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 내용을 삭제하지 마세요!!
(아래 선 아래에 글을 올리세요!!)
----------------------------------------
출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14/0001260631?sid=100
북한, 탄도미사일 발사‥美 전략폭격기 노렸나
입력2023.03.19. 오후 8:05 수정2023.03.19. 오후 8:09
정동훈 기자
북한, 탄도미사일 발사‥美 전략폭격기 노렸나
[뉴스데스크]
◀ 앵커 ▶
북한이 오늘 오전 동해상으로 단거리 탄도미사일 한 발을 발사했습니다.
한일정상회담이 열린 지난 목요일, 대륙간 탄도미사일 ICBM을 쏜 지 사흘 만인데요.
오늘 발사는 공교롭게도 미국의 전략 자산인 장거리 폭격기 'B-1B' 가 한반도 상공에 들어오기 직전에 이루어졌습니다.
출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823560?sid=100
북한, 美B-1B 한반도 진입 직전에 탄도미사일 쐈다
입력2023.03.19. 오후 4:51 수정2023.03.19. 오후 4:52
하채림 기자
B-1B 한반도 작전구역 진입 25분전쯤 단거리탄도미사일 동해로 발사
한미 공군, 연합공중훈련 시행
(서울=연합뉴스) 하채림 기자 = 미국의 전략폭격기 B-1B가 한미 연합연습이 진행 중인 한반도에 전개해 연합공중훈련을 펼쳤다.
북한은 B-1B가 한반도에 진입하기 직전에 단거리탄도미사일(SRBM)을 동해상으로 발사, 연합연습에 대한 반발성 무력시위를 이어갔다.
국방부는 전반기 연합연습 '자유의 방패'(프리덤실드·FS) 7일차인 19일 미 B-1B 전략폭격기가 한반도에 전개한 가운데 한반도 상공에서 연합공중훈련을 했다고 밝혔다.
훈련에는 우리 공군 F-35A 스텔스 전투기와 미 공군 F-16 전투기도 참가했다.
B-1B의 한반도 전개는 이달 3일 서해와 중부내륙 상공에서 연합공중훈련에 나선 지 16일 만이자 북한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 후 사흘 만이다.
B-1B는 지난달 1일 이래 네 번째로 한반도를 찾았다.
국방부는 "한미는 이번 훈련을 통해 굳건한 연합방위태세와 '확장억제의 행동화'를 현시하는 한편 한미 공군의 상호운용성과 신속대응전력의 전개능력, 그리고 전시 강력한 전략적 타격 능력을 크게 강화한 것으로 평가했다"고 전했다.
다만 B-1B의 한반도 전개는 FS와 연계해 사전에 계획된 것으로, 북한의 최근 미사일 도발과 직접적인 관련은 없다는 게 군 당국의 설명이다.
출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1750424?sid=104
日정부 "北 탄도미사일, 변칙궤도 비행…최고고도 50㎞·비행거리 800㎞"(종합2보)
입력2023.03.19. 오후 1:30 수정2023.03.19. 오후 1:33
박준호 기자
기사내용 요약
日 EEZ 밖으로 낙하…선박, 항공기에 대한 피해 없어
이노 방위성 부대신 "北 일련의 행동 결코 용납 못해"
출처: https://youtu.be/uUX2YtEKJFY
출처: https://youtu.be/McgHoxIvXz4
[전쟁훈련 반대] 일본의 무장 이를 부추기는 미국, 매국적인 윤석열 정부
구독자 10.3만명
#강대강 #전쟁훈련 #평화 전쟁국가로 가기 위한 일본의 무장 …
출처: https://youtu.be/xP47Pwg8zvE
북한 인민군 창건 75주년 행사 분석① [아침햇살]
구독자 10.3만명
#열병식 #화성포17형 #북한 지난 2월 8일은 북한 인민군 창건 75주년이 되는 날이었습니다. …
출처: https://youtu.be/-xeE2pI08cw
[전쟁훈련 반대] 다시 보는 2022년 강대강 충돌, 한미연합훈련과 북한의 대응
구독자 10.3만명
#강대강 #전쟁훈련 #평화 김진향 "최고의 안보는 평화입니다" …
출처: https://youtu.be/GHK-CC8Fmbk
다음주 트럼프 체포되나? / ICC 푸틴 기소 진짜 이유
구독자 12.5만명
제714회 Mar.17,2023, 주류를 따르지 않는 방송은 대부분 노란 딱지입니다.
출처: https://youtu.be/VyeBtNMSZ7M
단독! 미군 대만본토 폭격준비 마쳤다! TSMC공장 미사일로 삭제, 대만 대혼란 / 백악관, 대만손절 결정새로운 OPEC 협의체 한국에 맡겼다
잡식왕
5천
좋아요 수
63,341
조회수
3월 18일
출처: https://youtu.be/csmVIJYJmQo
정신분열증에 걸린 서방과 국제형사재판소ICC의 행태!
