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한주를 시작하는 좋은 아침입니다. 교량구체의 결함 중에 교대균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교량(橋梁) 교대 등을 살펴봤는데 침하현상은 없으나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확인되었는데 균열부분만 설명 드리겠습니다. 교량교대(橋梁橋臺)는 교량의 하부구조로서 교량의 양단에 설치되며 상부하중을 하방의 지반으로 전달하고 뒷면에 작용하는 토압을 받아내는 구조물인데 1mm 이상의 균열이 발생되었을 때 무엇이 문제고 구조물에 어떠한 악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겠습니다.
교대 상부에는 상판슬래브가 설치되고 슬래브와 교대 사이에 신축이음장치가 설치되어 교량의 활하중(活荷重)에 의한 상부구조물의 이동 회전을 원활하게 수행하는데 파손의 형태는 대표적인 게 균열인데 이는 신축이음장치가 파손된 경우 노면수가 배수구나 난간측면으로 배수되지 않아 교대로 흘러내려 미세균열사이로 노면수나 염기성유체가 침투하고 동결융해(凍結融解)를 반복하면서 철근콘크리트의 수명을 단축시켜 철거시기를 앞당기게 되므로 빠른 보수를 해야 합니다.
아래 사진의 교량은 교대의 벽체에 장방형 균열이 다수 발견되고 가로균열이 1cm 이상 발생된 것으로 보아 충격하중(衝擊荷重)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 균열(龜裂)이 발견되면 원인을 분석하고 계속 사용하려면 보수/보강공사를 해야 합니다. 그리고 무너지길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면 보강(補强)을 해야 하고 참고적으로 교량과 콘크리트 구조물(構造物)의 붕괴징후를 요약해서 설명 드리면
가. 교량/복개상판 슬래브(Slab)의 붕괴징후(崩壞徵候)
교량의 붕괴(崩壞)는 설계(設計)와 시공, 유지보수와 천재지변 등의 원인이 있는데 설계와 시공단계(施工段階)가 대단히 중요하고 노후화, 부식, 파손 등이 발생했을 때 적절한 유지보수(維持補修)를 하지 않으면 붕괴될 수 있고 지진(地震) 등 천재지변(天災地變)과 같은 자연재해도 붕괴의 일반적인 이유이기도 합니다.
① 교량(橋梁)의 교각기둥이나 지지대에 큰 균열(龜裂)이 발생한 경우
② 교량의 강철부재에 녹이 발생한 경우
③ 교량의 지지대에서 이상한 소리가 발생하는 경우
④ 교량에 진동(振動)과 흔들림이 발생하는 경우 등
이상과 같이 교량이나 콘크리트 슬래브(Slab) 위를 지나는 보행자나 차량의 운전자가 상기 내용을 인지(認知)하거나 비정상적인 진동(振動)이 감지(感知)되면 즉시 대피하고 신고를 해야 합니다.
1. 개요
① 일자 : 2024.5.27
② 장소 : 대전 동구지역
③ 내용 : 교량(橋梁)의 균열과 구조물 안전
2. 현장모습
좋은 하루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