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갑남을녀(甲男乙女)
갑(甲)이라는 남자와 을(乙)이라는 여자라는 뜻으로, 신분이나 이름이 알려지지 아니한 그저 평범한 사람들 즉 보통 평범한 사람들을 이르는 말이다.
甲 : 첫째 천간 갑(田/0)
男 : 사내 남(田/2)
乙 : 둘째 천간 을(乙/0)
女 : 계집 녀(女/0)
(유의어)
범부범부(凡夫凡婦)
범부중생(凡夫衆生)
선남선녀(善男善女)
우부우부(愚夫愚婦)
장삼이사(張三李四)
초동급부(樵童汲婦)
필부필부(匹夫匹婦)
갑이라는 남자와 을이라는 여자라는 뜻으로, 특별히 이름이나 신분이 알려지지 않은 평범한 보통사람을 말한다. 대수롭지 않은 평범한 남녀를 뜻하는 필부필부(匹夫匹婦), 장씨의 셋째 아들과 이씨의 넷째 아들이라는 뜻으로 보통의 평범한 사람을 가리키는 장삼이사(張三李四)와 비슷한 말이다.
갑과 을이라는 글자는 천간(天干)에서 따온 말이다. 천간으로는 갑(甲), 을(乙), 병(丙), 정(丁), 무(戊), 기(己), 경(庚), 신(辛), 임(壬), 계(癸) 등의 십간(十干)이 있는데 갑은 양(陽), 을은 음(陰)으로 음양의 순서대로 배열되어 있다.
성별(性別)을 나누어 보면 양은 남자, 음은 여자로 구분되므로 갑남(甲男)은 불특정한 남자를 말하고 을녀(乙女)는 불특정한 여자를 가리킨다. 갑과 을은 불특정한 인물이나 사물을 가리키는 대명사로 쓰이기도 한다. 음양오행(陰陽五行)의 갑과 을에서 유래한 갑남을녀는 불특정한 남자와 여자를 의미한다.
갑남을녀(甲男乙女)
세상에는 많은 사람이 모여 산다. 그렇고 그런 비슷한 수준의 너와 내가 모여 있는 속에서는 뛰어난 재주의 학(鶴)이 우뚝할 수가 있다. 군계일학(群鷄一鶴)이라 해도 그 학을 둘러싼 여러 닭들이 있어야 존재가 부각된다.
사회를 이루는 여러 보통사람들을 가리키는 말이 많은 중에서도 우리말에서는 유달리 낮춤말이 많다. '어중이떠중이'는 여러 방면에서 모여든 제대로 할 줄 아는 것이 없는 사람들을 말하고, '멱 진 놈 섬 진 놈'은 짚으로 만든 여러 종류의 그릇으로 곡식을 옮기는 가지각색의 사람이다.
이에 비해 같은 평범한 사람들을 나타내는 데도 한자성어에는 객관적으로 나타내면서도 멸시의 의미는 없어 이채롭다. 가장 많이 쓰이는 갑남을녀(甲男乙女)는 물론이고 장삼이사(張三李四)는 이전 중국에서 가장 흔한 성씨(姓氏)인 장씨의 셋째 아들과 이씨의 넷째 아들을 가리켜 신분도 이름도 나지 않은 사람을 가리키는 말이 됐다.
한 사람의 남자와 한 사람의 여자인 필부필부(匹夫匹婦)가 그렇고, 땔나무와 물을 긷는 남녀의 초동급부(樵童汲婦), 절구질하는 보통사람 과구중인(科臼中人)도 마찬가지다. 어리석은 남녀라고 특별히 우부우부(愚夫愚婦)가 있으나 실제 어리석다고 하기보다 임금을 따르는 착한 백성이란 뜻이 강하고, 이 말이 미안한 듯 착하고 어진 사람들을 가리키는 보통사람 선남선녀(善男善女)가 따로 있다.
