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백(李白)-陪族叔刑部侍郞曄及中書賈舍人至游洞庭五首(배족숙형부시랑엽급중서가사인지유동정오수) 중 1(집안 숙부 형부시랑 이엽과 중서사인 가지를 모시고 동정호에서 놀 때 지은 5수 중 1)
洞庭西望楚江分(동정서망초강분) 동정호에서 서쪽을 보면 초강이 나뉘었고
水盡南天不見雲(수진남천불견운) 물길 끝 남쪽 하늘에는 구름도 보이지 않는다
日落長沙秋色遠(일락장사추색원) 해 저물어 장사에는 가을빛 멀리 펼쳐졌는데
不知何處弔湘君(부지하처조상군) 어디서 상군을 조상해야 할지 모르겠구나
*이백[李白, 701 ~ 762, 호는 청련거사(靑蓮居士)]은 중국 당나라 시인으로 시성(詩聖)으로 불린 두보(杜甫)와 함께 ‘이두(李杜)’로 병칭되는 중국 최대의 시인이며 시선(詩仙)으로 불렸고, 소년시대부터 검술을 좋아하여 협객 속에 끼어 방랑생활을 보내는 일이 많았으며, 42세 때 현종에게 그 시재를 인정받아 궁정시인이 되었으나 자유분방한 성격 등이 화근이 되어 장안에서 쫓겨나 다시 방랑하였는데, 두보가 인생과 사회에 관심을 기울인 데 대해서 이백은 자연과 술을 사랑하면서 절구에 뛰어났고, 작품으로는 “청평조사(淸平調詞)”, “장진주(將進酒)”, “월하독작(月下獨酌)”, “상삼협(上三峽)”, “협객행(俠客行)” 등이 있습니다.
*이백의 시를 밑바닥에서 지탱하고 있는 것은 협기(俠氣)와 신선(神仙)과 술이고, 젊은 시절에는 협기가 많았고, 만년에는 신선이 보다 많은 관심의 대상이었으나, 술은 생애를 통하여 그의 문학과 철학의 원천이었으며, 두보의 시가 퇴고를 극하는 데 대하여, 이백의 시는 흘러나오는 말이 바로 시가 되는 시풍(詩風)이었다고 합니다.
*위 시는 문학비평가이신 김희보님의 “중국의 명시”에 실려 있는 것을 옮겨본 것으로, 제목이 길어 간략하게 유동정(游洞庭)으로 소개되어 있는데, 그 오수 중 제1수입니다.
*陪(배) : 모시고 가다의 뜻
族叔(족숙) : 아저씨뻘 되는 분, 이엽李曄은 종실의 후손으로 종정경宗正卿을 지냈다. 중서사인은 칙명 등을 기초하는 벼슬로 가지의 전직이 중서사인이었고, 가지의 이때 벼슬은 좌천되어 악주사마였다. 이엽도 죄를 입어 영남으로 유배되어 가는 길이었고, 이백도 야량에 유배되는 중이라 금릉에서 악주로 왔고, 우연히 이 세 사람은 유형의 처지에 있는 것이었다.
洞庭(동정) : 동정호는 중국 호남성 북부에 있는 제1의 호수로 여름철에 물이 불었을 때는 길이 130km, 너비 10km나 된다.
楚江(초강) : 양자강, 오늘날 호남과 호북 양쪽 지방은 전국시대에 초나라 영토였기 때문에 초강이라 함
長沙(장사) : 동정호 동남방 약 300리 거리에 있는 도시, 현재는 호남성의 수도로서 수륙 교통의 요지
君(군) : 요(堯) 임금의 두 딸 중 언니를 아황娥黃, 동생을 여영女英이라 했다. 둘 모두 요가 후계자로 선정한 순(舜)의 비가 되었다. 순이 남방 지역을 순찰하던 도중 창오蒼梧라는 들에서 사망하자 이 두 비는 그 부군을 사모하여 상강에 빠져 죽었다, 후세 사람들이 그 뜻을 가련하게 여겨 두 사람을 합쳐 상군湘君이라 하게 되었고, 상강의 여신으로 제사드리게 되었다. 동정호 안에 있는 군산君山에 상군의 사당이 있다.
첫댓글 이백이나 두보와 함께 술 한잔 나누고 싶네요....
송강의 장진주사를 노래하며~~~~`
ㅎ, 꽃나무 산 놓고 무진장 먹세그려
중국에서는 이백보다 두보를 더 알아준다던데,
아무래도 일반 백성의 삶과 더 가까운 시를 지어서 그런 것일까요?
오늘도 좋은 날 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