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종재집(守宗齋集) 송달수(宋達洙)생년1808년(순조 8)몰년1858년(철종 9)자언도(彦道)호수종재(守宗齋)본관은진(恩津)특기사항송치규(宋穉圭)의 문인. 이세연(李世淵), 윤필현(尹弼鉉), 조병덕(趙秉悳) 등과 교유
守宗齋集卷之八 / 雜著 / 南遊日記
철종 | 8 | 1857 | 정사 | 咸豐 | 7 | 50 | 3월, 慶州 府尹으로 있는 동생 宋近洙를 방문하고, 吉再의 遺跡, 金烏山, 新羅의 古蹟, 仁山書院, 玉山書院 등지를 유람하다. ○ 5월, 형조 참의가 되다. |
丁巳三月二十七日晴。發東京行。以乘轎作行。瓚兒騎馬隨後。吳君萬元 文善,李君士有 宅淳 步從。宗晦祠庫直金有澹亦隨行。盖萬元本欲從我。而爲宗晦祠講堂重修求請事。歷路將見嶺伯面議。故庫直之來以此也。暮到竹峯止宿。
二十八日晴。發行渡陽江。登嗅仙樓。到馬谷省姊氏墓。止宿金甥永順家。
二十九日晴。發行歷路。蹔入花巖祠。祠是奉安張節度朴萬戶。而文正先祖撰奉安文。近年張朴兩家各有追享諸位。余方帶院長之任。院任來待。畧設酒饌。
四月初一日晴。發行午到寒泉。暫憩講堂謁廟。入草堂坐定後。李友聚五 鎭奎 來見。夕時齋任入來。朴門若而人來見。午後風勢大作。止宿。夕後季弟自慶州還。道聞吾入院。自永同追到。聞衙中安信。
初二日晴。令萬元入廟宇。拂拭床卓。凈掃廟內。盖塵埃滿床。蛛網繞龕。而齋任不忠所以凈拭。近來學宮諸儒擧皆如此。殊極慨咄。見齋任責之。省傍先墓。到山羊壁下水邊盤石。想像遺躅。不忍便訣。仍與會儒。終日相羊。又止宿。
初三日晴。發行訪新安李聚五,梧谷朴生錫胤。永祚 宿金井店。仁同張雅希發與鳳陽齋任成雅錫彙來待。
初四日晴。將入春川書院。歷訪芳草亭李雅寅弼。知禮守韓鵬履遣探吏。其意將欲來見也。答以非久卽發。不必來訪。盖吾之今行。不欲貽弊列邑。且此是異趣人。則未詳其先世來歷。不宜輕接也。暮到春川。李門諸人多隨來。日暮不得謁廟。
初五日晴。朝起謁廟。則影本全失眞形。以此奉安而謂之尊慕先生。是豈道理也哉。到今觀之。則當初廣奉影幀。可謂無慮後之心也。自今以後。决不可更許立祠而奉影也。從速移摹之意。申言於院儒。未知竟如何也。暫憩洗心臺。水心頗奇。盖自芳草亭入此洞三十里。而自洞口行十餘里。轉覺幽深。兩山間有溪。溯流而上。到洗心臺。有巨石臨溪而盤。長松十餘株。繞臺蒼然挺立。水中有石作層。又有巨石中流而立。溪流瀉石。噴而成珠。石光頗白。稍下成潭。舊有洗心臺三字刻於石面。雲坪所寫也。砥柱與深潭四字。院儒年前來請於余而刻之者也。山深谷邃。世人罕見。正如高人逸士隱於林泉而無人識得也。午自芳草亭還宿金井。鳳溪曹雅胤永以酒饌書問。又於中路迎見。
初六日晴。發行到金烏山下。仁同張雅與成雅。先往山上。指揮鎭民送藍輿。馬與轎軍。盡送龜尾市邊。使之明日來待於采薇亭。乃上山。星州居寒岡後孫鄭君晩永及金君岐鎭。與其大人泳奎。自松坊迎見而隨行。芳草亭李雅志謙及孔君錫基。爲餞吾行而來。余則肩輿而諸人步從。危險處。余亦下輿而行。行十許里。由山城西門而入。未知築城昉於何時。而城堞與門樓崩毁。倉庫亦至朽漏而不加修治。城內民戶。不滿二十。何足爲緩急之備。國家關防重地。率多如此。可勝歎哉。山上有九井七澤。而井則多湮廢。澤則或有大旱不渴者云。上候望臺。眼界頗遠。而以風靄不得遠視。自臺而東。巖石間有藥師菴。屋凡三間。而上一間。有石入於房內。上安石佛。於此亦可見禪敎之詭異也。還下鎭民村留宿。別將鏡城人張在翰來見。