구독자 22.6만명
조회수 2.6천회 1시간 전
이번 방송에서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기소한 국제형사재판소 ICC의 짓거리가 얼마나 어처구니 없는지를 설명드리겠습니다. ICC의 기소는 아무짝에도 쓸모없는 러소포비아 광기에 기반한 행위입니다.
출처: https://youtu.be/IJH80SqbFr8
혼돈으로 빠져드는 유럽!/일본도 유가상한제 우회했다!/우크라이나인들의 엽기적 행태!
구독자 22.6만명
조회수 1.2만회 7시간 전
이번 방송에서는 다양한 외신들을 두서없이 편하게 설명드리겠습니다. 우선 프랑스입니다. 나라전체가 혼돈으로 빠져들고 있습니다. 인플레이션과 반전여론의 급증은 기본입니다. 그런데 연금개악이 민심에 불을 질렀습니다. 정년을 2년 더 연장하고 연금지급시기도 늦춘다고 하자 국민들이 폭발했습니다. 마크롱 정권이 의회 표결절차도 거치지 않고 연금개악을 밀어붙이자 모두 거리로 나왔습니다. 물어보지도 않고 국민의 주머니를 턴다고 하니 이건 국가가 아니고 그냥 강도입니다. 민주주의가 종말을 고했습니다. 프랑스인들은 과거 루이 16세도 처단한 역사가 있다면서 마크롱을 끌어내리겠다고 강하 …
출처: https://youtu.be/qs_IENtjxR4
벨 통신 171, 우크라 정교회의 운명은? 일어나라 조국이여!
구독자 7.17천명
조회수 2.6천회 5시간 전
이 노래는 지난번에 소개시켜드린 노래입니다. 그런데 어제 우연히 방송에서 다시보게 되었는데 얼굴이 참으로 성실하게 생겨서 인터넷에서 얀오신이란 가수를 찾아보았습니다. 그랫더니 이 가수는 착실한 동방정교 신자이나 신부와 같은 신앙생활을 하고 있는것에 놀랐습니다. 노래를 한번 더 들어보시죠. 별도로 노래를 번역해서 자막을 달았습니다. 노래내용도 이번 특수전과 관련하여 한달전쯤에 작사하여 옛노래가락에 개작하여 불렀습니다. 반데라와 사탄,나치에 대하여 …
더보기
출처: https://youtu.be/gzf-PUV8C4M
우크라이나 전황(3/18) - 우크라군, 안전한 바흐OO 탈출은 불가능한 상황
구독자 5.36만명
조회수 4.3천회 7시간 전
출처: https://youtu.be/rzxG1GoX6F8
SVB와 Credit Suisse사태의 내막!/상하이방의 비밀 금맥에 타격!
구독자 22.6만명
조회수 1.7만회 12시간 전
지금 중화권을 뜨겁게 달구는 뉴스가 있습니다. 바로 중국공산당의 치부를 몇 년동안 폭로했던 망명 부호 궈원구이가 미국 FBI에 체포됐다는 뉴스입니다. 그는 뉴욕에서 사기, 돈세탁등의 혐의로 체포됐습니다. 미중대립이 시작됐을 때부터 중공내부의 온갖 추문들을 폭로한 인사가 바로 궈원구이입니다. 주로 홍색권귀의 대리인들을 고발해왔기 때문에 …
더보기
출처: https://youtu.be/Ucqoh1sBGHI
그들은 천하무적이 아닙니다 (승전보)
구독자 3.37만명
조회수 1.8만회 20시간 전
출처: https://youtu.be/vn3Q0etKsBo
우크라이나 전황(3/18) - 우크라이나 대대장의 양심 고백, "대대원 500명 모두 죽거나 부상"
구독자 5.36만명
조회수 4.7천회 9시간 전
출처: https://youtu.be/U6sB4h1khhQ
우크라이나 전황(3/18) - 우크라, 자포로지아 러 방어선 이틀째 공격중
구독자 5.36만명
조회수 7.2천회 1일 전
출처: https://youtu.be/evESrFl27Rs
0:31 / 3:59
🍎 흑해에서 추락한 미군 MQ 9 무인기/드론은 대체 어떻게 추락되었나?/고화질4K
구독자 519명
조회수 112회 18시간 전
* 2023년 3월 14일 아침,흑해 연안 러시아 영토로 향해 정찰 비행을 하던 미국 무인기 MQ-9 Reaper가 추락했다. 미국 무인기는 러시아가 특별군사작전용으로 설정한 비행제한구역에 자동응답기도 끄고 무단진입해 추락했다.추락의 시나리오는 몇가지가 있으며 미국과 러시아 모두 각자 주장을 하고 있다.일후에 추락한 무인기가 바다에서 인양되면 더욱 정확하고 유력한 설법이 제기될 수 있다. …
출처: https://youtu.be/yz2Q9ub_77g
칼집에서 나온 비수, 킨잘의 위력!/지정학 구도를 깨는 중공의 외교력!
