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ttp://m.ceoscoredaily.com/page/view/2021120915043944070
https://n.news.naver.com/article/016/0001921993
https://sgsg.hankyung.com/article/2021052888231
https://www.mk.co.kr/news/business/view/2020/06/636253/
https://www.hankyung.com/society/article/2016090462201
https://cnews.pinpointnews.co.kr/view.php?ud=20210721174630505c642673384_45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173684
https://www.shippingnewsnet.com/news/articleView.html?idxno=19273
https://m.datanews.co.kr/m/m_article.html?no=116303
http://news.bizwatch.co.kr/article/industry/2021/09/15/0002
https://www.fnnews.com/news/201512301741152670
https://brunch.co.kr/@honglak/3
https://www.joongang.co.kr/article/20531211#home
https://www.wolyo.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592
https://hibiscusplace.tistory.com/27
https://www.ajunews.com/view/20130606000097
https://www.ajunews.com/view/20210506151329753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187809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4/02/2019040203322.html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1090615244086729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021386
https://www.bok.or.kr/portal/bbs/P0002232/view.do?nttId=10054152&menuNo=200086&pageIndex=10
https://www.sedaily.com/NewsVIew/1Z5DLPZHD7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111417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110131556026400108196&svccode=01
http://biz.heraldcorp.com/view.php?ud=20200818000466&cpv=1
https://cm.asiae.co.kr/article/2019101608384858790
https://www.asiae.co.kr/article/2019031914422281384
https://financialist.tistory.com/entry/%EC%98%81%EA%B5%AC%EC%B1%84-%EB%B0%9C%ED%96%89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302166622491872&mediaCodeNo=257
https://www.sedaily.com/NewsVIew/1Z1OBK4VWJ
https://news.v.daum.net/v/20211212061602487
================================================================================
난리날꺼 같은데 중국에서도 이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기 시작하고 , 영구채 발행이 잔액들 보고있는데요 그룹들 말씀드릴께요 , 비금융 기관부터 말씀을드리겠습니다. 이문제에대해서는 입닥치고 있는데 , 아... 괜찮아요 투자하기에는 괜찮은 상품인데 ,CJ CGV CJ 건설 CJ제일제당 CJ 푸드빌 , CJ 프리시웨이 GS건설 HMN , JW 중외제약 , 대우조선해양 , 대전 열병합 발전 , 두산 인프라코어 , 롯데 칠성 , 신세계 조선호털 , 신세계 라이브시티 , 에어부산 , 이랜드 이츠 ... 충격들 받지 말아요 이마트 이수화학 , 이월드 , JTBC , 티머니 , 파주에너지 서비스 , 풀무원 , 풀무원식품 , 한국남동발전 , 한국서부발전 , 한국지역난방공사 , 현대로템 , 현대중곡업 현대 오일뱅크 , 효성엔지니어링 외 다수이다. 회사는 정말 많은데 ... 한기평꺼 보고있다...
영구채 차입해갖고 저기는 공적이라서 국내비금융기업의 영구채 조달현황과 리스크 요인점검 이다. 서머리 이상 넘어갈수없다. 궁금하시는분들은 SK 그룹 CJ그룹 기타 나와있는데 , 다른것들도 참고해보면 아... 지금 확대 된다는게 문제이고 금융사는 상상초월이다...
자본으로 치환된거 신세계도 들어간다.. 여기보면 이상하게 오너분들이 나와서 대중들하고 친한척하고 소통하는이유를 알겠지...
2018년에도 심각해서 했는데 , 3년전에는 30조원정도되었는데 최근에는 50조로 규모가 늘었다. 본격적으로 적자로 자본을 쌓기 시작해서 이미 이제는 시장에서는 알만한 사람은 다안다. 여기 안들어간게 있다. 적자자본으로 하고 얘기한 기업들은 주가가 폭등하고 있고 , 주식전문가들이 추천하고 있고 갑자기 친한척 하고 서민인척 하는이유를 ... 이렇다 할께 없으니까...
만기가되어서 회사가 몇개이냐... 영구채 발행한회사들 발생 실적이 2018년도에는 50개였는데 지금은 100개가 넘는다. 앞으로 추가적으로 더 발행할거 같다...
그래서 이문제가 뭐냐 하면 영구채가 금리가 5%되는데 , 보통은 기업채껄 알려드릴께요 , 처음에는 발행이 5%이고 3년뒤에는 옵션이 7%이고 , 2년뒤부터는 매해 0.25%씩 금리가 상승합니다. 통상이렇다. 그러니까 3년후터 7%가 된다. 사채인거다.
