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사성어]殺身成仁(살신성인)
[字解] 殺(죽일 살) 身(몸 신) 成(이룰 성) 仁(어질 인).
[意義] 자신의 몸을 희생하여 인(仁)을 이룩한다는 뜻으로, 몸을 바쳐 옳은 도리를 행하는 것을 일컫는 말이다.
[出典] 논어(論語) 위령공편(衛靈公篇).
[解義] 공자가 말하였다. "뜻이 있는 선비와 인자(仁者)는 삶을 구하여 인(仁)을 해치는 일이 없고 몸을 죽여 인을 이루는 일은 있느니라[志士仁人 無求生以害仁 有殺身以成仁]." '살신성인(殺身成仁)' 이란 말은 여기서 유래했다. 지사(志士)는 굳은 뜻을 지닌 선비요, 인인(仁人)은 덕을 이룬 사람을 일컫는다. 이치에 마땅히 죽을 것인데 삶을 구하면 곧 그 마음에 편치 못한 것이 있을 것인즉 이것은 곧 그 마음의 덕을 해치는 것이요, 마땅히 죽을 때에 죽으면 그 마음이 편안하고 덕이 온전할 것이다.
또 정자(程子)는 여기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실질적인 이치를 마음에 얻어서 스스로 분별하는 것이니 실질적인 이치라는 것은 실제로 옳은 것을 보며 실제로 그른 것을 보는 것이다. 옛사람이 몸을 버리고 죽은 자가 만일 실제로 얻은 것을 보지 못하면 어찌 능히 이와 같겠는가? 모름지기 실제로 삶이 의보다 중하지 아니한 것을 보면 삶이 죽는 것보다 편안치 못하다.
그러므로 몸을 죽여서 어진 것을 이루는 것은 다만 한개의 옳은 것을 이룰 뿐이다." 결론적으로 지사(志士)나 인자(仁者)의 마음은 항상 인(仁)을 위해서 존재하는 것임을 강조한 말이라고 할 수 있겠다. 도의심이 강하고 의지가 강한 사람이나 인덕(仁德)을 갖춘 사람은 목숨과 인(仁) 모두를 지킬 수 없을 때 생명을 아끼느라 인을 져버리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것보다는 오히려 목숨을 희생하면서까지 인을 행한다는 것이다.
인을 닦는 일은 스승에게도 양보하지 않는다고 하였다.그러면 인(仁)이란 무엇인가? 유가(儒家)의 중심사상은 인(仁)이며, 인은 공자(孔子)가 가장 중요시했던 덕목이다. 공자(孔子)의 가르침을 기록한『논어』에는 전편에 걸쳐 인이라는 글자가 1백6번이나 나오지만 공자 자신도 한마디로 그 뜻을 정의하지는 않았다. 제자 번지(樊遲)가 물었을 때는 '남을 사랑하는 것[愛人]' 이라 했고, 안연(顔淵)의 질문에는 '자신을 극복하고 예로 돌아가는 것[克己復禮]' 이라 했다. 또 중궁(仲弓)이 물었을 때는 '자신이 원치 않는 것을 남에게 베풀지 않는 것[己所不欲 勿施於人]' 이라고 대답하는 등 묻는 사람에 따라 다르게 말했다.
서로 아끼고 이해하는 마음 없이 사람이 더불어 살기는 어렵다. 부부관계도 그렇고 친구관계도 그렇다. 한자 인(仁)은 인(人)에 이(二)를 더해 만들어졌다. 두 사람이 어울려 함께 살아가는데 필요한 덕목의 총합이 인이다. 공손함일 수 있고, 자애로움일 수 있고, 관대함이나 신실함일 수 있다. 인은 진심으로 남을 배려하고 사랑하는 마음가짐이다.
한편, 공자 사상의 중심을 이루는 '인(仁)'에 대하여 제자인 증자(曾子)는 논어(論語) 이인편(里仁篇)에서 '충(忠)'과 '서(恕)'에 귀착한다고 지적했다. "부자(夫子:공자에 대한 경칭)의 도(道)는 '충(忠)', '서(恕)'일 뿐이다.[夫子之道 忠恕而已矣. (부자지도 충서이이의)]" '충(忠)'이란 자기 자신에게 최선을 다하는 정신이고, '서(恕)'란 '충(忠)'의 정신을 그대로 타인에게 미치게 하는 마음이다. 증자(曾子)는 공자(孔子)의 '인(仁)'이 곧 이 '충서(忠恕)'를 가리키는 것으로 보았다. 다시 말해 타인에 대한 자비와 인간애, 동정심이라는 것이다. 이것은 우주만물의 본질인만큼 군자(君子)가 먼저 익혀야 할 덕목이기도 하다.
살신성인은 반드시 목숨을 바치는 것뿐 아니라 자신의 고통을 감수하며 이웃에 봉사하거나 자신의 이익을 양보하여 남을 위하는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는 말이다.
[類似語] 捨生取義(사생취의) : 삶을 버리고 의로움을 취하다. 命緣義輕(명연의경) : 목숨을 의에 연연하여 가볍게 여기다. 壯烈犧牲(장렬희생) : die a glorious death.
[反意語] 身敗名裂[신패명렬: Die like a dog: 철저(徹底)하게 실패(失敗)함].
[만화로 깨치는 한자]殺身成仁(살신성인)
自進(자진) : 남이 시키는 것을 기다리지 아니하고 스스로 나섬. 超(뛰어넘을 초), 過(지날 과), 自(스스로 자), 進(나아갈 진)
[English] -Sacrificing oneself to preserve one's integrity.[살신성인(殺身成仁)] -To lay down one's life. [생명(生命)을 내던지다] -To die for a cause. [대의(大義)를 위하여 죽다] * cause: 원인(原因), 이유(理由), 주의(主義), 주장(主張) -To die a martyr. [순교(殉敎)하다] * martyr: 순교자.
출처:풀어쓴 중국고전.경향신문 기타 인터넷 검색자료.
|
첫댓글 서로 아끼고 이해하는 마음 없이 사람이 더불어 살기는 어렵다. 부부관계도 그렇고 친구관계도 그렇다. 한자 인(仁)은 인(人)에 이(二)를 더해 만들어졌다. 두 사람이 어울려 함께 살아가는데 필요한 덕목의 총합이 인이다. 공손함일 수 있고, 자애로움일 수 있고, 관대함이나 신실함일 수 있다. 인은 진심으로 남을 배려하고 사랑하는 마음가짐이다.
혼탁한 세상을 살아가는데 있어서 새기고 새겨 등불처럼 들고 가야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