구독자 22.6만명
조회수 1.9만회 16시간 전
중공이 중재한 이란 사우디 평화협상이후 예멘의 평화도 찾아오고 있습니다. 한스 그룬트베르크 UN 예멘 특사는 테헤란과 리야드를 방문한 뒤 예멘의 평화를 중개하려는 노력이 강화되고 있다고 안보리에 보고했습니다. 그는 예멘분쟁 종식을 위한 여러수준의 강렬한 외교적 노력이 진행중이라면서 그 모멘텀을 목격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
출처: https://youtu.be/LIUUrYBpF04
드골의 손자, "프랑스는 주권회복해야"/"미국은 제국세금을 부과하고 있다"
조회수 1.2만회 19시간 전
3월 14일 모스크바에서는 세계 러소파일 운동 대회가 열렸습니다. 러소포비아에 대항해 러시아를 사랑하는 전세계 외국인들을 불러모은 행사였습니다. 러시아뿌리를 가진 미국의 역션배우 스티븐 시갈도 참석했습니다. 특히 이 자리에는 프랑스 샤를 드골의 손자 피에르 드골도 참석해 서구의 러소포비아는 워싱턴에만 좋은 일을 해주는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
출처: https://youtu.be/2tPPOzOlcrA
한 미국언론인의 충고, 엉클 샘을 너무 믿지말라!/미국은 호주를 이렇게 배신했다!
구독자 22.6만명
조회수 1.1만회 8시간 전
이번 방송에서는 타이완에 대한 한 미국언론인의 충고내용을 전해드리겠습니다. 브래들리 블랭큰쉽이라는 정치 칼럼니스트로 중공CGTN과 신화통신에도 기고하는 프리랜서 언론인이 러시아 매체 RT에 기고한 글입니다. …
출처: https://youtu.be/JpAn78zw0JU
1부) 달러 수요 침체와 파산 위기 / 중공과의 전쟁이 탈출구? / 덫에 빠진 미국 투자자 / 불길한 시기, 불길한 韓日 화해
구독자 12.5만명
1부) 제713회 Mar.17,2023 후원은 작은 목소리에 큰 도움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출처: https://youtu.be/kHLZUtze30E
2부) 달러 수요 침체와 파산 위기 / 중공과의 전쟁이 탈출구? / 덫에 빠진 미국 투자자 / 불길한 시기, 불길한 韓日 화해
구독자 12.5만명
2부) 제713회 Mar.17,2023 후원은 작은 목소리에 큰 도움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출처: https://youtu.be/P1lahumS67w
출처: https://youtu.be/KxFcL9iTp9U
출처: https://youtu.be/BRyWF8yA2Nc
(속보) 일본 차세대 로켓 발사 대실패! 한국 깔보며 자랑하던 일본의 H3 로켓 점화조차 되지 못하는 사상 초유의 상황!
구독자 24만명
조회수 2.8만회 3주 전
일본의 차세대 로켓인 H3 로켓의 발사가 실패했습니다. 그런데 보조로켓이 점화조차 되지 못하는 매우 특이한 상황이 발생했습니다
출처: https://youtu.be/cRWCLP7A7dU
일본 새 주력로켓 H3 발사 실패, 5개월 동안 3번 실패
구독자 3.46만명
조회수 4.9천회 9일 전 #H3
우주강국이라 자랑하던 일본이 또다시 로켓 발사에 실패해 일본인들이 큰 충격에 빠졌습니다. 최근 5개월 동안 3번이나 로켓 발사에 실패했기때문에 충격은 상상 이상이었습니다.
댓글 17개
일본이 몇십년전에 성공한건 미국에게 기술을 받아서 성공한거고, 수십년간 제자리 걸음했으니, 이제는 자력으로 성공시킬 수준은 안될지도...
4
우주강국은 맞지. 혜성에 접근해서 시료를 채취해서 지구로 돌아온 최초의 국가인데.. 이온엔진도 최초로 개발한 나라고..
우주체 파괴 능력은 세계최고
ㅇ 그래두 쟤네가 부러운건 저렇게 쏴댈 수 있는 국력과 자금
1
2조짜리..2년은 지나야 시작할수있다던가하더만
굿뉴스ㅎ
1
폭죽 비싼걸로 쓰네
실패를 실패로 보지 않으니 저 꼴이지.....저 정권이나 저 나라 국민 놈들이나 그 수준이 그 수준이고 중단도 실패도 없는 미친 로켓 발사....막상 저 꼬라지 나야 실패...ㅋㅋㅋㅋㅋㅋㅋ
Seorae Town TV by Jackie Lee 서래마을
경축
미스비시랑 자민당이 야합해서 세금빼먹는거지 지난번 여객기처럼 아주 잘하고있지
섬밖으로 나가지도 못하는 것들이 무슨 우주야... 북한만도 못한 듯...