갑(甲)이라는 남자와 을(乙)이라는 여자, 이름도 알려지지 않은 평범한 사람 또는 특별히 내세울 것이 없는 보통사람의 대명사 갑남을녀는 앞의 여러 어려운 말보다 쉽고도 많이 사용되지만 언제부터 어디서 시작됐는지는 찾기 어렵다. 다만 육십갑자(六十甲子)의 앞 단위를 이루는 갑을병정(甲乙丙丁) 등의 10가지 천간(天干)에서 갑은 양(陽)이고 을은 음(陰) 등 순서대로 배열돼 있다.
성별로 보아 양이 남자, 을이 여자로 구분되고, 갑과 을은 흔히 불특정한 인물이나 사물을 가리키기도 하므로 갑남과 을녀는 각각 불특정한 남자, 불특정한 여자를 가리키게 됐다고 본다.
우리 고전에서도 이 말의 쓰임새는 적어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한 곳에서 검색된다. 영조(英祖) 9년 조에 "장삼이사나 갑남을녀는 피차의 옳고 그름과 호오의 차이가 분분하게 일치되지 않는다(張三李四, 甲者乙者, 彼此是非, 好惡同異, 紛然不一)"로 비슷하게 나온다.
모든 천차만별의 사람이 모여 사회를 이루기 때문에 특출한 부와 재주, 권력을 가졌더라도 제멋대로 굴다간 날아가는 세상이다. 자기보다 못하다고 '갑질'을 부리다간 순식간에 매장되니 보통사람, 갑남을녀의 소중함을 알아야겠다.
▶️ 甲(갑옷 갑, 친압할 압)은 ❶상형문자로 새싹이 싹트면서 아직 씨앗 껍질을 뒤집어 쓰고 있는 모양을 본뜬 글자로 싹이 나기 시작한다는 뜻으로 전(轉)하여 처음, 제일을 뜻한다. 또 씨의 겉껍질을 뜻한다. 단단한 껍데기에서 전(轉)하여 갑옷의 뜻이 되고, 음(音) 빌어 천간(天干)의 첫째 글자로 쓴다. ❷상형문자로 甲자는 '갑옷'이나 '딱지'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甲자는 딱딱한 껍질이라는 뜻이 있는데, 이는 甲자가 갑옷에서 유래한 글자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갑골문에서의 甲자는 단순히 十자만이 그려져 있었다. 이것은 미늘 조각을 연결해서 만든 찰갑(札甲)의 문양을 표현한 것이다. 소전에서는 숫자 十(열 십)자와 혼동을 피하고자 둘레를 감싼 형태로 바뀌게 되면서 지금의 甲자가 만들어지게 되었다. 참고로 甲자는 천간(天干)의 첫 번째 글자로도 쓰이기도 한다. 그래서 甲(갑, 압)은 ①갑옷 ②딱지(몸을 싸고 있는 단단한 껍데기) ③껍질 ④첫째 ⑤아무개(이름 대용) ⑥손톱 ⑦첫째 천간(天干) ⑧첫째 가다 ⑨싹트다 그리고 ⓐ친압(親狎)하다(버릇없이 너무 지나치게 친하다)(압)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살갗 부(膚), 껍질 각(殼), 가죽 피(皮), 겉 표(表), 갑옷 갑(鉀), 갑옷 개(鎧), 가죽 혁(革)이다. 