에서는 간지와 조선 왕의 치세 햇수, 중국 황제의 연호와 치세 햇수를 모두 표시함으로써 중국의 질서를 받아들였지만, 일상의 연도 셈법과 우리 조정의 연도 셈법을 조화롭게 사용하고자 하였다.
주제 연호의 사용과 연도 셈법에 담긴 의미
•1문단: 연호의 개념과 유래
•2문단: 연호의 제정과 의미
•3문단: 고려 시대의 연호 사용 양상
•4문단: 조선 시대의 연도 셈법과 표기
•5문단: 『조선왕조실록』 의 연도 표기 방식과 그 의미
20 _ 세부 정보, 핵심 정보 파악 답 ①
① 치세의 해를 셈하는 방법
1문단에 따르면, 군주가 다스리기 시작하는 바로 그때를 원년으로 하여 치세의 해를 셈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② 새로운 연호가 제정되는 경우
2문단에 따르면, 동일한 왕의 치세 중에도 반란이 진압되거나 정치적 혁신이 이루어진 경우 연호가 새로이 제정되었다고 언급하고 있다.
③ 고려 시대 독자적인 연호의 사용
3문단에, 고려 시대 태조와 광종이 중국과는 다른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한 바 있다고 언급하고 있다.
④ 고려의 독자적인 연호 사용을 주장한 묘청
3문단에서, 서경 천도 운동을 펼쳤던 묘청은 고려의 왕이 중국의 황제와 대등하게 독자적인 치세를 이루는 왕임을 표명하고자 고려의 독자적인 연호 사용을 주장하였음을 알 수 있다.
⑤ 연호 제정과 치세의 해를 셈하는 전통의 시작
1문단에서, 연호를 제정하고 치세의 해를 셈하는 전통은 한나라 무제가 동중서의 건의를 받아 ‘건원’이라는 연호를 사용한 데서 시작하였음을 알 수 있다.
21 _ 인과 관계, 상관관계 추론 답 ③
③ 독자적인 연호 제정의 의미
3문단에 따르면,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한다는 것은 시간을 셈하는 근거가 중국 황제의 치세가 아닌 우리나라 왕의 치세라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독자적인 연호를 세우는 일’은 군주와 국가가 다른 나라로부터 자주적인 존재임을 표방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① 중국에 새로운 군주가 즉위
고려가 독자적인 연호를 세우는 일은 곧 고려가 중국으로부터 자주적이고 독자적인 치세를 이루거나 이를 지향할 때 가능한 것으로, 중국에 새로운 군주가 즉위한 것과는 관련이 없다.
② 고려에 대한 중국의 영향력
고려의 독자적인 연호 사용 여부는 고려와 중국의 관계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고려에 대한 중국의 영향력이 커지면 고려의 독자적인 연호 사용은 더욱 어려워진다. 따라서 고려가 독자적인 연호를 세우는 일은 중국의 영향력이 더욱 커졌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 없다.
④ 고려와 주변 다른 나라와의 관계
고려가 독자적인 연호를 세운다는 것은 주변 국가로부터 독자적인 치세를 이루고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고려가 독자적인 치세를 이루었다고 해서 주변의 다른 나라를 통치하게 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⑤ 연호 사용에 대한 백성들의 반응
독자적인 연호의 사용은 고려가 중국으로부터 독자적인 치세를 이루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따라서 연호 사용은 중국 황제의 치세에 대한 백성들의 순응과는 관련이 없다.
22 _ 구체적 상황에 적용하기 답 ④
④ 태조가 독자적인 치세를 이루었음을 의미
5문단에 따르면, 『조선왕조실록』 에는 간지, 왕의 치세 햇수, 중국 황제의 연호 및 햇수를 적었음을 알 수 있다. 『조선왕조실록』 에 중국 황제의 연호는 표시하였으나 조선 왕의 독자적인 연호를 표시하지 못했다는 것은 당시 조선이 중국의 지배 질서를 인정하고 있었으며 중국으로부터 독자적인 치세를 이루지 못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① 간지의 문제점과 다른 연도 표기 방식의 사용
4문단에 따르면, 조선 시대 일상에서는 간지(ⓐ)를 즐겨 사용하였으나 60년마다 반복되어 역사서에 표기할 경우 혼란이 발생할 수밖에 없어 왕의 치세 햇수(ⓑ)와 중국 황제의 연호 및 햇수(ⓒ)를 적어 연도를 표기했음을 알 수 있다.
② 일상의 연도 셈법과 우리 조정의 연도 셈법의 반영
5문단에 따르면, 조선이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지 못하고 중국의 질서를 받아들였지만, 간지(ⓐ)와 왕의 치세 햇수(ⓑ)를 적음으로써 일상의 연도 셈법과 우리 조정의 연도 셈법을 조화롭게 사용하고자 의도하였음을 알 수 있다.
③ 중국의 질서가 반영된 연도 표기 방식
5문단에 따르면, 『조선왕조실록』 에서 중국 황제의 연호 및 햇수(ⓒ)를 사용한 것은 중국의 질서를 받아들였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⑤ 같은 해를 가리키지만 기준 연도가 다른 연도 셈법
『조선왕조실록』`에 표시된 왕의 치세 햇수(ⓑ)와 중국 황제의 연호 및 햇수(ⓒ)는 결국 같은 해를 다른 방식으로 표시한 것이다. 그리고 ⓑ는 우리나라의 왕이 치세를 시작한 해를 기준 연도로 삼고 있지만, ⓒ는 중국 황제가 치세를 시작한 해를 기준 연도로 삼고 있으므로, 결국 ⓑ, ⓒ는 연도를 셈하는 기준 연도가 달랐음을 알 수 있다.
23 _ 독서 방법의 적절성 평가 답 ①
① 사실적으로 읽는 독서 전략
이 글은 연호의 개념과 연호에 담겨 있는 정치적, 사회적 의미를 설명하고 있다. 따라서 이 글을 읽을 때에는 연호에 담긴 의미를 사실적으로 이해하며 읽는 것이 바람직하다.
② 작동 원리와 발전 과정을 정리하며 읽는 독서 전략
일반적으로 작동 원리와 발전 과정을 정리하며 글을 읽는 전략은 과학, 기술 분야의 글을 읽을 때 자주 사용하는 독서 전략이다. 이 글은 핵심 제재인 연호와 연도 셈법에 담긴 의미와 관련 사실을 설명하고 있으므로, 핵심 제재의 작동 원리와 발전 과정을 정리하며 읽는 독서 전략을 적용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③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생각하며 읽는 독서 전략
이 글의 핵심 제재인 연호와 연도 셈법은 현재적 의미나 가치보다는 역사적 의미와 가치가 있는 제재에 해당하므로,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생각하며 읽는 독서 전략을 적용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④ 다양한 견해를 비교하며 읽는 독서 전략
이 글에는 핵심 제재인 연도와 연도 셈법에 대한 다양한 견해가 제시되어 있지 않다. 그러므로 다양한 견해를 비교하며 읽는 독서 전략을 적용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⑤ 사회적 통념의 적절성을 평가하며 읽는 독서 전략
이 글에는 핵심 제재인 연호와 연도 셈법과 관련한 사회적 통념이 제시되어 있지 않으므로, 사회적 통념의 적절성을 평가하며 읽는 독서 전략은 적절하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