기자가 무슨죄야 교도통신기자가 우주계획실패라고 했다고 온갖비난을 시즈미기자한테 비난을했단다 이번발사가 실패가 아니라는 총책임자가 울면서분하다 했는데 기자가실패라고했다고 오가족은물론 강아지까지들먹이고 기자어머니가 하는 식당까지들먹이면 몰빵비난을한단다 기술실패를인정하기싫으니 희생양을찾은것이다 비열하다
부럽네. 3번의 발사 실패라니. 관련 데이터 엄청나게 축적 되었겠지? 이시키들 혹시 뒤에서 미사일 실험하는건 아니겠지?
출처: https://youtu.be/ht9-kec8XUQ?list=TLPQMTYwMzIwMjNalmaexvyrWg
기황후보다 더한 몽골의 세 황제를 품은 고려 여인
구독자 1.93만명
조회수 3.2만회 2주 전
1. 기황후가 아닌 김황후 2. 세 황제의 사랑을 받다 3. 또 다른 고려인 황후가 있다? …
출처: https://youtu.be/SuP_VTy_ZeE?list=TLPQMTYwMzIwMjNalmaexvyrWg
고려 여인들이 몽골족에게 인기 있었던 이유 / 참혹했던 공녀의 역사
구독자 1.93만명
조회수 6.4천회 2주 전
1. 공녀로 끌려간 고려 여인 2. 제국대장공주의 악행 3. 머리를 깎은 죄
천재인가? 장애인인가?
윤 꼴통이 롤모델로 삼았던 실리콘밸리뱅크가 파산하면서
전세계 금융 위기로 확산될 우려까지 나온 마당에서 이 미친 정권은
특화, 전문 은행의 설립을 강행하려고 하고 있다.
마치 2008년 금융 공황 당시 이미 망했다는 소문이 돌던 리먼브라더스를
인수하려고 했던 MB 정권의 전철을 따라가는 모양이다.
당시 천운이 따라서 인수하지 못했기에 다행이지 우리가 인수했다면
도대체 얼마나 큰 피해를 봤을지는 짐작조차도 되지 않는다.
그런데 지금 뻔히 미국에서 특화, 전문 , 지방 은행들이 모조리 유동성 위기를 겪으면서
SVB, 시그니쳐, 실버게이트뱅크는 이미 파산했고, 이 여파가 1929년 대공황보다
더 강력한 경제 대공황을 만들 수도 있다는 경고가 나오는 마당에서
왜 윤 정권은 태스크포스까지 만들어서 이를 강행하고 있는 것일까?
도대체 어떤 사고 방식을 가지고 있길래 말이다.
나라를 말아먹겠다는 신념을 밀고 가는 것이 아니고선
이것이 말이나 되는 것인가?
윤 정권이 금융에 대해서 알 것 같지도 않은데
단지 미국이 시킨다고 하는 것처럼 보이는데 아무리 그래도 상식이 있다면
뻔히 자신이 말한 그런 은행들이 미국에서 줄파산 하고 있는데
이를 강행한다고?
우리나라가 미국과 동맹국이니까, 우리도 똑같이 그런 은행들을 만들어서
미국이 심심하지 않도록 함께 은행 파산쇼를 보여줘야만 하는 것인가?
금융위는 이러한 사태를 보지 못하는 것일까?
아니 봐도 이해가 안되는 것일까?
미국에서 줄파산을 하고 있는데 우리가 만들면 달라질까?
도대체 어떤 비책이 있길래? 미국의 상황을 보고도 강행하겠다는 것인가?
도대체 이를 통해서 얼마나 해 먹을 계획을 세워왔길래?
전자개표기 문제
대의 민주주의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선거다.
선거가 없다면 대의 민주주의라고 할 수 없는 것은 당연하다.
그러면 선거에선 무엇이 가장 중요할까?
이에 대해서 소련의 스탈린은 유명한 말을 남겼다.
“표를 찍는 사람이 아니라 표를 세는 사람이 모든 것을 결정한다”고 말이다.
민주주의 체제에서 공정하고, 투명한 선거의 핵심은 투표하는 행위보단
그 표를 세는 행위가 더 중요하다는 이야기다.
아무리 공정하고, 투명한 선거를 했어도 개표가 불투명하고, 신뢰할 수 없다면
그것을 공정한 선거라고 말할 수 없다는 이야기다.
그런데 한국 사람들이 민주주의 신으로 숭배하는 미국에서 이러한 문제가
끊이지 않고 발생하고 있다.
최근 미국에선 아주 큰 논란이 되고 있지만 국내 언론들은 모조리 침묵하는
2021년 1월 6일 의사당 점거 사건도 이 때문에 생긴 일이었다.
