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재(人材), 인물(人物)'
1. 일수백확/一樹百穫
나무 한그루를 심으면,
훗날 백가지 이익을 본다는 뜻으로,
인재를 길러내면 사회, 국가, 인류에
막대한 이익이 된다는 말
2. 동량/棟梁
마룻대와 들보.
나랏일을 맡겨도 될만한
큰 인재의 비유
= 동량지기/棟梁之器
3. 간성/干城
방패(防牌)와 성(城).
나라를 지키는 믿음직한 군대나 인물
= 구국간성/救國干城
4. 복룡봉추/伏龍鳳雛
엎드려 있는 용과 봉황의 새끼.
아직 드러나지 않고 초야(草野)에
묻혀있는 큰 인재를 비유하는 말
= 와룡봉추/臥龍鳳雛
= 용구봉추/龍駒鳳雛
5. 삼고초려/三顧草廬
세번 초막을 방문함.
군주가 인재를 영입하기 위하여
몸을 낮추고, 친히 찾아 나선다는 말.
즉 유비가 제갈량을 군사(軍師)로
초빙(招聘)하기 위하여
친히 세번을 찾아감
= 초려삼고/草廬三顧
6. 토포악발/吐哺握髮
내객(來客)이 있으면,
밥을 먹다가도 토하고,
머리를 감다가도 한손으로
머리를 움켜쥐고 손님을 맞이함.
즉 자기의 부주의로 인해
훌륭한 인물을 잃을까 염려(念慮)하는
위정자의 각별(恪別)한 마음자세.
= 토포착발/吐哺捉髮
= 악발토포/握髮吐哺
7. 낭중지추/囊中之錐
주머니속의 송곳.
송곳은 그 끝이 뾰족하여
뚫고 나오는 것과 마찬가지로,
포부(抱負)와 역량(力量)이 있는 인물은
저절로 눈에 띈다는 말
= 추처낭중/錐處囊中
= 영탈이출/穎脫而出
* 모수자천/毛遂自薦(참고)
8. 사기포서/使驥捕鼠
천리마로 하여금 쥐를 잡게 시킨다는 뜻.
즉 아무리 유능한 인물이라도
자기의 능력을 알아주는 선배나
군주를 만나지 못하면 무능해 진다는 말
= 기복염거/驥服鹽車
= 백락일고/伯樂一顧
9. 우도할계/牛刀割鷄
소잡는 칼을 닭잡는데 씀.
즉 장차(將次) 큰 인물을 몰라보고
하찮은 일을 맡긴다는 말
= 할계언용우도
割鷄焉用牛刀
= 우정팽계/牛鼎烹鷄
소 삶는 솥에 닭을 삶음
(가져온 글)
https://m.cafe.daum.net/spdprpvuswlfmf/IXD/4880?svc=cafeapp클릭
첫댓글
공부하고 갑니다 .
감사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