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정부, 처음엔 관리 1순위라더니”…물가 상승률, OECD 3위 돼버렸네 [나기자의 데이터로 세상읽기]
윤석열 정부 출범 후 인수위 시절외부강연서 물가관리 강조했지만부동산 경착륙 등 돈풀기에 ‘뒷전’2년연속 소비자물가 상승률 8.9%지난 총선 ‘야당 압승’ 결과 불러와가장 시급한 건 ‘가계·국가빚 축소’초심 새겨 물가관리도 적극 나서야
“성장을 못하면 국민이 용서하지만, 인플레이션을 못 잡으면 국민이 용서를 못합니다.”불과 2년 전 윤석열 정부 출범 첫 단계인 인수위원회 시절 때 일입니다. 김형태 김앤장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당시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에게 ‘인플레’를 잡아야 한다며 위와 같이 말했습니다. 그는 “(정권을 무너뜨린) ‘아랍의 봄’도
식료품값 등 물가가 올라간 게 원인이 됐다”라며 “인플레이션이 무서운 것은 인플레이션을 이기는 정부는 없기 때
문”이라고 말했죠.2년 후 이 말은 현실화했습니다.각종 여론조사를 보면 이번 총선 때 여당을 지지하지 않은 이유 1위로 ‘물가 관리 실패’가 꼽힙니다. 식료품 가격이
치솟으면서 민심이 들끓었습니다. 윤 대통령의 대파 875원 발언도 논란이 됐습니다. 이번 22대 총선 ‘야당 압승’으
로 끝난 이유입니다.
식료품 가격 상승, OECD 3위 수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자체 집계한 자료를 보면 지난 2월 한국의 ‘식료품 및 비주류 음료’ 물가 상승률은
6.95%로 OECD 평균(5.32%)을 웃돌았습니다. 35개 회원국 중 튀르키예(71.12%), 아이슬란드(7.52%)에 이어 세 번
째로 높은 수준입니다. 사과·배 등 과일 물가가 최근 가파르게 오른 탓입니다. 이스라엘·이란 충돌 이후 불안한 국제
유가는 향후 물가 상승 요인이기도 합니다.
-중략-
-원문보기-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294977?sid=102
“尹정부, 처음엔 관리 1순위라더니”…물가 상승률, OECD 3위 돼버렸네 [나기자의 데이터로 세상
윤석열 정부 출범 후 인수위 시절 외부강연서 물가관리 강조했지만 부동산 경착륙 등 돈풀기에 ‘뒷전’ 2년연속 소비자물가 상승률 8.9% 지난 총선 ‘야당 압승’ 결과 불러와 가장 시급한 건
n.news.naver.com
지난 대선때 복덕방 하나만 보고 투표했던 복덕방러들...
진짜 반성들 많이 해야합니다.
작금의 경제상황은 그 묻지마 복덕방만 울부짖었던 그들의 선택의 결과라고 생각합니다.
다음에 대선 치를때는 묻지마 복덕방보다는
무능보다 유능한 경제적 능력이 돋보이는 에이스를 뽑아야 합니다.
그러면 복덕방도 자연히 좋아집니다.
출처: 이종격투기 원문보기 글쓴이: 애매하게슨
첫댓글 이렇게 ㅈ같은데도 탄핵얘기 안나오는거 대체 왜때문임
진짜 문재인때 물가오른걸로 그렇게 정부 무능력하다 몰아가더니 물가상승률 3위되도 조용하죠 ㅋㅋ
첫댓글 이렇게 ㅈ같은데도 탄핵얘기 안나오는거 대체 왜때문임
진짜 문재인때 물가오른걸로 그렇게 정부 무능력하다 몰아가더니 물가상승률 3위되도 조용하죠 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