初七日陰風。由北門而下。其險倍於西門。行十餘里。到大惠倉。左邊山麓有石窟。世傳吉冶隱隱於此。然石壁削立。無着足處。未知當時何以攀緣也。又行數里。有采薇亭。亭傍立冶隱遺墟碑。盖冶隱麗亡後隱於金烏山。此其地也。有肅廟御製詩。所以詠冶隱者也。別搆一閣於亭後而奉安。䕺竹長松。繞亭蒼翠。物與人。可以同其高節也。東南行二十餘里。到烏山書院。冶隱獨享而朝家賜額。瞻拜訖。行廟宇右邊數十武。山麓有碑。長可二丈。前刻砥柱中流四大字。閩中楊晴川所書而摹刻者也。筆力遒勁可觀。後刻陰記。柳西崖所撰。此乃世所稱砥柱中流碑也。廟前相望地。有冶隱墓。越岡有張旅軒墓。文正先祖亦嘗到此。顧瞻興感。不但爲先贒遺風也。仁同宰元世𤋺先爲來候。待以酒饌而請見。卽爲迎接。又有若干會儒。而申生員周應。嘗出入於剛齋門下。年近八十。入院迎見。喜慰良深。旅軒後孫一人請見。而辭不見。暮到鳳陽祠。祠享孔鵂菴紹,張岐村龍翰,安齋瑠。岐村乃栗谷門人。而安齋出入於尤翁門下矣。余方帶院長之任。而頗有會儒。張雅伯父善能年老。有醇眞長厚之風。仁同宰遣吏。將供朝夕。余旣入院。院中所待。亦不可全闕。故夕食院儒所設。朝食邑宰所饋。
初八日朝。乍雨旋晴。拜廟後發行。渡石田下流。到津頭芳草亭。李孔二雅別還。到達城。同諸人登覽徐氏舊基。平岡突起野中。四面周圍如城。樹木參天。不得眺望。然盖是天作名基也。入營邸滯雨。
.......................
화천집(華泉集) 이채(李采)생년1745년(영조 21)몰년1820년(순조 20)자계량(季亮)호화천(華泉)본관우봉(牛峯)시호문경(文敬)특기사항유한준(兪漢雋), 오희상(吳熙常), 홍직필(洪直弼) 등과 교유
華泉集卷之十四 / 墓誌 / 進士張公墓誌銘 *張瑠
采先祖忠憲公按嶺節。旣又知仁同府。南方士友。自是多從遊者。張氏於仁爲望族。有諱瑠字留玉。年方少。已能酬唱官梅。出而遊尤菴宋文正之門。與權文純諸公相講磨。器宇宏偉。文詞贍蔚。士林間文字。多出其手。文純許以波濤之筆。然晩中司馬。廢擧不第。及忠憲兩世秉銓。屢注擬寢郞。終亦不得。雖其不得者命耳。而見重於先輩長者者如此。以英廟甲辰三月二日卒。去其生己丑七十六。葬某村某向之原。配全州柳氏祔。公天性孝。親癠嘗糞。及喪廬墓致毁。嫉惡崇德。不憚身先。爲栗谷,牛溪,尤菴三先生辨誣者再。請沙溪金文元公從祀聖廡者五。疏皆自製。而義理條暢。老而喜學。尤用工於禮書。其所著有四禮集說,四禮策題,議禮集說,喪禮要覽藏于家。又嘗自號安齋。記其齋曰。口不厭糟糠。身將老寂寞。若是者皆吾命也。吾自安之。吾故名吾齋。觀于此。公之所存可知已。上祖諱金用神虎衛上將軍。諱安世德寧府尹。我太祖有潛邸之舊。屢徵不起。其子仲陽左尹。孫脩遺逸掌令。歷數世。諱潛進士號竹亭。是生諱崑參議。寔公高祖。曾祖諱龍翰號岐村。竹亭,岐村學靜菴,栗谷之門。以鄕先生祭社云。祖諱乃亮。考諱喜達。隱德不仕。妣延安李氏。校尉錫祚女。延安君淑琦之後。男大顯。女郭始振。大顯二男。長緯天僉知中樞。次紀天。二女適康聖錫,宋相輔。緯天繼子兌赫。二女朴重光,宋淹。曰兌益,兌恒。其庶出。紀天三男。兌赫卽後伯父者。兌熽,兌煜。思欽康婿出。希元宋婿出。朴重光男思文,思烈。宋淹男國明。日鶴籌。曰鴻籌。曰龜籌。兌赫兌熽兌煜出。餘並幼。采偶官于南。距仁密邇。一日僉樞使兌熽以書幣來。並付遺集若家狀。請以弁卷之文,誌幽之銘。曰使吾祖不朽。是在君一言。况先先生陶菴文正公諾而未就者。願君之終惠之也。采固不敢當。而亦何敢辭。遂爲之銘。銘曰。
筆下波濤。遂翁所推。有才無命。其將尤誰。吾名吾齋。曰吾安之。以公銘公。尙徵在玆。
........................
