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lectromagnetic torture report investigated by UN
PUBLISHED 20 July 2020
UN이 조사한 전자기 고문 보고서
게시일: 2020년 7월 20일
Call for inputs for the report on biopsychosocial dynamics conducive to torture and ill-treatment
고문과 학대에 도움이 되는 생물 심리·사회적 역학에 관한 보고서에 대한 의견 요청
Issued by : Special Rapporteur on Torture and Other Cruel, Inhuman or Degrading Treatment or Punishment
발행처 : 고문 및 기타 잔혹하고 비인간적이거나 굴욕적인 대우 또는 처벌에 관한 특별 보고관
Purpose : To inform the Special Rapporteur’s annual interim report to be presented to the General Assembly at its 75th Session in October 2020
목적 : 2020년 10월 제75차 총회에 제출될 특별보고관의 연례 중간 보고서를 알리기 위함
Individuals 개인
⦁ Electromagnetic Torture 전자기 고문
⦁ Energy weapons 에너지 무기
⦁ Mind control technology 마인드 컨트롤 기술
⦁ Harassment techniques 괴롭힘 기법
UN report 「Harassment techniques」 PDF file
UN 보고서 「괴롭힘 기법」 PDF 파일
Harassment techniques include:
괴롭힘 기술에는 다음이 포함됩니다.
1. Surveillance (being followed, electronic surveillance, computer and phone hacking, monitoring all online activities, and bugging of home)
감시 (추적, 전자 감시, 컴퓨터 및 전화 해킹, 모든 온라인 활동 모니터링 및 가정 내 도청)
2. Profiles are built to identify any and all weaknesses and insecurities to be used later. Information often obtained through sexual partners or trusted people in their lives.
프로필은 나중에 사용될 모든 약점과 불안정성을 식별하기 위해 작성됩니다. 종종 성적 파트너나 신뢰하는 사람들을 통해 얻은 정보입니다.
3. Conditioning where victims are sensitised to certain stimuli such as everywhere you go someone will cough as they walk past you. The goal is to make you self police and then think anyone who coughs is involved in the harassment. People report of conditioning to include hand gestures, an overt use of colour in peoples clothing (like everyone you see wearing red) or cars a certain colour or with headlights on (also known as brighting).
피해자가 특정 자극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조건화: 어디를 가든 누군가가 당신을 지나칠 때 기침을 할 것입니다. 목표는 당신을 스스로 경찰로 만든 다음 기침하는 사람이 괴롭힘에 연루되었다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사람들은 손짓, 사람들의 옷에 명백한 색상 사용(예: 빨간색 옷을 입은 모든 사람) 또는 특정 색상이나 헤드라이트를 켠 자동차(밝힘이라고도 함)를 포함하는 조건화에 대해 보고합니다.
4. Anchoring where someone will provide false rationales for the harassment. Often many possible rationales are planted to keep the victim confused and the focus of the harassment cycles from one possible reason to another round and around so as to keep the victim guessing in a self perpetuating guessing game where every scenario you are to blame and causes self doubt, fear, intimidation, and ultimately a cycle of destructive thoughts
누군가가 괴롭힘에 대한 잘못된 근거를 제공할 수 있는 앵커링. 피해자를 혼란스럽게 만들고 괴롭힘 주기의 초점을 한 가지 가능한 이유에서 다른 이유로 계속 돌리기 위해 가능한 많은 논리적 근거가 심어져 모든 시나리오가 당신을 비난하고 자해하는 자기 영속적인 추측 게임에서 피해자가 계속 추측하도록 합니다. 의심, 두려움, 위협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파괴적인 생각의 순환입니다.
⦁ Anchoring effect 앵커링 효과
배가 닻(anchor)을 내리면 닻과 배를 연결한 밧줄의 범위 내에서만 움직일 수 있듯이 처음에 인상적이었던 숫자나 사물이 기준점이 되어 그 후의 판단에 왜곡 혹은 편파적인 영향을 미치는 현상이다. 정보나 지식이 충분하지 않은 상황에서 행동하거나 결정을 내릴 때 사람들이 직관적 사고에 의존하는 경향을 휴리스틱(Heuristic)이라고 하는데, 앵커링 효과는 휴리스틱 사고의 일종으로 볼 수 있다. ‘정박효과’, ‘닻 내림 효과’ 등으로도 불린다.
5. Mobbing (or true gangstalking) where everywhere you go you will see an overt display of people following you and often use words you have been conditioned to or your name to draw your attention
폭도(또는 진정한 갱스토킹): 어디를 가든 당신을 따라다니는 사람들이 공공연하게 나타나고 종종 당신이 조건화된 단어나 당신의 이름을 사용하여 당신의 관심을 끌 수 있습니다
6. Street theatre where a group will "perform" an overt activity like a fake confrontation or scenarios designed to test your reactions. Often takes the form of a couple who position themselves near you and then have a conversation using many of your conditioned words or pertaining to your particular situation and sensitivities.