개표 과정이 투명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공화당 참관인들이 개표 과정을 볼 수 없도록 합판을 쳐서 막거나
수도 누수 등을 만들어서 공화당 개표인과 참관인들을 내보낸 이후에 어디에선가?
이상한 박스들이 나오고, 그 표들을 서둘러 세는 모습 등등 수많은 이해할 수 없는
개표 과정이 불투명한 상황이 터져 나왔기 때문이다.
뿐 만 아니라 전자개표기의 집계가 일정 난수의 반복이거나 트럼프의 표는
단 하나도 나오지 않고, 바이든의 표만 수만, 수십만 표가 연속으로 나오는 등
말도 안되는 상황들이 나온 것이다.
이 모든 것들이 대부분 불투명한 개표 과정에서 나왔고, 이 때문에 트럼프가
부정 투표를 주장하게 만든 것이다.
만일 개표 과정이 공정하고, 투명했다면 부정 투표의 논란은 지금처럼 크게
부각되지 않았을 수도 있었다.
투표 과정에서도 말도 안될 정도로 불투명하고, 불공정한 상황이
있었음에도 말이다.
이 문제는 브라질 대선에서도 터져 나왔으며 한국에서도 2020년 총선 이후 논란이 됐다.
가장 큰 논란은 개표 과정이 불투명해질 수밖에 없는 전자개표기의 사용이었다.
(브라질은 투표까지도 전자투개표기를 통해서 함으로써 더 논란이 크다. )
독일과 같은 국가에선 그래서 전자투개표기를 사용하는 것이 불법이다.
이는 선거 과정을 참관인들이 현장에서 감시하고, 검증할 수 있는 방법이
전혀 없기 때문이다.
몰래 누가 소프트웨어적 또는 하드웨어적으로 조작을 한다고 해도
참관인의 입장에선 기계의 움직임을 통해선 알 길이 전혀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전자투개표기는 부정 투표의 온상이 원천적으로 될 수밖에 없다.
이는 투표 과정에서도 참관인이 전혀 볼 수 없는 사전 투표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투표를 당일 아니라 몇 날 며칠을 하게 되면 참관인은 기본적으로 투표함을
감시 할 수 없게 된다.
즉 조작할 수 있게 된다는 이야기다.
우편 투표는 그런 측면에서 더 심각하다.
아예 이는 공정 투표를 부정하는 행위로 북한식 투표와 다를 바가 없는 것이다.
그런데 몇몇 국가들에서 이러한 전자개표기와 사전투표가 공정한 것처럼
왜곡돼서 도입됐으며 도입이 추진되고 있다.
누가 봐도 공정하지 않지만 말이다.
국내에서도 부정선거 논란이 끊이지 않는 이유는 이 때문이다.
기본적으로 이는 공정 선거에 어긋나는 행위이기 때문이다.
개인적으론 일부 국가에서 도입된 이러한 선거 방식의 배후에
미국이 있다고 본다.
한국에서 이러한 의심스러운 선거 방식이 사용되고, 그러한 의혹을 제기하는 것이
거의 금기시 된 배경엔 미국이 있을 것으로 추측한다.
미국의 입장에선 이러한 부정 투표 방식을 이용한다면 식민지 국민들이
자신들이 스스로 의 공정한 선거를 통해서 지도자들을 뽑았다고 생각하게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사실은 미국이 선택한 지도자임에도 불구하고 말이다.
선거라는 요식 행위를 통해서 식민지 국민들이 마치 자신들의 주권을 가진 것처럼
환상을 심어줄 수 있고, 이를 통해서 반식민지 투쟁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주권 국가들이라면 이러한 지원을 통해서 정치적 동맹 관계를
쉽게 맺을 수도 있을 것이다.
개인적으론 브라질 룰라의 경우 이러한 의심을 하긴 하는데
이를 정치적 목적으로 악용하기도 쉽다는 이점도 있다.
일단 그래서 공정한 선거를 치르려면 반드시 참관인들이 입회 하에
투표와 개표가 이루어지게 바뀌어야 한다.
참관인이 볼 수 없는 우편 투표는 그래서 금지돼야 한다.
또한 참관인이 계속 감시 불가능한 말도 안될 정도로 긴 시간을 갖는
사전 투표도 폐지해야 한다.
투표 과정에서의 부정의 온상이기 때문이다.
또한 브라질처럼 참관인이 직관적으로 부정을 알 수 없는
전자투표기도 사용하면 안된다.
전자투개표기는 사실상 부정 선거 승인 면허와 같은 것이다.
이는 참관인이 수백, 수천 아니 수백만 명이 지켜봐도 부정을 저지르는지
알 수 있는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
개표 과정에서도 전자개표기는 부정 선거의 면허일 뿐이다.