한수재집(寒水齋集) 권상하(權尙夏)생년1641년(인조 19)몰년1721년(경종 1)자치도(致道)호수암(遂庵), 한수재(寒水齋), 황강거사(黃江居士)본관안동(安東)시호문순(文純)특기사항송시열(宋時烈)의 적전제자(適傳弟子). 정호(鄭澔), 이여(李畬), 박광일(朴光一) 등과 교유
寒水齋先生文集卷之十九 / 書 / 答臨江院儒張留玉 瑠○癸巳
숙종 | 39 | 1713 | 계사 | 康熙 | 52 | 73 | 史官과 掖庭이 와서 宣諭하고 宣醞하다. ○ 8월, 대사헌에 제수되었으나 상소하여 사직하다. ○ 11월, 〈家禮源流序〉를 지어 尹拯의 背師를 비난하다. |
五先生奉安時。以世代年次奉安如何。
似當如示。
廟宇旣成之後。卽欲奉安。而白地草刱之中。物力板蕩。講堂齋舍俱未構成。奉安前一日題位版。權奉於廟神門上階廡下。竢黎明入安正位如何。
講堂未成則設遮日屛帳於庭。題位版。似得宜。如何。
香盒一香爐一。堂中設牀。而酌獻時移置各位前焚香耶。抑仍置故處一番焚香耶。燭臺一雙。分置五位東西如何。
曾見大學五聖位。各設爐盒。燭臺亦逐位各設矣。
此中士論。或以重峯趙先生亦當幷享。或以爲五先生道統書院。不宜更容他議。二說何如。議者又以爲退溪先生幷享則尤好矣。此說最長。而第彼中以疊設方謀沮遏。恐或因此起鬧。終至僨事之境。未知如何。
事體重大。何敢以臆見可否哉。若奉退溪先生則靜菴先生亦當幷享。蓋石潭竹林兩院故事如此。嶺外之論。聞以疊設爲難云。南中列邑如奉退溪先生處果多。雖不幷享於此院。不患瞻仰之無所。此則唯在多士之商量也。重峯先生杖屨遺躅。不在貴鄕則雖不幷享。未爲欠典耶。亦須更商。
.......................
일성록 > 정조 > 정조 14년 경술 > 2월 14일 > 최종정보
정조 14년 경술(1790) 2월 14일(을축)
14-02-14[13] 각 해사(該司)에 상언(上言) 270도(度)를 판하(判下)하였다.
선산(善山)의 유학 이극상(李克相)은 고 진사(進士) 장류(張瑠)의 효행을 정포해 달라는 일이다.
또 아뢰기를,
“선산(善山)의 유학 이극상(李克相)의 상언에, ‘인동(仁同)의 고 진사(進士) 장류(張瑠)의 효행에 대해 정포해 주소서.’ 하였고, 정읍(井邑)의 유학 박사수(朴師洙)의 상언에, ‘본현(本縣)의 고 진사 유성(柳惺)의 효행에 대해 정려해 주소서.’ 하였고, 경기의 유학 유시정(柳時禎) 등의 상언에, ‘적성(積城)의 고 사인 최상요(崔相堯)의 효행에 대해 정려해 주소서.’ 하였고, 공주(公州)의 유학 유경주(兪景柱)의 상언에, ‘동읍의 고 학사(學士) 신유천(愼惟天)의 효행에 대해 정포해 주소서.’ 하였고, 영광(靈光)의 생원 기태원(奇泰源)의 상언에, ‘동군의 고 사인 이필원(李馝遠)의 효행에 대해 정문을 세워 주소서.’ 하였고, 공주의 유학 박필대(朴必大) 등의 상언에, ‘동읍의 고 사인 민언수(閔彦洙) 부처의 효행에 대해 포상(褒尙)의 은전을 입게 해 주소서.’ 하였고, 원주의 유학 이희익(李熙益) 등의 상언에, ‘동읍의 고 사인 간만주(簡萬胄)의 효행에 대해 정포해 주소서.’ 하였습니다. 장류 등은 본도(本道)에서 올린 사계(査啓)에 올랐으나 은전을 입지 못하였습니다. 조정에서 처분한 뒤에 새로 반포한 금령을 무시하고 선비들이 번갈아 가며 호소하니 매우 외람된 일입니다. 들어주지 않는 것이 어떻겠습니까?”
하여, 그대로 따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