지금 문제들이 되는게 , 2019년부터 이얘기가 함구가되기 시작했다. 대한항공에서 아시아나를 인수하기 안하면 큰일나는거다. 지금 이마트가 영구채 발행실적이 조단위이다. 지금 뭐가 이상한거라는걸 하실거다. 이게 기업실적이고 금융권은 여러분들이 상상을 초월할정도로 영구채를 발행하고있다. 콜옵션이 내년부터 시작되는데 지금 일반기업들은 내후년부터 문제이고 , 금융권보험사들은 영구채문제가 5년후에 시한폭탄을 맞추는걸로 알고있다.
2019년 생명보험회사이고 , 2019년 영구채 발행실적인데 , 한화흥국교보신한농협이고 2019년에 발행실적이 한화가 1조 5천억이고 발행실적이 5조원인데 , 지금 한 15조 될껄요... 계속 무한대로 마구 영구채를 발행하고있다. 자본확충이 7조 인데 5조원을 보험사는 영구채를 발행한거다. 사실상 5년후에 폭탄터지는걸 7%정도를 일반기업은 3년후부터 문제가되고 보험사는 2025년부터 문제가 되는걸로알고있다.
한번더 정리를 해야할껀데 ,...
SK 대한항공 이마트 대한통운 칠성 신세계건설외 100여개 회사인걸로 알고있다.
롯데포함한 대기업들도 후순위채 발행안한데가 없다...
2020년 보험사영구채인데 , 보험사들도 영구채 발행안한데가 없다. 이게 증권사영구채도 상상을 초월한다.
빚내서 자본을 확충하는거다 .모든회사가 난리도 아니다... 증권사고 나발이고 전부다... 정말 뭐... 포장을 했는데 5년후부터 문제가 되는건데 , 뭐라고 얘기를 해야 하나..
중국도 이거때문에 난리이다. 중국 중소은행만 58조 발행했는데 , 자본금이 거짓말이다... 얘네가 금융권에서만 자본금이 75조인데 , 중국도 이난리인데 우리나라가 금융권이 30조 정도된다. 시한폭탄인데 .... 시한폭탄인거다. 얘네가 후순위채라고 하는데 은행 29개 에 74조원이 거짓말이다. 앞으로 문제생길데가 저마오 은행 광다오 은행 상업은행들도 터진다는얘기가 채권을 선순위채권을 307조원이라서 중국도 난리가 아니다.... 우리만 그런게 아니라는거다. 중국애들도 채권발행하고 영구채하고 난리도 아닌거다...
난리가 나는거다.
현대상선 영구채가 1조원이다.
대우조선해양 2조 4000억원 , 한화생명 1조 5000억 이게 한화가 5000억추가로했다고 하니까 자본금2조원정도가 영구채이다. 대한항공 1조원 2019년기사이다. 회계를 따져야 겠지만 , 영구채를 부채로 하게되면 200~500% 부채비율이 올라가는걸로 보고있다. 2019년기사인데 쉬쉬하고있는거다.
연말에 보험사 발행한 영구채가 4조원이다... 이게언제터지냐 이건데 4조원중에 3조6천억원이 영구채이다. 이게 5년후에 보완자본에서 2% 씩 까인다... 무서운게 뭐냐 영구채가 영원한자본 아니다. 5년만되면 보완자본에서 영구채가 2%씩 매년 마이너스로 자본금이 삭감이 된다. 많은경우는 5%가 되고말이다. 왜 갚아야 되니까... 5년이후에 폭탄이라는거다.. 은행 증권 보험 난리가 아니다. 한국도 예외가 아니다. 일반대기업이 영구채 발행한기업이 100개이다. 삼성은 발행을 안했다. 만약에 7%짜리 이자를어떻게 주냐이다. 매년 0.25~0.5% 씩 이자가 올라가는구조이다. 복리도 이런복리가 없는거다. 5년맡기면 5%이고 10년맡기면 15%이고 20년맡기면 20%인데 망할수밖에 없는거다.
자본금인데 이자가 사채인거다.
자본비율 줄어드는게 5년후부터이다. 5년후부터 문제가 생기는거라고 보는거다.