또한 개표 과정이 상대 후보의 참관인이 최대한 가까운 곳에서 완전히 볼 수 있는
공간에서 이루어져야만 한다.
미국처럼 합판으로 유리창을 막고, 건물에 물이 터졌다고 해서 참관인들을
모조리 밖으로 쫓아내고, 그 사이에 숨겨 논 박스를 개봉해서 개표하는 등
개막장의 부정 선거가 자행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선거가 상당히 불투명하고, 불공정한 상황이다.
아마 전세계에서 손에 꼽을 정도로 불투명할 것이다.
사실상 대놓고 부정 선거를 한다고 느껴질 정도로 말이다.
개인적으로는 그래서 북한의 선거와 다를 바가 없다고 본다.
개선해야 할 점이 너무 많이 뻔히 보이기 때문이다.
출처: https://muzika37.tistory.com/225
<23-3-17 동시다발적인 미국 국내외의 위기가 의미하는 것>
국제정치 2023. 3. 17. 16:53
국제안보정세가 급변하고 있다. 하루가 다르게 새로운 뉴스가 보도된다. 대부분 미국의 안보상황이 점점 더 어려워지는 내용들이다. 이렇게 급변하는 상황은 한국에게도 좋지 않다. 한국은 아직 포스트 미국패권 세계에 대한 준비가 제대로 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세상은 내가 원하는대로 바뀌지 않는다. 내가 세상의 변화에 따라가야 한다.
하루이틀 사이에 보도되는 국제정치적 사건들은 숨막히는 변화를 내포하고 있다. 유감스럽게도 미국이 패권과 영향력이 더 이상 작동하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최근의 사건들을 중동, 남미, 그리고 북한 그리고 흑해에서의 미국 무인기 추락 사건 순으로 정리해 보고자 한다
먼저 중동지역에서 발생하고 있는 사건이다.
최근 이란 국영방송 IRNA는 3월 11일 러시아의 수호이 35를 수입한다고 발표했다. 이란이 SU-35를 장비하면 중동지역에서 이란의 군사정치적 지위는 강화된다. 이스라엘은 공군력의 우위를 누리기 어렵다. SU-35는 F-35를 잡아내는 레이다 능력을 가지고 있다. 이란의 강화된 공군력은 중동지역에서 이스라엘이 지금까지 누리고 있던 힘의 우위를 무너뜨리게 될 것이다. 이는 이스라엘을 통해 중동지역에 개입해왔던 미국의 영향력도 같이 쇠퇴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사우디는 그동안 이스라엘과 협력을 모색했지만 이제는 완전하게 태도를 바꿨다. 중국의 중재로 이란과 관계를 정상화하기로 했다. 사우디는 이과정에서 이란이 예맨 문제에 개입하지 않겠도록 하는 외교적 성과도 달성했다. 사우디는 이제 미국과 이스라엘에 의존함으로써 발생하는 정권의 정통성 문제에서 자유롭게 된것이다.
사우디가 중국으로부터 무역대금에 쓰일 위완화를 대출받은 것은 사실상 위완화로 석유대금을 결제하겠다는 것을 의미한다. 사우디는 또한 중국으로부터 최신예 구축함 3척을 도입한다는 소식도 있었다. 이는 앞으로 중동지역에서 자신의 안정을 중국을 통해 확보하겠다는 의미도 담고 있는 것이다.
두번째는 남미에서 발생하고 있는 사건들이다.
얼마전에 멕시코가 반미전선의 선두에 섰다는 내용을 언급한 적이 있다. 최근 남미는 모두 힘을 합쳐서 미국의 개입을 거부하고 독자성을 확보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남미국가들을 결집하는 노력의 중심에 있는 국가는 브라질이다. 브라질 룰라 대통령은 3월 16일 남미국가연합 ‘우나수르’ 창설을 주창했다. 남미국가들이 힘을 결집하면 미국도 과거처럼 개입하기가 매우 어려워진다.
남미의 분위기를 잘 보여주는 것은 브라질이 2월 27일 미국정부의 요청을 거부하고 2척의 군함을 리오데자네이루 해안에 정박하도록 허용한 것이다. 이와 함께 남미의 분위기를 더 분명하게 보여주고 있는 것은 온두라스가 대만과 단교를 선언하고 중국과 수교를 추진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런 사실로 우리가 추측할 수 있는 것은 미국이 남미에서 더 이상 영향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세번째는 북한의 탄도 미사일 발사다.
3월 13일부터 한미연합훈련이 실시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북한은 화성17호 ICBM을 발사했다. 2022년부터 한미연합훈련 기간에 탄도미사일을 발사했다. 북한의 이런 행동은 미국의 확장억제에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했다.
