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a. 'mountain'
高句麗: 盒馬(합마); 蓋馬(개마)*ɣapma. ‘high mountains 大山(대산)’.
山やま yama. 'mountain'.(*주3)
山原やんばる yam+baru. (琉球地名).
大和 やまと yama-to(터). A227
耶馬台やまたい yama-tai. (日本의 古代國家名)A227
b. *고대 (잠꼬대) *kot- (*ca-m-s-kot-a-i). 'talking in sleep'.
寝言ねごと ne-got-o. 'id.'.
言葉・詞ことば kot-o-ba. 'language, word; written words'.
cf. 것 kəs. 'a thing, object'. 事 こと kot-o. 'thing, fact, situation'.
言こと(ば) kot-o(-ba). 'word'. A195.
cf. 가라사대 <샤 kar-ʌs-iatʌi. 'say'. 語る kat-ar-u. 'tell'.
c. 말 mar 'word, language'.
葉 は ha, -ba. ex. 言葉 koto-ba, 言の葉 koto no ha.
* 주 3 - 여기서 볼 수 있고, 또 제3장 2절과 3절에서 자세히 설명될 것이지만, 가장
오래된 일본어 단어들은 고구려에서 직접 기원한 것이므로, 현대 한국어 단어들보다 고구려어 단어들에 더 가깝다.
우리의 첫 저작물(*주4)에는 약 1,500개의 친족어 어근이 포함돼 있다.
이 논문을 쓰던 당시에 우리가 모아놓은 컴퓨터 데이터베이스에는 약 3,000개이상의 단어들이 있었으며,
컴퓨터화되지않은 것들을 포함하면 다양한 경로를 통해 모아놓은 친족어 어근의 전체 숫자는 거의 1만개에 달했다.(*주5)
* 주 4 - 『아나타는 한국인』, 시미즈 기요시/박명미, 정신세계사, 2004년. A195 는 이책 195 페이지를 뜻한다.
* 주 5 - 박명미, 박청수. 2008년 3월 출간예정.
이것은 일본의 언어와 사람이 모두 한국에서 왔다는 것을 증명하기에 충분한 것이다.
그러나 이 명백한 사실은 일본에서도, 또 세계에서도 대체적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으며, 심지어 일본인들은
그런 생각조차 거부하고 있는게 현실이다. 자신들이 어디에서 왔으며, 자신들의 언어의 기원이 어떤 것인지에 대해
알려고 하지 않는 현실은 일본과 같이 과학적으로 발달된 나라에서도 여전히 존재하는 어두운 그림자인 것이다.
나는 언어학적인 수단을 가진 한사람의 학문적 병사로써 이런 어두운 그림자를 제거하고 한줄기 빛을 비추는 것이
나의 임무라고 생각하고 있다. 먼저 나의 말을 확신시켜주는 다음의 실례들을 봐주기 바란다.
3장 §1절에 자세히 언급되고 있는 “반도 한국어(한국어)”와 “열도 한국어(일본어)”에 주목해보자.
Ex.2. 侍 さむらい samurai (knight, Knecht) (古語辞典p.543, 547)
半島: 섬기다 səm-ki-ta 'to serve'
列島: 動詞 「侍ふ」: 'to serve'
さもらふ sam-or-ah-u (上代)
さぶらふ sab-ur-ah-u (中古)
さふらふ sah-ur-ah-u (中世)
名詞 「侍」: 'a warrior'
さむらひ sam-ur-ah-i (上代)
さぶらひ sab-ur-ah-i (中古)
さむらい sam-ur-a-i (中世、現代)
--------------------------------------------------------
Ex.3. 騎士きし kisi 'rider, equestrian, knight' (Whitman 1985,226)
고대 일본어(OJ) kisi 는 특히 한국(백제와 신라)의 외교관과 군장교, 그리고 한국계의 수장, 혹은 ‘씨족장 칭호’를 뜻한다. 이 칭호는 신라시대 관등의 14번째 명칭에서 유래한 것으로 ‘관청, 관직’을 뜻하는 고대 일본어 kisi, 중세 한국어(MK) kwusil 에서 유래하였다. 그래서 고대 일본어 용어는 분명 고대 한국어(OK, 신라어)에서 차용해 온 것이다. 신라 관등제도의 명칭을 한자로 표기한 것은 중국어를 차용한 것이라기 보다는 토착적인 고대 한국어 용어들을 필사한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삼국유사(38장)에서는 14번째 관등 명칭이 중세 한국어 kilso 에 덧붙여 중세 한국어 kyeyci 와 kilcho 의 필사를 받아 들이고 있다.