은행 증권사 일반기업 나오지 않았는데 올해 한 15조가까이 영구채 발행한거라고 보고있다. 그러면 자본금이 없는거다. 주식투기 하고 회사 괜찮다고 하는데 자본금이 영구채인거다. 5년후에 콜옵션 안하면BB+같은경우는 7%까지 된다. A 는 3.5~5%가 되고말이다. 1년마다 0.25~0.5% 금리가 올라가는구조이다. 5년이후부터 폭탄이다. 그리고 자본금에서 이자나가는건 삭감이 되고 자본계정에서는 2~5% 자본삭감이 된다. 5년후부터는 무제한으로 쭉빠지는거다.
DB손해보험 5천억 ,현대해상 3500억원 , KB생명 2000억원 자본을 늘리는거라고 하는데 영구채발행을 성공했다.... 성공했대....
일반기업 100개 , 보험증권 영구채 발행러시인데 , 금융권이 5년후부터 폭탄이 터지는게 잔존만기가 5년이다. 5년동안 후순위채권 계속 찍을꺼다.
어떻게 자본금을 확보하냐 , 대주주들이 자본금을 납입해서 옛날 그룹해체되면 알거지 되고그랬는데 , 족벌가가 경영권 방어하려고 돈을 투입을 안한다. 여기에 연관되어서 채권이나 상호지급 연쇄파산되는건 일도아닌거다.
일단은금융권은 금감원에서 발표를 안하고있다. 영구채 발행하는걸내놓아 할꺼아니야....
선순위채 후순위채가 있는데 후순위채가 자본금이 들어가고 어차피 회사망하면 못받는돈이다. 후순위채가 5년후에 폭탄이 되는거다. 발행 안한 그룹이 없다. 왜 나와서 짝짝짝 이미지 포장하는거 알겠지.. 두산망할때 좋은사람인척 다큐찍고 그랬잖아 사람이 미래다 라고했는데 직원들 막짤랐다. 데이터 3법 사채업하는게 두산의 미래인가...
그러시다가 정부에서 2조 실탄 지원받은다음에 안나오잖아.. 이미지 관리한다고 말이야 ...
총수들이라는 사람들이 왜 이렇게 쉽게 볼수있는지 잘봐라... 무슨분위기인가말이다... 이개새끼들 다나가 이런거 아니었나.. 인간적이고 신용적이고 가족적이고 다큐멘타리 찍었는데...
맥주나 팔지 ... 기관은 집안들 먹고산다고 두산인프라코어 먹고...
앞으로 짜를일밖에 없는다.. 올해만 생명보험사가 5조원인데 금융권도 그정도 추정된다. 금융권만 13~15조 추정인데 , 자본금으로 회사 배당으로 빼가고 주식들 파시는거 아닌지...
미래에섯 1500억원 올해만 3000억 조달 다5년물이다. 현대해상 3500억원 매리츠 2100억원 성공했다. 만기도래시 추가 확충 불가피하다... 잔존만기가 5년일경우발행채권의 20%씩 보완자본에서 제외한다....
여러분 생각 나는회사중에 영구채 발행안한 회사찾기 힘들다. 경남은행 10년만기 후순위채 2000억발행 성공이면 10%씩 자본이 까이는거다.
바젤 자본규제 시행에 의하는건데 바젤3가 나온다...
자본시장보고서 1년만에 보고 금융안정보고서를 6개월씩 본다. 내가 어떻게 해드릴가요...
다지금 전부 후순위채 만기도래할경우에는 BIS 비율 폭락하고 은행이고 나발이고 이게진실이다.
2012~2018년동안 30조 영구채를발행한거다. 2년동안 50조이상 발행한건 다예상될꺼다... 영구채 발행한곳만 100곳이 넘는다는건 중장기적으로 망한다는거다.
투자자 보호방안이 마련되지 않는거다.
해외에서 지급보증하면 뒤로 그런얘기가있다. 그룹에서 지급보증하고 연대보증했다는얘기가 있다. 안사겠지.... 그런게 없으면 ... 콜옵션에다가 돈발행하고 여기에대해서 다른회사에서 본다 그런얘기가 많아요... KB 은행이니 뭐니 영구채 받을 수있다. 옛날에는 자본을증자하면 그룹회장들이 사재를 출현을했다. 요즘에는족벌가에서 돈만빼돌리고 아무것도안한다. 영구채만 발행하는거다.. 사재 출현따위는 안하는거다.
첫댓글
이 많은 자료 정리해 주셔서 항상 감사합니다.^^
시간에 쪼달려 실방을 못 보니 경우도 있는데....
이렇게 정리하여 공부하는데 도움이 많이 되네요^^
항상 고맙고 감사합니다^^
작은 성의 표시로 추천 1표 누르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값진 정보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