북한은 이번 탄도미사일 발사이후 미국을 직접 타결할 수 있다는 취지의 발언을 했다. 과거와 달리 미국은 전략자산전개와 같은 대응행동도 하지 않고 있다. 어차피 전략자산 전개가 북한의 행동을 억제할 수 없다는 것을 인정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는 부분이다.
북한이 이번에 주저없이 한미연합훈련기간 동안에 ICBM을 발사한 것은 미국의 대응과 행동을 전혀 의식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미국이 북한의 이런 도발적 행동에 적절한 견제행위를 가하지 못하면 역내 균형자로서 역할을 제대로 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곧바로 미국이 남한의 안전보장에 과거와 같은 역할과 기능을 할 수 없다는 의미라고 하겠다.
남한은 미국에 기대어 안전보장을 유지한다는 생각에서 벗어나 스스로 자신을 지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하는 시점에 있는 것이다.
미국이 동북아 지역에서 북한의 도발을 제대로 억제하지 못한다는 것은 미중패권 경쟁에도 심각한 지장을 초래할 수 밖에 없다. 미중 경쟁의 중추적 대리자 역할을 하는 일본도 곧바로 북한의 위협에 놓여 있기 때문이다. 일본으로서는 미국을 대신해 중국을 견제하기 전에 먼저 북한과의 문제를 먼저 해결해야 하는 상황이 될지도 모르는 것이다.
일본이 북한과 수교할 경우 남한이 곤경에 처한다는 내용의 칼럼이 올라왔다. 남기정 서울대 일본연구소장은 3월 14일 경향신문에서 “대북 강경책 펴다 북·일 접근 땐 한국 소외…미·일 일변도 벗어나야”라는 제목의 칼럼에서 일본이 북한과 관계를 강화할 경우 남한이 어떤 상황에 처하게 될 것인가를 언급했다. 지금의 상황에서 남한이 북한을 어떻게 바라봐야 하는가를 잘 보여주는 내용이다.
네번째는 러시아가 흑해에서 미국의 무인기 HQ 리퍼를 흑해 인근해서 추락하게 만들었다는 것이다.
이번 사건은 미국의 주장처럼 리퍼의 추락은 러시아의 고의라고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러시아의 이런 행동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그동안 미국은 우크라이나 주변에서 정보활동을 해 왔다. 이번 러시아의 조치는 더 이상 미국의 개입을 용납하지 않겠다는 것을 행동으로 보여준 것이다. 러시아도 미국과의 관계에서 일종의 변곡점을 지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런 상황을 겪게 되면 미국은 러시아에 대한 직접적인 정보활동을 하기 어려워지게 된다. 미국도 러시아와 직접 군사적으로 충돌하기 원하지 않기 때문이다.
최근 발생하고 있는 일련의 사건들은 미국이 몇 년 전이었다면 있을 수 없는 일들이다. 과거라면 있을 수 없었던 일들이 일어나고 있다는 사실은 미국의 힘과 영향력이 점차 쇠퇴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위에서 말한 네가지의 외부적 요소보다 더 위험한 것이 미국의 내부에서 일어나고 있는 위기이다. 미국 실리콘 밸리 은행(SVB) 파산이후 미국의 은행이 위기에 노출되었고 이런 분위기는 스위스의 크레딧스위스 은행까지 확산되고 있다. 이런 은행의 위기는 최근 금리인상으로 인한 미국채가격의 하락때문이다. 미국내부의 위기는 외부의 위기에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현격하게 제한시켜 버린다.
미국을 둘러싼 내외부의 동시다발적인 위기는 미국의 영향력 상실이 예상보다 빨라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지도 모른다. 매우 조심해야 할 시기인 것이다.
출처: https://muzika37.tistory.com/m/226
<23-3-18 튀르키예, 헝가리의 핀란드 나토가입 비준의 이면, 러시아의 의중? >
Han Seol
2023. 3. 18. 13:41
튀르키예와 헝가리가 핀란드의 나토가입을 비준하기로 했다고 한다. 튀르키예는 5월 중에 헝가리는 3월 27일에 의회에서 비준을 결정한다고 한다. 이상한 것은 스웨덴은 이번 비준에서 제외한다는 것이다.
이런 소식을 들으면서 우리가 관심을 가져야 하는 것은 크게 두가지다. 첫번째는 왜 튀르키예와 헝가리가 공동 보조를 맞추는가 하는 것이며, 두번째는 왜 핀란드는 비준하면서 스웨덴은 비준에서 제외하는가 하는 것이다.
일견 북유럽 국가인 핀란드가 나토로 가입하는 현상만으로 보면 미국과 나토의 승리라고 할 수 있을 것같지만 조금만 뒤집어 보면 꼭 그렇지 않을 가능성이 더 많다.