OJ kisi, MK kwusil
MK kilso
MK kyeyci
MK kilcho
----------------------------------------------------
Ex.4. 侍の精神「恥」'disgrace': pA *pāl²ča 'to be humble, ashamed'
부끄럽다<븟그리다 pɯs-k- 'ashamed' A135 <高句麗語
恥ずかしい haz-uk-asi-i 'disgraceful' <高句麗語
--------------------------------------------------------
Ex.5. OJサシsas-i, 城き ki, 城しろ sir-o, 砦とりで toride, 館・建ち tati.
1. OJサシ sas-i <*cas-i 城(神巧紀五年・他). 'a castle'. <高句麗語
a.자리car-. 'seat, scene, site'. A207<新羅語<古朝鮮語 b.잣 cas-(성) 城 (訓蒙字會中八). 'a castle'. <高句麗語
c.자시라 cas-ira 城 (月印釈譜第一六). 'a castle'. <高句麗語
PAL *cac-ir-. 'a large tent, open tent; castle'
--------------------------------------------------------
2. 城き ki (上代語) 'a fortress'. 기 ki. 'castle'. 古朝鮮語, 古句麗語, 百濟語.
PAL *k²ʏr-. 'fence, yard, castle'.
Ex. 水城・水木 mizuki (水を巡らした砦)高城・高木 takaki, takagi 高い所に 構えた砦),稲城・稲木 inaki(稲束で囲った砦); 岩城・磐城・石城・岩木 iwaki, 天城・天木 amagi,植木ueki (<上城?), 笠木 kasagi, 赤城 akagi; 城崎 ki no saki,(臼木・臼杵・薄木 usuki, 五木・伊月 ituki, 三木・三樹・三ツ木mituki, mitu gi;miki, 一木・市来 itiki, 二木 hutaki, hutagi,八木・矢木 yagi).
--------------------------------------------------------
3. 다스리다 ta+sɯr-i-ta 'to rule, govern; manage, direct'
城しろ sir-o 'fortress, castle'
領・治る sir-u, sir-os-u 'to rule, govern'
知らす sir-as-u 'to rule, govern (respectful form)'
-------------------------
PAL *zal- 'to rule, govern' (Sidorov p. 82)
v. pA *sāŕi 'to know, beware, feel' (StaDB297)
Mon залах zal-ax 'to rule, govern; manage, direct'
Yak салай sal-ay 'to rule, govern; manage, direct'
--------------------------------------------------------
4. 砦・寨とりで: 本城のほかに要所に設けた小さい城。要塞。 'a fortress'.
tor-i-de. <取る tor-u. 'to take'.털다 thor-ta. 'to rob (a person) of 徴税'.
-て -te, -de. 'place'. 데<듸< də-i<dɯ-i<dʌ-i. 處 'a place'. A267
--------------------------------------------------------
5. 館・建ち: 規模の小さい城。とりで。 'a fortress'.
tat-i<建つ tat-u, たて tat-e<建てる tat-er-u. 'to build'. 짓다 jis-. A217
--------------------------------------------------------
Ex.6. 君 きみ kim-i. 'ruler, master, lord'. Cf. 君が代 kim-i ga yo.
(임)금 (im)-kɯm. 'a king'.
--------------------------------------------------------
Ex.7. 都・京都 みやこ miya-ko, 서울 sə'ur. ソウル Seoul.
1. 屋,家 や ya. 'a house 집; a roof 지붕'. 이엉 ʼi ʼə-ŋ. 'thatch'.A190,
2. 宮・御屋 みや mi-ya. 'the imperial palace; a shrine'.
御み mi-. (接頭) 'for a polite or respectful expression'.
밑 mith-. ex. 밑마음 mith-maɯm. 御心みこころmi-kokoro. A275
3. 宮様 みやさま miya-sama. 'the imperial family'.
4. 都・京都 みやこ miya-ko (処こ). 'a metropolis'.
곳 <곧 kos < kot 'place'. cf.가<갓 ga<gas, 기슭 gisɯrg
ㄱ. 所(to 터tə) +kor-o.
ㄴ. 処 こ -ko. (何)処(do+)ko'(which) place' (어디) 266
ㄷ. (OJ)座くら kur-a.'place to sit; place to put things on'.
位くらい,くらうぃ kur-a-wi. 'a position'.
ㄹ. -く -ku. 近く tika-ku (가까운 곳) A266
---------------
5. 서울 sə'ur. ソウル Seoul.