용례로는 갑옷과 투구를 아울러 이르는 말을 갑주(甲冑), 첫째 가는 부자를 갑부(甲富), 같은 나이를 갑장(甲長), 큰 배나 군함의 위에 철판이나 나무 등으로 깐 넓고 평평한 바닥을 갑판(甲板), 육십갑자의 첫째를 갑자(甲子), 열한 번째를 갑술(甲戌), 스물한 번째를 갑신(甲申), 서른한 번째를 갑오(甲午), 마흔한 번째를 갑진(甲辰), 쉰한 번째를 갑인(甲寅), 예순 한 살 되는 해를 갑년(甲年), 무장한 병정을 갑철(甲鐵), 곱으로 쳐서 받는 이자를 갑리(甲利), 크고 너르게 아주 잘 지은 집을 갑제(甲第), 으뜸가는 종류를 갑종(甲種), 갑옷과 투구를 아울러 이르는 말을 갑주(甲冑), 재주를 부려 변신하는 술법을 둔갑(遁甲), 튼튼하게 만든 갑옷을 견갑(堅甲), 쇠로 만든 갑옷을 철갑(鐵甲), 나이 만 60세를 가리키는 말을 주갑(周甲), 같은 나이 또는 나이가 같은 사람을 동갑(同甲), 나이가 같은 또래의 사람을 연갑(年甲), 첫째 자리를 차지함 또는 두목이 됨을 거갑(居甲), 갑이라는 남자와 을이라는 여자라는 뜻으로 신분이나 이름이 알려지지 아니한 그저 평범한 사람들을 이르는 말을 갑남을녀(甲男乙女), 갑이 논하면 을이 논박한다는 뜻으로 서로 논란하고 반박함을 이르는 말을 갑론을박(甲論乙駁), 갑이라는 집과 을이라는 정자라는 뜻으로 이 집 저 집을 이르는 말을 갑가을정(甲家乙亭), 방비가 튼튼한 성과 훌륭한 갑옷이란 뜻으로 적과 싸워 이길 만한 만반의 준비를 이르는 말을 견성이갑(堅城利甲), 견고한 갑옷과 날카로운 병기란 뜻으로 강한 군대를 이르는 말을 견갑이병(堅甲利兵), 창을 베고 갑옷을 입고 잠을 잔다는 뜻으로 항상 전투태세를 갖추고 있는 군인의 자세를 비유하는 말을 침과침갑(枕戈寢甲), 남의 시문을 표절하여 쓰는 사람을 일컫는 말을 슬갑도적(膝甲盜賊), 갑에게 당한 노염을 을에게 옮긴다는 뜻으로 어떤 사람에게서 당한 노염을 전혀 관계없는 딴사람에게 화풀이함을 이르는 말을 노갑이을(怒甲移乙) 등에 쓰인다.
▶️ 男(사내 남)은 ❶회의문자로 侽(남)의 본자(本字)이다. 田(전; 논밭)과 力(력; 농기구)의 합자(合字)이다. 논이나 밭을 가는 사람, 남자를 이르는 말이다. ❷회의문자로 男자는 '남자'나 '아들'이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男자는 田(밭 전)자와 力(힘 력)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力자는 밭을 가는 쟁기를 그린 것으로 '힘'이나 '힘쓰다'라는 뜻을 갖고 있다. 이렇게 '쟁기'를 그린 力자에 田자가 결합한 男자는 밭과 쟁기를 함께 그린 것이다. 노동력에 전적으로 의존해야 했던 고대의 농사일은 모두 남성의 몫이었다. 男자는 그러한 인식이 반영된 글자로 힘을 들여 농사를 짓던 사람인 '남자'를 뜻하고 있다. 