한 그룹이 가짜 대결이나 당신의 반응을 테스트하기 위해 고안된 시나리오와 같은 명백한 활동을 "수행"하는 거리 극장. 종종 당신 곁에 서서 당신의 조건화된 단어를 많이 사용하거나 당신의 특정 상황 및 민감성과 관련된 대화를 나누는 커플의 형태를 취합니다.
7. The use of directional speakers which have the ability to direct sound to a single individual in a crowded room. This particular item is ultimately the most used and is often referred to as V2K or Voice to Skull and is used extensively in the psychological breakdown of the victim. The use initially is to cause the victim to doubt their sanity and drive them into the mental health system, and later to just torment and never give the victim a moment of privacy or peace. If they do enter the mental health system, then harassment escalates dramatically as the victim has now been "discredited" and can be labeled as someone with a mental problem if they do speak out about the harassment.
혼잡한 공간에서 한 사람에게만 소리를 전달할 수 있는 지향성 스피커를 사용합니다. 이 특정 항목은 궁극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며 종종 V2K 또는 Voice to Skull이라고 불리며 피해자의 심리적 붕괴에 광범위하게 사용됩니다. 처음에는 피해자가 자신의 정신상태를 의심하게 만들고 정신 건강 시스템으로 몰아넣고, 나중에는 그저 괴롭히고 피해자에게 잠시의 사생활이나 평화를 주지 않기 위해 사용됩니다. 만약 피해자가 정신 건강 시스템에 들어가면 피해자가 이제 "신뢰를 잃게" 되고 괴롭힘을 신고할 경우 정신적 문제가 있는 사람으로 분류될 수 있으므로 괴롭힘이 크게 확대됩니다.
8. The use of electronics to effect your eyesight and balance which was originally developed for the military and police crowd control called "dazzling" and even the ability to make you vomit.
시력과 균형에 영향을 미치는 전자 장치의 사용은 원래 군대와 경찰의 군중 통제를 위해 개발되었으며 "눈부심"이라고 불리며 심지어 토하게 만드는 능력도 있습니다.
9. Sound campaigns which is a community harassment technique where abnormal levels of sound are directed at the victim and their home. This includes cars deliberately breaking or accelerating when they pass, people talking excessively loudly at all hours of the night, amplification of sound using directional speakers so that external sounds that previously couldnt be heard now can, garbage trucks and other heavy vehicles, and countless other deliberate tactics
소리 캠페인은 비정상적인 수준의 소리가 피해자와 그 가정을 향하는 지역사회 괴롭힘 기술입니다. 여기에는 지나갈 때 의도적으로 브레이크를 밟거나 가속하는 자동차, 밤새도록 지나치게 큰 소리로 말하는 사람들, 이전에 들리지 않던 외부 소리가 들리도록 지향성 스피커를 사용하여 소리를 증폭하는 것, 쓰레기 수거차 및 기타 대형 차량 등 수많은 고의적인 전술이 포함됩니다.
10. Sleep deprivation - this is perhaps one of the most insidious tactics used where victims are woken multiple times a night and can be kept awake for days at a time. The effects are dramatic and completely debilitating effecting concentration, mood, irritability, appearance, and significantly impacts all areas of their life - job performance, relationships, and significantly aids in discrediting the victim as they appear unorganised, disheveled, and sleeping patterns alter so they may sleep during the day (where noise campaigns are more effective) and be awake at night (where they can be painted as the one making noise and being a disruptive member of the community).
수면 부족 - 이는 아마도 피해자가 밤에 여러 번 깨어나 한 번에 며칠 동안 깨어있을 수 있는 가장 교활한 전술 중 하나일 것입니다. 그 효과는 극적이며 집중력, 기분, 과민성, 외모에 영향을 미치며 완전히 쇠약해지고 삶의 모든 영역(직업 수행, 관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피해자가 정리되지 않고 흐트러진 것처럼 보이며 수면 패턴이 바뀌어 피해자를 불신하는 데 크게 도움이 됩니다. 낮에는 잠을 자고(소음 캠페인이 더 효과적인 경우) 밤에 깨어있을 수 있습니다(그들은 소음을 내고 지역사회에 파괴적인 구성원으로 묘사될 수 있음).
11. Baiting or entrapment where victims are harassed to the point that they lash out and commit a crime such as assault, break and enter or vandalism, as they try and locate the source of the harassment. Harassers will actively try to provoke verbal and physical confrontations especially after a period of sleep deprivation. Or they are prompted into an activity which can then be used as leverage such as affairs, sexuality, drug use, or other criminal activity.
피해자가 괴롭힘의 근원을 찾으려고 할 때 폭행, 무단 침입 및 침입 또는 기물 파손과 같은 범죄를 저지르고 저지를 정도로 괴롭힘을 당하는 미끼 또는 함정. 가해자는 특히 일정 기간의 수면 부족 이후 언어적, 신체적 대결을 적극적으로 유발하려고 합니다. 또는 불륜, 성적 취향, 약물 사용 또는 기타 범죄 활동과 같은 지렛대로 사용될 수 있는 활동을 하도록 자극을 받습니다.