PAL *sapu- 'Seoul' (Ozawa p. 114/37)
Mo. saγu-ri <*saβu- <*sapu-
(mo.) (秘)撒兀舌鄰 sa'u-ri(n) 'seat, place, throne'
Khal. суурь soo-ry
Pen 徐伐(新羅乃王都) siopo-r 金-部落 'a rich village'
OJ ソホリ曾褒里 söfo-ri (紀・神代下・第九段)
--------------------------------------------------------
Ex.8. 武器, 騎馬民族説, 馬具
太刀・大刀たち tati. cf. 助太刀suke-dati.
断・絶・裁つ tat-u. 'cut off'. 자르다 jar-. 'to cut'. A156.
----------------
1. 上代、刀や剣の総称。反りのない突くための武器。
2. 平安時代以降、儀礼用・戦闘用の反りのある大きい刀。
関連語:上代の刀剣はすべて諸刃だったが、やがて物を断切るための片刃のもの
となった。平安時代の辞書「和名類聚抄」(わみょうるいじゅうしょう)
によると両刃のものを「つるぎ」片刃のものを「たち」として区別している。
「かたな」は片刃で短い刃のもの。(古語辞典p.727)
------------------
剣つるぎ tur-u-gi. <新羅語(上代は「つるき tur-u-ki <大陸語」とも )'a sward'. 刀剣類の総称。多くは諸刃(もろは)のものをいう。양 쪽 날의 칼. p.807. 줄기 cur-ki. <朝鮮語 'a trunk, a stem, a stalk'. v.줄.
刀かたな kat-a-na. <大陸語 'a sword(검)'. A183
칼-날<갌 khar-nar. 'a blade (edge) of a knife'. <新羅語.
鉞まさかり(masa-)kar-i. 'a broadaxe'. 칼<갈khar<kar. 'a knife' <新羅語.
枷かせkas-e. <高句麗語 'a shackle'.
칼<갈 khar <朝鮮語 <kar 新羅語<古朝鮮語. (목에 차는 칼). A183
長刀なぎなた nag-i +nat-a.
薙ぐ nag-u. 'to mow down'. 낚다<낛다 nak-s-. 'to angle'. A178.
鉈 なた nat-a. 'a hatchet'. 낫<낟 nas<nat. 'a sickle'. A182
鎖鎌くさりがま kus-a-ri-gam-a.
鎖 くさり kus-a-ri. 'a chain'. <高句麗語.
古. 釧くしろ,くじり kus-i-ro, kuz-i-ri. 'an ornamental ring'.
고리 kor-i. 'a ring, a link'. A151 <新羅語<古朝鮮語.
鎌 かま kam-a. 'a sickle 깎-낫'. (낫)겸(鎌) nas-kiəm. A181
?槍やり yar-i. 'a spear'. 矢や ya. 'arrow' p.1200.
1. 풀다(사람을~) pur-. 遣る yar-u. 'to send'
2. 얼다 ʼər-. やる yar-u. 'to copulate'
cf. 바늘<바 pan-ɯr < par-ʌr. 'needle‘.
1. 針 はり har-i. 'needle.'. A15
2. 槍やり yar-i. 'spear'. (첫자음 탈락)
3. 矢や ya. 'arrow'. (첫자음 탈락)
?弓ゆみ yum-i. 'bow, archery'. (첫자음 탈락) 궁 [弓] kuŋ. p.1235.
--------------------------------------------------------
Ex.9. 騎馬民族説, 馬具
馬うま u-ma. 'a horse'. 말<리 mʌr-i <蒙.морь. mɔr-i. A243
馬ま ma. ば ba. 'a horse'. 마(馬말마) ma (漢<*mag) A243
鬣たてがみ tat-e-gami. 'mane'. <新羅語. 털 thɔr. 'hair'. <朝鮮語.
伊達だて dat-e. 'dandyism'. <大陸韓語. PAl *dyʌl-. 'mane, hair'.
鞍くら kur-a. 'a saddle'. 길-마 kir-ma(馬). 'a pack-saddle'.
鐙あぶみ a-bum-i (<'asi+bum-i?). 'stirrups'.
밟다<다 pʌr-p-. 'step; follow'.
v. 踏む hu-m-u, 足踏み 'asi+bum-i.
轡くつわ kut-u-wa. (wa는 바퀴) 'a bridle'. <大陸語.
굴레 kur-rɔi. v.골 口 'mouth'. A204 <新羅語.