그래서 男(남)은 (1)어떤 명사(名詞)의 앞에 쓰이어 사내 남자(男子)라는 뜻을 나타내는 말 (2)어떤 명사(名詞) 뒤에 쓰이어 사내 남자(男子)라는 뜻을 나타내는 말 (3)남작(男爵) 등의 뜻으로 ①사내 ②아들 ③남자(男子) ④남작(男爵: 작위의 이름) ⑤남복(男服)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사내 랑(郞), 반대 뜻을 가진 한자는 여자 녀(女), 아가씨 유(妞), 예쁜 여자 년(姩), 예쁠 왜(娃), 여자 랑(娘), 예쁜 여자 오(娪), 여자 원(媛), 아리따울 교(嬌), 여자 애(嬡), 아가씨 양(孃)이다. 용례로는 아내의 배우자로 혼인하여 사는 남자를 그 아내를 기준으로 일컫는 말을 남편(男便), 남성으로 태어난 사람 또는 한 여자의 남편이나 애인을 이르는 말을 남자(男子), 오라비와 누이를 남매(男妹), 아기를 직접 낳을 수 없는 성性에 속하는 사람을 남성(男性), 사내 아이를 일컫는 말을 남아(男兒), 남자의 성기를 남근(男根), 음경을 일상적으로 이르는 말을 남경(男莖), 사내 끼리 성교하듯이 하는 짓을 남색(男色), 열다섯 살이 넘은 사내로 젊은 남자를 남정(男丁), 아버지 쪽의 핏줄 계통을 남계(男系), 여자가 남자처럼 차림을 남장(男裝), 사내 얼굴과 같이 생긴 여자의 얼굴을 남상(男相), 맏아들을 일컫는 말을 장남(長男), 둘째 아들을 일컫는 말을 차남(次男), 사내 아이를 일컫는 말을 동남(童男), 아내의 남자 형제를 처남(妻男), 아름답게 생긴 남자를 미남(美男), 나이가 젊고 기운이 좋은 남자를 정남(丁男), 보기 흉한 남자나 못생긴 남자를 추남(醜男), 아들을 낳음을 득남(得男), 남자와 여자와 늙은이와 젊은이 곧 모든 사람을 일컫는 말을 남녀노소(男女老少), 남자와 여자와는 분별이 있다는 말을 남녀유별(男女有別), 남자는 짐을 등에 지고 여자는 짐을 머리에 인다는 뜻으로 가난한 사람이나 재난을 당한 사람들이 살 곳을 찾아 이리저리 떠돌아 다니는 것을 이르는 말을 남부여대(男負女戴), 음양설에 왼쪽이 양이고 오른쪽은 음이라 하여 남자는 왼쪽이 중하고 여자는 오른쪽이 중하다는 말을 남좌여우(男左女右), 남자는 높고 귀하게 여기고 여자는 낮고 천하게 여긴다는 뜻으로 사회적 지위나 권리에 있어 남자를 여자보다 존중한다는 말을 남존여비(男尊女卑), 남자의 얼굴이 썩 뛰어나게 잘 생김 또는 그러한 사람을 이르는 말을 남중일색(男中一色), 남자가 앞에 나서서 서두르고 여자는 따라만 한다는 말을 남창여수(男唱女隨), 남녀가 좋아한다는 뜻으로 부부가 화락함을 이르는 말을 남흔여열(男欣女悅), 갑이라는 남자와 을이라는 여자라는 뜻으로 신분이나 이름이 알려지지 아니한 그저 평범한 사람들을 이르는 말을 갑남을녀(甲男乙女), 예전부터 우리나라에서 남쪽 지방은 남자가 잘나고 북쪽 지방은 여자가 곱다는 뜻으로 일러 내려오는 말을 남남북녀(南男北女), 아들을 많이 두면 여러 가지로 두려움과 근심 걱정이 많다는 말을 다남다구(多男多懼), 착한 남자와 착한 여자라는 뜻으로 불교에 귀의한 남녀 또는 신심이 깊은 사람들을 이르는 말을 선남선녀(善男善女) 등에 쓰인다.
