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갑상선 호르몬과 Calcitonin 과
비타민 D 와 칼슘 ..상관 관계

[그림] 할성형 25-OH Vit. D 와 부갑상선 PTH 와 칼슘은 상관 관계적
역비례 관계를 유지하면서 인체내 칼슘 활동을 조절한다
비타민 D를 충분히 복용하는 자는
칼슘 1일 섭취량을 800mg 이하로 줄여야 한다
또한
비타민 D를 충분량 섭취하려면
정상 식사만으로는 부족하며
매일 비타민 D 400IU 이상씩 복용해야 한다

[그림] 햇빛의 자외선이 피부에서 비타민 D3를 만들어 내고 있다
햇빛이 짧아지는 겨울에 되면누구나 비타민 D가 부족해진다


[그림] 햇빛의 자외선이 피부에서 만들어내는 비타민 D
음식을 통해 먹는 비타민 D 및 별도로 매일 복용하는 비타민-D
세 가지가 비타민 D의 총 공급 소스다
특히 햇빛 자외선 조사 시간이 짧아진 겨울철에는
비타민 D 복용량을 두 배로 증가시켜야 한다
이는 미국 의사 회지(JAMA) 를 통해 발표된 내용이며
칼슘과 관련하여
부 갑상선 호르몬 (Parathyroid) 과
갑상선 호르몬 Calcitonin 과
비타민 D 간의 정량적 상관 관계를 요약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림] 칼슘 조절에 가장 중심 역할을 하는 부갑상선 호르몬 PTH;
칼슘의 혈중 농도가 적어지면 부갑상선에서 분비되어 나와
뼈를 파괴하여 칼슘의 혈중 농도를 높혀준다. 칼슘이 콩팥을 통해
배설되는 것을 막는다. 비타민 D를 할성화시켜 활성화된 비타민 D로 하여금
소장에서 칼슘이 체내로 흡수되는 것을 돕는다
칼슘은 우리 몸 모든 세포 속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미네랄이다
주요한 효소를 활성화 시킨다. 그러나 량이 조금만 많아도 세포는 죽게된다
부갑상선 호르몬은 칼슘 량의 미세 조절을 담당하고 있다
혈중 칼슘 농도를 유지시켜주는
부갑상선 호르몬
칼슘 섭취가 부족하거나 다른 원인으로 인해
혈중의 칼슘 농도가 부족하면
부갑상선에서 부갑상선 호르몬이 분비된다

[그림] 칼슘은 우리 몸 모든 세포 속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미네랄이다 주요한 효소를 활성화 시킨다.
그러나 세포내에 유입된 량이 조금만 많아도 세포는 죽게 된다
부갑상선 호르몬은 비타민 D와 함께 이러한 칼슘 량의
미세 조절을 수행한다

[그림] 네 곳의 부갑상선
부갑상선 호르몬은 뼈를 파괴시켜 칼슘을 유리시켜
칼슘의 혈중 농도를 상승시켜 주게 된다

[그림] 갑상선, 부갑상선, 기관지
뿐만 아니라 부갑상선 호르몬은 비타민 D를 활성화시켜준다
활성화된 비타민 D는 소장에서 칼슘 흡수를 증가시킨다

[그림] 칼슘의 혈중 농도가 높으면 갑상선에서 갑상선 호르몬 Calcitonin이 분비되어
혈중 칼슘을 뼈로 유입시켜 뼈가 재생되게 한다
칼슘의 혈중 농도가 낮아지면 부갑상선에서 호르몬(PTH) 이 분비되어
뼈를 파괴시켜 혈중 칼슘 농도를 증가시켜 준다
갑상선 호르몬 Calcitonin 과
부갑상선 호르몬은 반대 작용
갑상선 호르몬인 Calcitonin은
혈중에 있는 칼슘을 뼈 속으로 집어 넣어 뼈를 재생시켜 주는 호르몬이다

[그림] 칼슘의 혈중 농도가 높으면 갑상선에서 갑상선 호르몬 Calctitonin이 분비되어
혈중 칼슘을 뼈로 유입시켜 뼈가 재생되게 한다
칼슘의 혈중 농도가 낮아지면 부갑상선에서 호르몬(PTH) 이 분비되어
뼈를 파괴시켜 혈중 칼슘 농도를 증가시켜 준다
부갑상선 호르몬은 뼈를 파괴시키고
갑상선 호르몬은 뼈를 재생시킨다