籏 はた hat-a. 'a flag'. <大陸語. (깃~)-par. <新羅語. A188
--------------------------------------------------------
Ex.10. PAL *γutu- 'shoes' (Ozawa p.89, 146; MiUAJ1986,55)
pA *gutu-l 'boots'
Mo.(mo.) γutu-l, γutu-su(n) < *γutu-lsun 'shoes'
Khal гутал ~гутас guta-l, guta-s 'shoes'
pTg *gutulkai 'boots'
Ma. gulχa 'Stiefel'
MK(大野晋:中期 朝鮮語) kuit 'shoes'
(岩波本,古典文学大系)万葉集三 p.420 頭註
OJ クツ久都 <新羅語 kutu 沓、履、靴 (万399他) 'shoes'
Pen 구두 kutu 'shoes'
下駄げた <大陸韓語 get-a <*guat-a<*gut-a. 'wooden clogs'
Cf. pIE *guot-
--------------------------------------------------------
Ex.11. 반도 한어의 한자음
갑옷(甲-) kap-os 兜 かぶと kab-ut-o(투구) A151
軍事 군사 kunsa いくさ i-kusa: cf. ぐんじ gunji.
武夫무부 mu-pu 武士 もののふ mo(no-no)-hu.
武士무사 mu-sa 武者 むしゃ mu-sia cf. 武者小路実篤
武士의 野 <무삿 논 musa-s-non 武蔵野むさしの musa-si-no.
전(殿) cən. 'a palace'. 殿どの -don-o 'room'. A207
湯殿 ゆどの yu-don-o 'bath room'.
전하(殿下) cənha. '(my)lord'. 殿との ton-o. 'id.' A207 殿方 とのがた tono-gata. 'gentlemen'.
--------------------------------------------------------
2 장. 사키모리 노 우타(만엽집)에 관한 단어들의 어원
----------------------------------------------------------
防人さきもり sak-i +mor-i. (崎守)上代から平安時代にかけて、壱岐・対馬・九
州北岸の防備についた兵士。諸国の軍団の正丁(21才以上60才以下の成年男
子)の内から選ばれ、3年間勤務した。天平2(730)年以後、東国兵士がもっぱ
ら派遣された。防人本人や家族の作った歌は「防人の歌」といわれ「万葉集」
巻二十などに百首ほど納めれれている。
武具や集合地の難波津(今の大阪の港)までの旅費は自己負担だった。防人の
歌には、離別の悲しみ、生活の苦しさ、負担の重さなどが詠まれ、東国庶民の
生活感情がうかがえるとともに、上代東国方言の資料としても貴重である。
「防人に 行くは誰が背と問ふ人を 見るが羨しさ 物思ひもせず」
(古語辞典p.518).
--------------------------------------------------------
Ex.12. 先・前・崎さき saki. 'edge, tip, point'. 싹 ssak 'bud, sprout'.
1. pA *sak`a 'edge (of a pole)' (StaDB289)
pTk sakanak 'ends of sticks in tent framework'
Kirg saqanaq 'ends of sticks in tent framework'
Kaz. saɣanaq 'ends of sticks in tent framework'
pTg *saku- 'a prop (for a kettle)'
Lit.Ma. saqura 'a prop (for a kettle)'
Pen 싹 ssak 'bud, sprout'.
OJ sákyí 'edge'
Ins 先・前・崎さき saki 'tip, point, cape, promontory'
咲く sak-u (꽃이 피다)
桜さくら sak-u-ra. 'cherry tree'
-----------------------
2. 살구sarg-u. 満州杏子. 'peach'. 桜さくらsak-u-ra.'cherry tree, cherry blossoms'(StDB324). --------------------------------------------------------
Ex.13. 몰이 (소~)mor-i (so~)- 守り(子~)mor-i (ko~)- (아이 돌보기) 몰다 mor-da. 'to drive'. 古. 守る mor-u. 'to watch'. A213 PAl *mbol-c 'grass; to graze'
----------------------------------------------------
Ex.14. 읊다 ʼɯr-p- cf. 울다 謳う ʼutah-u, 嘯く ʼus-ob-uk-u. A139
----------------------------------------------------
Ex.15. 背・兄・夫 せ se<*sa-i. 兄子・夫子 せこ se-ko. 사나이, 사내 sa-na-i, 사위. cf.수컷 ‘male’.