12. Gaslighting which is a form of psychological abuse where someone will actively try undermine victims and to make them doubt themselves so that they lose all self confidence and self esteem and are therefor easier to manipulate and push toward the mental health pathway. It can be as simlpe as being told something which they then deny, then telling them how silly they are for thinking they said it, and turn the lie around into an attack on the person. It can be incredibly effective coming from a trusted person and before the victim understands what is happening to them.
가스라이팅(Gaslighting)은 심리적 학대의 한 형태로, 누군가가 적극적으로 피해자를 깎아내리고 자신을 의심하게 만들어 모든 자신감과 자존감을 잃게 하여 정신 건강 경로로 더 쉽게 조종하고 밀어붙일 수 있도록 합니다. 그것은 그들에게 무언가를 말한 다음 그것을 부인하고, 그들이 그런 말을 했다고 생각하는 것이 얼마나 어리석은 일인지 말하고, 그 거짓말을 그 사람에 대한 공격으로 바꾸는 것처럼 간단할 수 있습니다. 그것은 신뢰할 수 있는 사람으로부터 그리고 피해자가 그들에게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를 이해하기 전에 믿을 수 없을 정도로 효과적일 수 있다.
13. Blackbag jobs is a term when a harasser breaks into a victims property and places something or deliberately moves something. The purpose is to cause self doubt, and fear that their property is being accessed which harassers try to then sell as paranoia.
블랙백 작업은 스토커가 피해자의 재산에 침입해 고의로 물건을 놓거나 옮기는 것을 뜻하는 용어다. 목표는 자신의 재산에 접근할 수 있다는 자기 의심과 두려움을 조성하는 것입니다. 그런 다음 괴롭힘자는 이를 편집증으로 판매하려고 합니다.
14. Propaganda and disinformation is also the other key element to suppress knowledge of this practice as its effectiveness initially requires the victim to be unaware of the existence of gangstalking, gaslighting, or the electronic technologies such as directional speakers so huge amounts of time are devoted online to creating disinformation sites which attempt to discredit victims by pushing the mental health agenda. They achieve this by posing as victims and actively trying to sound crazy so that all victims are are treated as such. Also by creating websites claiming to help victims and being a resource for victims to come together and then harassing them to the extent that they lose hope and no longer reach out for help causing further isolation.
선전과 허위 정보는 이러한 관행에 대한 지식을 억압하는 또 다른 핵심 요소이기도 합니다. 이 관행의 효과를 위해서는 처음에는 피해자가 갱스토킹, 가스라이팅 또는 지향성 스피커와 같은 전자 기술의 존재를 인식하지 못하게 되므로 온라인에서 엄청난 양의 시간을 할애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정신 건강 문제를 추진하여 피해자의 신용을 떨어뜨리려는 허위 정보 사이트를 만듭니다. 그들은 피해자인 것처럼 가장하고 적극적으로 미친 것처럼 보이려고 노력하여 모든 피해자가 그렇게 취급되도록 함으로써 이를 달성합니다. 또한 피해자를 돕고 피해자가 함께 모일 수 있는 자원이라고 주장하는 웹사이트를 만든 다음 피해자가 희망을 잃고 더 이상 도움을 구하지 않을 정도로 괴롭혀서 더욱 고립되게 만듭니다.
15. Further to the above, gangstalkers rely on disbelief and discrediting and as such much of the harassment is designed (at least initially) to mimic mental health issues. They also rely on their abuse being so extreme, so pervasive, so fundamentally immoral, as to be disbelieved and victims subsequently resort to photographing, videotaping, and sound recording their everyday encounters to disprove the countless unfounded claims made against them - especially in relation to gaslighting, which gangstalkers try to turn around and paint the victims as paranoid or irrational. Victims are made to feel helpless as every attempt to defend themselves is used against them and when they seek help they are met with disbelief or open hostility
위의 내용에 외에도 갱스토커는 불신과 불신에 의존하므로 괴롭힘의 대부분은 (적어도 초기에는) 정신 건강 문제를 흉내 내기 위해 고안되었다. 그들은 또한 자신의 학대가 믿을 수 없을 정도로 극단적이고 너무 만연하고, 근본적으로 부도덕한 것에 의존하고 있으며, 피해자들은 자신에 대한 수많은 근거 없는 주장을 반박하기 위해 일상적인 만남을 사진, 비디오 및 오디오 녹음에 의지합니다. - 특히 갱스토커가 피해자를 편집증적이거나 비합리적인 사람으로 전복시키려고 시도하는 가스라이팅과 관련하여. 피해자는 자신을 방어하려는 모든 시도가 자신에게 불리하게 작용하고, 도움을 구할 때 불신이나 노골적인 적대감에 직면하게 되므로 무력감을 느끼게 됩니다.
첫댓글 정보에 감사드립니다.
저도 UN 반기문총장때등등
탄원해보았지만 결과 얻기가 쉽질않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