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애플 소송관련 코멘트 정리
애플 승소로 본 북미 스마트폰 시장현황과 향후 전망
-2Q12 MS : 애플 37%, 삼성 22%, HTC 9%, LG전자 8%, 모토로라 8%
→9월12일 아이폰5 출시하게 되면 북미 시장점유율 50%를 넘어설 전망
- 애플 수혜주 주가강세 예상 : LG디스플레이, LG이노텍, 인터플렉스
-현재 애플은 HTC와 소송을 진행 중에 있어, HTC도 패소할 가능성이 높음
-올해 출시된 LG전자 스마트폰의 모서리는 직각으로 처리되어서 애플의 디자인과 상이하기 때문에 애플에게 제소될 가능성이 낮음
-애플과 소송이 진행 중인 구글은 애플을 반독점과 폭스콘의 노동 이슈를 제기해 애플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전망
삼성전자(Buy, TP: 2,000,000원) 배심원 평결 영향(대신)
-단기적 주가조정 가능성있으나, 1,200,000원 이하에서는 비중확대
*negative: 예상하지 못했던 결과로 인한 심리적 충격, 미국내 판매금지 가능성, 충당금 계상
*positive: 금번 평결이 소비자 권익 참해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서 타지역 소송결과에 영향을 미치기 어려움, 현재 Apple과 삼성전자 시가총액 gap은 3.44x로 작년 8월이후 최대로 벌어진 상황, 3Q12 IM부문 영업이익 5조원대로 level-up 가능성
(하이)
- 아직 판사의 1심 최종 판결이 남아있고 연방법원에 대한 항소 및 최종 대법원에 대한 상고가 남아있는 상황이나 1심 최종 판결에서 배심원들의 판단이 뒤집힐 가능성이 높지 않은 것으로 보이므로 일단 큰 악영향은 불가피할 듯
내달 1차 최종 판결에서 배상금 규모를 줄이고 이번에 소송 대상이 된 제품들에 대한 판금 조치를 안받는 것이 현상황에서는 최선의 결과일 듯
- 그러나 애플이 갤s3에 대해서도 배상금과 판매 금지 조치를 위한 추가 소송을 할 가능성이 높고 이번 판결이 향후 추가 소송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어 장기적인 측면에서도 피해를 입을 가능성이 존재함
삼성 입장에서는 미래 출시 제품에 대해 애플 특허를 피하는 대대적인 디자인 및 기술 변경 작업을 해야할 수 있고 불가피할 경우 애플에 해당 특허에 대한 로얄티 지급을 해야 할 수 있음. 이경우 제품 가격 상승 및 수요 제한의 우려가 있음
- 다만 이번 판결이 미국 외 지역에서 벌어지고 있는 소송에 영향을 줄 것으로는 보이지 않음. 이번 애플의 완승에 결정적 기여를 한 배심원 제도를 미국 외 지역에서는 많이 채택하고 있지 않고 있으며, 한국에서는 애플의 삼성 기술 특허 침해가 인정된 바가 있고, 무엇보다도 미국 외 국가들에게 애플의 승리가 이익이 되지 않기 때문임
- 이번 판결에 따른 주가의 영향은 이미 삼성전자 주가에 일정 부분 반영된 면이 있으나 배상금의 규모가 예상을 뛰어넘는 수준이고 향후 추가 소송에서 애플이 이길 수 있는 가능성을 높여주어 삼성의 추가 손실이 발생할 수 있게 되었으므로 삼성전자 주가에 당분간 악영향을 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됨
Spot 이슈. 애플 관련 부품주 정리(우리)
부품업체들 주가 역시 투자심리적으로 애플관련주들은 강세를 띌 것
* FPCB 및 소재 : 인터플렉스, 이녹스
* 프리즘시트 : 엘엠에스
* 칩바리스터 : 아모텍
* 리니어모터 및 스피커 : 블루콤
* 블루필터 : 옵트론텍
* Driver IC : 실리콘웍스
* BLU : 이라이콤
* PLS 패널 코팅 : 유아이디
크루셜텍, 애플 소송 대비한 기술 부각 '강세'
-크루셜텍은 애플의 특허 소송을 피할 터치패널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점이 시장 의 관심을 받는 분위기. 또 차세대 휴대폰에 탑재될 것으로 예상되는 BTP(바이오트랙패드) 기술도 주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