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인방신佩印帮身 즉이취귀即以取貴, 즉인취귀即印取貴
庚 丙 甲 乙 ; 辛 庚 己 乙
寅 申 申 未 ; 巳 寅 卯 未
재격패인財格佩印의 사주가 있다면 대체로 고재孤財는 귀하지 못하며, 패인방신佩印帮身하면 바로 그 패인을 써서 관귀官貴를 얻는다. 예를 들면 을미 갑신 병신 경인과 같은 것이니, 증참정曾參政의 명조가 이러하다. 그렇지만 재인財印은 서로 병립並立해서는 마땅하지 않다. 예를 들면 을미 기묘 경인 신사와 같다. 을목과 기토 양간兩干은 서로 사이가 나쁘다. 바로 호처好處가 있지만 소부小富를 누릴 뿐이다.(有財格佩印者蓋孤財不貴佩印帮身即以取貴. 如乙未、甲申、丙申、庚寅曾參政之命是也然財印不宜相並如乙未、己卯、庚寅、辛巳乙與己 兩不相能即有好處小富而已. 이상 경촌집)(有財格佩印者, 蓋孤財不貴, 佩印幫身, 即印取貴. 如乙未、甲申、丙申、庚寅, 曾參政之命是也, 然財印宜相並, 如乙未、己卯、庚寅、辛巳, 乙與己兩不相能, 即有好處, 小富而已. 이상 자평진전)
위 번역은 경촌집을 의거했다. 상능相能은 서로 뜻이 맞다, 사이가 좋다는 뜻이며, 불상능不相能은 이를 부정한다. 자평진전은 경촌집의 즉이취귀即以取貴를 즉인취귀即印取貴라 했고, 재인불의상병財印不宜相並을 재인의상병財印宜相並이라 했다. 전자는 “바로 그 패인을 써서 관귀官貴를 얻는다.” “인성에 임하여 관귀를 얻는다.” 양자간에 큰 차이가 없다. 그러나 후자는 “재인財印은 서로 병립並立해서는 마땅하지 않다.” “재인財印은 서로 병립並立해야 마땅하다.” 그 뜻이 180도로 상반된다. 이에 경촌집을 취한다.
丙 丁 戊 己 庚 辛 壬 癸 - 庚 丙 甲 乙
子 丑 寅 卯 辰 巳 午 未 - 寅 申 申 未
다시 원문을 간단히 인용한다. “재격패인財格佩印이라면 고재孤財는 귀하지 못하다.” “패인방신佩印帮身하면 바로 그 패인을 써서 관귀官貴를 얻는다.”(佩印帮身即以取貴) “패인방신佩印帮身하면 인성에 임하여 관귀官貴를 얻는다.”(佩印帮身即印取貴)
재격패인의 정의는 “재인財印은 서로 병립並立해서는 마땅하지 않다.” 병립은 연간과 월간을 말한다. 고재불귀孤財不貴는 하나의 전제조건인데, 이를 뒤집어서 해석한다. 월령 재격은 호위하면 귀할 수 있다. 정관의 호위는 말할 것이 없고, 식상의 호위도 또한 귀할 수 있다. 왕재旺財는 생관生官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월령 재격이 인성에 임하거나 패인하면 어떻게 귀할 수 있을까?
인터넷에서 경촌집의 원문을 구하는 중에 이 제명과 관련한 글을 보았다. 이에 일부를 인용한다.
“인성은 권인權印을 대표하는 것이다. 홀로 재성만 의지해서는 귀격貴格에 이를 수 없다. 심씨沈氏는 이 장 하문下文에서 말하기를, ‘대체로 고재孤財는 귀하지 못하며, 배인방신配印帮身하면 인성에 임하여 관귀官貴를 얻는다.’라고 한다. 이는 바로 관건점關鍵點을 말한 것이다. 단지 ‘배인방신配印幫身’이란 4자가 도리어 오도誤導하는 혐의嫌疑가 있다. 비겁도 또한 방신이 되기 때문이다. 오로지 재격으로 하여금 귀격에 이르도록 하지는 못한다. 배인의 목적은 방신이 아니고, 인성을 써서 귀징貴徵을 취하는 것이다. 만일 인성으로 비겁을 생조하면 재격을 손상하며, 바로 귀하지도 못하기 때문이다.”(印星代表權印的,光憑財星是不能致貴。沈氏在此章下文裏說到“蓋孤財不貴,配印幫身,即印取貴”,這才是說到了關鍵點。只是“配印幫身”這四字還是有誤導之嫌,因爲比劫也幫身,但不能使財格致貴。配印的目的不是幫身,而是以印取貴。如果印生比劫而損格,則不貴也。) 財格配印,孤財不貴,配印幫身,即印取貴 日期:2023-12-8 20:37| 發布者: 童子命化解網(tongziming.com)
나는 위 글을 누가 썼는지 알지 못한다. 다만 나의 뜻에 부합한다. 이에 인용한 것이다.
戊 己 庚 辛 壬 癸 - 庚 丙 甲 乙
寅 卯 辰 巳 午 未 - 寅 申 申 未
시간 경금 재성은 월일지에 통근하여 강왕하고, 연월간 갑을목 인성은 연지 미토와 시지 인목에 통근하여 일간 병화를 생조한다. 또 인목은 일간 병화의 장생지이기도 하다. 이 인목이 손상되어서는 안 된다.
어정자평의 명리미언에는 양불충일兩不沖一이라는 간법이 있다. “일간一干은 양간兩干을 합하지 않고, 양지兩支는 일지一支를 상충하지 않지만, 대운에는 쌍관雙關에 이른다.”(一不合兩 兩不沖一 運到雙關) “대운에는 쌍관雙關에 이른다.” 미비의 주석은 다음과 같다. “일불충양一不沖兩이란 일간이 쟁합하면 작합하지 않는다는 설이 이것이고, 양불충일兩不沖一이란 이른바 양자兩子가 일오一午를 격충하지 않는다는 것이 이러하다.”(一不沖兩 日干爭合不合之說是也 兩不沖一 所云兩子不沖一午是也)
이를 원용하면, “양신兩申은 일인一寅을 상충하지 않는다.”(兩申不沖一寅)라고 말할 수 있다. 무인 대운에 이르러 쌍관에 이른다. 아마도 불록했을 것이다.
2024년 2월 3일 길상묘덕 씀
첫댓글 고맙습니다
감사합니다.
대단히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