첫번째 튀르키예와 헝가리가 보조를 맞춘 점은 무슨 의미일까? 그동안 튀르키예와 헝가리가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친러시아적 태도를 취해다는 점을 먼저 생각해야 한다. 러시아와 튀르키예/헝가리의 관계를 고려해 볼 때 핀란드 나토가입 비준 결정과정에 러시아와 깊숙한 의견조정 과정을 거쳤을 가능성을 부정하기 어렵다.
여기서 우리가 해야 할 합리적인 의심과 질문은 러시아가 왜 이 시점에서 핀란드의 나토 가입 비준을 수용했을까 하는 것이다. 러시아의 노림수는 무엇일까?
이런 질문에 대한 답변은 두번째 문제인 스웨덴을 비준에서 제외한 이유를 통해 어느 정도 유추가능하다.
스웨덴은 역사적으로 오랫동안 중립국의 지위를 유지했다. 유럽과 러시아의 중립지대이자 완충지대였던 것이다. 러시아는 앞으로도 스웨덴을 완충지대로 유지하고 싶기 때문에 이번 나토가입 비준에 포함시키지 않았다고 해석가능하다.
혹자는 러시아가 튀르키예와 헝가리를 움직일 수 있는 힘이 있는가 생각할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튀르키예와 헝가리는 이미 러시아와 긴밀한 관계에 있다.
튀르키예의 국내정치일정도 이번 결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튀르키예 대통령 선거와 총선이 5월 14일이다. 에르도안 대통령이 핀란드의 나토비준 절차를 선거이전에 마치려고 하는 것은 외국세력이 튀르키예 선거에 개입하는 것을 최대한 막기 위한 것이라고 해석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러시아가 핀란드의 나토가입 비준을 허용한 것인가에 대한 답을 찾아야 한다. 러시아가 핀란드를 자국의 영토로 다시 편입하기 위한 의도를 드러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핀란드는 제1차 세계대전이후 볼세비키 혁명의 영향으로 독립을 했다. 그 이전까지는 러시아의 영토였다.
독립이후 냉전시대까지 핀란드는 비록 겨울전쟁을 치르기는 했지만 소련의 지정학적 이해관계를 침해하지 않았다. 그런 태도로 인해 핀란드는 번영을 구가할 수 있었다. 냉전이 종식되고 소련이 러시아가 되면서 자유세계로 편입될 때, 당시 러시아 대통령 옐친은 핀란드가 냉전기간 동안 소련의 편에 있어준 것에 대해서 특별 감사인사를 하면서 앞으로는 러시아도 자유세계에 편입되었으니 이제 핀란드가 그런 묘한 입장에 서지 않아도 된다는 발언을 하기도 했다.
우크라이나 전쟁이후 핀란드는 자국의 이해관계와 무관하게 미국과 우크라이나를 지지했다. 러시아는 소련과 전혀다른 러시아 제국의 지정학적 이해관계를 추구하고 있다. 그런 러시아의 입자에서 핀란드는 그냥 두고 넘어갈 수 없는 대상이다.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전쟁이 끝나고 나면 유럽의 지정학적 그림을 다시 그려나가려고 할 것이다. 그럴때가 왔을 때 가장 먼저 손을 봐야 할 국가가 핀란드와 폴란드 그리고 발트 3국일 것이다.
러시아가 폴란드와 발트 3국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우크라이나에서 칼리닌그라드까지 이어지는 회랑을 폴란드에게 요구할 가능성이 높다고 한 적이 있다. 우크라이나 전쟁 종결과정에서 폴란드가 갈리치아 지방을 점령하면 러시아는 곧바로 칼리닌그라드까지의 회랑을 장악하여 폴란드와 발트3국을 분리해 버린다는 것이다. 물론 이것은 가능성만을 고려한 것이므로 실제 어떻게 될지는 알 수 없다. 그러나 러시아 군사전략가들의 입장에서는 충분히 고려해 볼만한 것이 아닌가 한다.
핀란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러시아가 개입할 수 있는 조건을 만들어야 한다. 즉 러시아가 손을 보기 위해서는 핀란드가 나토에 가입해야 하는 것이다. 그래야 러시아 대중들의 애국주의를 고취시키고 이를 바탕으로 핀란드를 군사적으로 점령해도 러시아 대중의 반발을 줄여 나갈 수 있는 것이다.
즉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전쟁이후 핀란드를 처리하기 위한 상황을 만들기 위해 핀란드의 나토가입을 유도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는 여지가 있는 것이다. 이런 시각에서 보면 우크라이나 전쟁도 정점을 향해 가고 있지 않나 하는 추정을 하게 된다.
출처: https://cafe.naver.com/sisa33/4350
첫댓글 출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822869?rc=N&ntype=RANKING
北, 단거리 탄도미사일 1발 발사…한미연합연습 반발 지속(종합2보)
입력2023.03.19. 오후 12:07 수정2023.03.19. 오후 12:08 기사원문
하채림 기자
동창리 일대에서 동해로…ICBM 화성-17형 발사 사흘만에 또 도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