▶️ 乙(새 을)은 ❶상형문자로 한가운데가 쥐는 곳이며 양쪽이 굽고 뾰족한 작은 칼의 모양으로, 일설에 이른 봄에 초목의 싹이 트려고 할 때, 추위 때문에 웅크리고 있는 모양이라고 한다. 음(音)을 빌어 천간(天干)의 두 번째로 쓴다. ❷상형문자로 乙자는 '새'나 '굽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乙자의 사전적인 의미는 '새'이지만 구부러진 모습이 마치 새와 같다 하여 붙여진 이름일 뿐 이것이 무엇을 본떠 그린 것인지는 모른다. 乙자가 부수로 쓰인 글자들도 '새'와는 관계가 없기 때문이다. 乙자는 단순히 사물이 구부러진 모습을 표현하기 위해 만든 것으로 특별한 의미를 전달하지는 않는다. 다만 단독으로 쓰일 때는 십간(十干)의 둘째 천간(天干)이라는 뜻으로 쓰인다. 그래서 乙(을)은 (1)십간 차례(次例)로 차례나 등급을 매길 때 둘째를 나타내는 말. 갑(甲)의 아래, 병(丙)의 위 (2)십간(十干)의 둘째 (3)을방(乙方) (4)성(姓)의 하나, 등의 뜻으로 ①새 ②제비(제빗과의 새) ③둘째 ④둘째 천간(天干) ⑤생선(生鮮)의 창자(큰창자와 작은창자를 통틀어 이르는 말) ⑥을골(범의 뼈) ⑦아무 ⑧굽다 ⑨표하다(表--) 따위의 뜻이 있다. 용례로는 임금이 글을 봄을 을람(乙覽), 범의 가슴 양쪽에 있는 을자형의 뼈를 을골(乙骨), 두 편으로 번갈아 일할 때 나중에 당하는 편을 을번(乙番), 둘이나 그 이상되는 학급 또는 군중의 모임에서 편리상 구별한 반의 둘째를 을반(乙班), 24시의 여덟째 시, 오전 6시 반부터 7시 반까지의 사이 을시(乙時), 하룻밤을 다섯으로 나눈 그 둘째, 밤 9시부터 11시 사이를 을야(乙夜), 육십갑자(六十甲子)의 둘째 을축(乙丑), 열 두번째 을해(乙亥), 스물 둘째 을유(乙酉), 서른 둘째 을미(乙未), 마흔 둘째 을사(乙巳), 쉰 둘째를 을묘(乙卯), 갑이라는 남자와 을이라는 여자라는 뜻으로 신분이나 이름이 알려지지 아니한 그저 평범한 사람들을 이르는 말을 갑남을녀(甲男乙女), 갑이 논하면 을이 논박한다는 뜻으로 서로 논란하고 반박함을 이르는 말을 갑론을박(甲論乙駁), 갑에게 당한 노염을 을에게 옮긴다는 뜻으로 어떤 사람에게서 당한 노염을 전혀 관계없는 딴사람에게 화풀이함을 이르는 말을 노갑이을(怒甲移乙), 하늘에 있는 선녀를 일컫는 말을 태을선녀(太乙仙女), 갑이라는 집과 을이라는 정자라는 뜻으로 이 집 저 집을 이르는 말을 갑가을정(甲家乙亭), 갑자을축이 바른 차례인데 그 차례가 바뀜과 같이 무슨 일이 제대로 안되고 순서가 뒤바뀜을 비유하여 이르는 을축갑자(乙丑甲子) 등에 쓰인다.