[그림] 칼슘의 체내 이용 및 입출입 관계를 가장 미세하게 조절하는
부갑상선 호르몬 (PTH); 체내 칼슘 부족시
뼈의 파괴(Bone Resorption)을 유발하여 칼슘을 혈중으로 유입 .
비타민 D 혈중 농도와
부갑상선 호르몬 농도는 역 비례
비타민 D를 많이 섭취하는 자는
비타민 D의 혈중 농도가 올라간다
이와 역 비례하여
혈중 부갑상선 호르몬의 농도는 감소한다

[그림] Osteoblast 골 재생 세포가 파괴된 곳에 정렬

[그림] Osteoblast 골 재생 세포가 파괴된 곳에 정렬

[그림] 골 재생 상태
부갑상선 호르몬 농도가 감소하면
뼈의 파괴보다는 뼈의 재생이 촉진된다

비타민 D를 적게 섭취하는 자는
비타민 D의 혈중 농도가 감소한다
이와 역 비례하여
혈중 부갑상선 호르몬의 농도는 증가한다

[그림] Osteoclast 파골 세포

[그림] Osteoclast 파골 세포에 의해 뼈가 파괴된 부분
부갑상선 호르몬이 증가하면
뼈의 재생보다는 뼈의 파괴가 촉진된다

[그림] 혈중 활성 비타민 D (25-OH) 의 농도 (상 중 하) 에 따라
부갑상선 호르몬(PTH) 의 혈중 농도가 역비례함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이 부갑상선 호르몬의 혈중 농도는
칼슘 의 복용량 (상 중 하) 에 따라서도 일정한 비례 관계를 갖는다
비타민 D 복용량이 가장 높은 그룹에서는
칼슘 복용량이 하루 800mg 이하일 때 PTH 가 가장 낮다
비타민 D 복용량이 가장 적은 그룹에서는
칼슘 복용량이 많을수록 PTH가 낮아진다
칼슘과 비타민 D 와
부갑상선 호르몬의 삼각관계
비타민 D를 충분량 섭취한 상태에서는
칼슘 하루 복용량을 800mg 이하로 제한해야 한다

칼슘 하루 800mg 이상에서는 칼슘을 증량할수록
부갑상선 호르몬의 혈중 농도가 증가하여
뼈가 계속 파괴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비타민 D를 충분량 복용한 자는
칼슘 복용량을 하루 800mg 이상은 섭취 말아야 한다


그러나 비타민 D를 충분량 섭취 못 한 자는
칼슘 복용량을 하루 1,000mg 이상 복용해도
부갑상선 호르몬의 혈중 농도는 항상 정상 수치 이상이 된다
따라서 뼈는 재생보다는 파괴되는 방향이다
어떤 경우라도 비타민 D만은 충분량 섭취해야 한다


비타민 D 충분량 이란
우리는 비타민을 음식을 통해 섭취한다
또한 햇빛 자외선을 통해 피부에서 만들어 낸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들의 혈중 농도를 보면
활성 비타민 D의 농도가 부족하다
따라서 부갑상선 호르몬 농도가 비 정상적으로 높다
따라서 뼈는 부서지는 방향 즉 골다공증 상태를 유발시키고 있다

[그림] 연중 매월 변하는 혈중 비타민 D의 농도
비타민 D를 별도로 복용하지 않는 자는 복용하는 자보다
1년 내내 혈중 비타민 D 농도가 저하되어 있으며 특히 겨울철에 더 심하다
이번 발표된 2년간의 임상 (2,130명)에 의하면
비타민 D (400-700 IU)를 매일 별도로 복용한 자는
혈중 비타민 D의 농도가 일년 내내 충분한 상태임이 밝혀졌다
[근거]
JAMA. November 9, 2005, Vol. 294 No. 18,:2336-2341.
Relationship Between Serum Parathyroid Hormone Levels,
Vitamin D Sufficiency, and Calcium Intake,
Laufey Steingrimsdottir, PhD; Orvar Gunnarsson, MD;
Division of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Department of Medicine,
Landspitali-University Hospital, University of Icel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