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고건축 우보만리 한옥에 대하여…
 
 
 
카페 게시글
자유 게시판 스크랩 [문화재청] 128년 전 궁궐을 환히 밝힌 우리나라 최초의 전기발전소 터, 경복궁에서 확인!
우보만리 추천 0 조회 136 15.05.27 20:34 댓글 0
게시글 본문내용



128년 전 궁궐을 환히 밝힌 

우리나라 최초의 전기발전소 터, 경복궁에서 확인!



<전기등소 터 전경>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에서 지난해부터 시행한 경복궁 흥복전(興福殿) 권역 영훈당(永薰堂) 터 일대에 대한 발굴조사 결과, 우리나라 최초의 전기발전소이자 전기 발상지인 ‘전기등소(電氣燈所)’의 실체가 드러났습니다.

 

  경복궁 흥복전과 향원지(香遠池) 사이에 위치한 영훈당은 내각회의와 경연, 외국 공사 접견 등 왕의 편전(便殿)으로 사용되던 흥복전의 부속 전각입니다. 고종 연간에 건립되었으나, 일제강점기인 1917년 화재로 소실된 창덕궁을 중건하기 위하여 경복궁 내 여러 전각을 헐어낼 때 흥복전 등과 함께 철거되었습니다.
  * 편전(便殿): 임금이 평상시에 거처하는 전각

 


<영훈당 터 출토유물>



<전기 관련 출토유물>



  이번 조사를 통해 그동안 향원지의 북쪽과 건청궁(乾淸宮) 남쪽 사이에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던 전기등소의 위치가 향원지 남쪽과 영훈당의 북쪽 사이인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조사 결과, 이곳에서는 원료인 석탄을 보관하던 탄고(炭庫)와 발전소 터 등 1887년 우리나라 최초로 세워졌던 전기등소 유구가 확인되었습니다. 아울러 아크등(arc lamp)에 사용되었던 탄소봉, 연대(1870년)가 새겨진 유리 절연체 등 전기 관련 유물도 출토되었습니다.

 

  조선 왕실은 미국의 신문물을 시찰하고 온 보빙사(報聘使)의 건의에 따라 1884년 에디슨 전기회사와 전등설비를 위한 계약을 맺고 1886년 11월 미국인 전등기사 매케이(McKay)를 초빙하여 1887년 1월 우리나라 최초의 전기등소를 완공하였습니다. 발전규모는 16촉광(燭光, 1촉광은 양초 1개의 밝기)의 백열등 750개를 점등할 수 있는 설비로 알려져 있습니다.
  * 보빙사(報聘使): 1883년(고종 20) 민영익 등 11명으로 구성되어 최초로 미국에 파견된 사절단


  최초 점등일은 1887년 1~3월경으로 추정되며, 건청궁 내 장안당(長安堂)과 곤녕합(坤寧閤)의 대청과 앞뜰, 향원정 주변의 등을 밝혔습니다. 당시 향원지에서 물을 끌어올려 전기를 생산하여 ‘물불’이라 불렸으며, 불안정한 발전 시스템 탓에 건달꾼처럼 제멋대로 켜졌다 꺼졌다 한다 하여 ‘건달불’이라 불렸다고도 합니다.

 

  한편, 영훈당 터에서는 영훈당 본채와 함께 부속 행각지 등 건물지 6동이 확인되었습니다. 이번에 조사된 영훈당의 칸 수와 용도는 『궁궐지(宮闕誌)』와 『북궐도형(北闕圖形)』의 기록과 일치하며, 본채를 중심으로 동서남북 행각이 서로 잇닿은 ‘일(日)’자형의 평면 형태를 보이고 있습니다. 또한, 내부에서는 각 칸의 용도를 알 수 있는 아궁이와 구들시설 등이, 외부에서는 기단시설, 담장지, 배수(排水)와 배연(排煙)시설 등의 부속시설이 확인되었습니다.
  * 궁궐지(宮闕志): 조선 시대 궁궐의 각 전각의 명칭·위치·발자취 등을 적은 책
  * 북궐도형(北闕圖形): 1907년경 제작된 경복궁의 평면 배치도

 

  이번 발굴조사를 통해 전기등소의 정확한 위치가 규명되었으며 백열전구가 아닌 아크등이 사용된 흔적이 확인됨에 따라, 앞으로 우리나라 전기 발전사의 연구에 있어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번 조사 결과는 문화재청에서 추진 중인 ‘경복궁 복원정비계획’에 따른 경복궁의 원형 복원을 위한 기초자료로도 활용될 예정입니다.

 

  문화재청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문화유산이자 조선 시대의 건축·문화·예술의 정수가 담긴 궁궐의 지속적인 복원 정비를 통해, 궁궐의 정체성과 진정성을 회복하고 모든 국민이 그 가치를 향유할 수 있도록 힘써 나갈 계획입니다. 



 
다음검색
댓글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