▶️ 女(계집 녀/여)는 ❶상형문자로 여자가 손을 앞으로 모으고 무릎을 꿇고 앉아 있는 모양을 본뜬 글자로 계집, 여자를 뜻한다. 보통 연약한 여성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라 생각되고 있다. 그러나 옛날엔 여자나 남자나 모두 人(인)과 같은 모양으로 쓰고 또 女(녀)라는 자형으로 써도 그것은 남녀의 여자를 가리키는 것이 아니고 사람이 신을 섬기는 경건한 모습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❷상형문자로 女자는 '여자'나 '딸', '처녀'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女자는 결혼하지 않은 처녀라는 뜻으로 만들어졌지만, 지금은 포괄적인 의미에서 '여성'이라는 뜻으로 쓰이고 있다. 女자의 갑골문을 보면 무릎을 꿇고 단아하게 손을 모으고 있는 여자가 그려져 있었다. 女자는 단아한 여성의 자태를 그린 것으로 부수로 쓰일 때는 여자와 관계된 의미를 전달한다. 다만 女자가 부수로 쓰일 때는 부정적인 의미를 전달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가부장적이었던 고대 중국 사회에서 남성 중심의 사고방식이 문자형성에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다. 그래서 女(녀/여)는 ①여자 ②딸, 처녀 ③너 ④작고 연약한 것의 비유 ⑤별의 이름 ⑥시집보내다 ⑦짝짓다 짝지어 주다 ⑧섬기다 따위의 뜻이 있다. 반대 뜻을 가진 한자는 사내 남(侽), 아들 자(子), 사내 랑/낭(郎), 어머니 모(母), 사내 남(男), 사내 랑/낭(郒)이다. 용례로는 아기를 직접 낳을 수 있는 성에 속하는 사람을 여성(女性), 결혼한 여자를 높여 이르는 말을 여사(女史), 여성인 사람을 여자(女子), 남에게 자기 딸을 이르는 말을 여식(女息), 호걸스러운 여자를 여걸(女傑), 사위나 딸의 남편을 여서(女壻), 여자 직공을 여공(女工), 여자와의 성적 관계를 여색(女色), 여성으로 태어난 딸 자식을 여아(女兒), 어른이 된 여자를 여인(女人), 여자가 지켜야 할 떳떳하고 옳은 도리를 여덕(女德), 여자로서 마땅히 해야 할 도리를 여도(女道), 여자가 잘 따르는 복을 여복(女福), 아내는 반드시 남편의 뜻을 좇아야 한다는 말을 여필종부(女必從夫), 호협한 기상이 있는 여자를 일컫는 말을 여중호걸(女中豪傑), 여자는 존귀하고 남자는 천하게 여긴다는 뜻으로 사회적 지위나 권리에 있어 여자를 남자보다 존중하는 일을 이르는 말을 여존남비(女尊男卑), 아침 이슬과 같이 덧없는 많은 백성을 일컫는 말을 여로창생(女露蒼生), 여자는 정조를 굳게 지키고 행실을 단정하게 해야 한다는 말을 여모정렬(女慕貞烈), 여자는 무슨 생각에 잠기기를 잘한다는 말을 여자선회(女子善懷), 여자가 먼저 나서서 서두르고 남자는 따라만 한다는 말을 여창남수(女唱男隨), 갑이라는 남자와 을이라는 여자라는 뜻으로 신분이나 이름이 알려지지 아니한 그저 평범한 사람들을 이르는 말을 갑남을녀(甲男乙女), 예전부터 우리나라에서 남쪽 지방은 남자가 잘나고 북쪽 지방은 여자가 곱다는 뜻으로 일러 내려오는 말을 남남북녀(南男北女), 남자는 짐을 등에 지고 여자는 짐을 머리에 인다는 뜻으로 가난한 사람이나 재난을 당한 사람들이 살 곳을 찾아 이리저리 떠돌아 다니는 것을 이르는 말을 남부여대(男負女戴), 남자는 높고 귀하게 여기고 여자는 낮고 천하게 여긴다는 뜻으로 사회적 지위나 권리에 있어 남자를 여자보다 존중하는 일을 일컫는 말을 남존여비(男尊女卑), 마음씨가 고요하고 맑은 여자 또는 마음씨가 얌전하고 자태가 아름다운 여자를 일컫는 말을 요조숙녀(窈窕淑女), 남의 여자를 쫓다 제 아내를 잃는다는 뜻으로 지나친 욕심을 부리다 자신이 지닌 소중한 것을 잃게 되는 경우를 비유하는 말을 추녀실처(追女失妻), 하늘이 낸 열녀란 뜻으로 절개가 굳은 여인을 일컫는 말을 출천열녀(出天烈女) 등에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