--------------------------------------------------------Ex.16. 羨しさ: OJtömö 乏・羨 'rare, scarce; enviable'. 부럽다 羨む'(萬葉集) 드물다 tɯmu-r-da. 'rare'. 乏しい tobo-sii. 'scanty, lacking, poor'. 드문-드문tɯmu-n-.'sparsely'. tomosii 'scanty, meager, scarce' Cf.倹しい tum-as-i-i. 'thrifty'. 좀- jom-(接頭) 'petty, small'. A276 -------------------------------------------------------- Ex.17. 東国 1. 아침 ʼach-<아즘 acɯm. 'morning'. 朝鮮語<新羅語 ㄱ.朝 あさʼas-a. あしたʼas-i-ta. 'morning, Morgen'. A271. 新羅語 ㄴ.明日 あしたʼas-i-ta. あす'as-u. 'tomorrow, Morgen'. A271. 新羅語 ㄷ.東あずま<吾妻あづま azum-a<adum-a. 'east'. A268, A271. 大陸韓語 --------------------------------------------------------
2. 日立・常陸ひたち hi-tat-i. 今の茨城県. 해돋이hai-dod-i. 'sunrise해오룸'.
水戸みと mi-to. (地名). cf. 霞ヶ浦 'the lake Kasumi-ga-ura'.
高句麗語: 米 mi 'water'. 水・海・湖み・うみ mi, u-mi 'water, sea, lake'.
미 mi- 'water' in 미-꾸라지, 미-나리, 미-더덕.
-터 -tə. と -to, -do. 'a site'. cf. 大和 やまと yama(山)-to. A269
陸奥むつ mut-u. 뭍 mut. 'the (dry) land'.
道 みち mit-i.<*mut-ci. 'way, road'. 뭍길 mut-kir. cf. 뭍질 A206
cf. 海路 umi-ji. (바닷길) 'sea route'. A206
陸奥みちのく<みちのおくmit-i-noku<miti-no-oku(일본의 동북지방) A227
--------------------------------------------------------
Ex.18. 屯田兵とんでんへい
屯 たむろ tam-u-ro. 'a gathering, a war camp'. <담다 dam- A210
民 たみ tam-i. 'people(百姓)' <담다 dam-. 'to fill'. A210、
--------------------------------------------------------
Ex.19. PAl *tʏm-ɯn- 'thousand, a swarm' (Sidorov p. 58; StaDB44)
pA *čümi 'thousand'
OMo mүмэн tʏm-en 'ten thousand; swarm, people'
pTk Tüm-en 'ten thousand'
OTk. tüm-en (Kypch. 14 cent.)
Yak үтүмэн ʏtʏm-en 'multitude, swarm'
Ev. tum-en etc. <Tk. 'ten thousand'
Pen 짐 <즈믄 cim <cɯm-ɯn 'one thousand'
Ins 千ち ti 'one thousand'
民たみ tam-i 'people'
Cf. Rus тьма, тем tym-a, pl. tyem '(coll.) host, swarm, multitude'
Cf. Hausa (W.Africa) zamb-ar 'thousand'
--------------------------------------------------------
3 장. 한국어 역사에 관한 하나의 가설
우리는 2002년 9월부터 비교 한국어 연구를 시작했으며, 1년후 우리는 일본어가 고대 한국어인 고구려어, 신라어,
백제어, 그리고 고려어 및 조선어와 더불어 한국어들중 하나라는 사실을 확신하게 되었다.
2005년부터 우리는 언어학적 용어들을 분명히 하기 위해서 일본어를 포함한 이들 한국어들 서로간의 관계를 정의하는 노력을 해왔다.
이것은 두가지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1. 언어학적 변화, 즉 주로 음운변화가 관찰되는 단계에서 우리는 엄격한 음운론적 용어들로 음운변화의 규칙들을 공식화하려고 노력했다.
2. 그런다음 우리는 이 규칙들을 그 발생순서(기술적으로 “규칙 적용의 순서”라 불리는, 그리고 상대적 및 절대적
연대기를 만들어내는)에 따라 정리하면서 이들 음운변화가 한국어의 역사에서 어느 시대에 해당되는 것인가를 밝히려고 애썼다.
이제 우리는 그 결과를 아래 §1-§8절의 한국어 언어진화에 관한 가설로 요약할 수 있게 되었다. 이 요약은 다음과 같은 2개의
핵심표현으로 다시 요약될 수 있다.
한국어 언어 진화의 이중구조 : 대륙 및 구어체 한국어(구어체 일본어는 대륙 고구려어에서 기원) 대(對) 반도 및 문어체
한국어(가나假名 문자와 고古 일본어 문학을 포함한 문어체 일본어는 반도 백제와 신라에서 기원).
시간적 변화와 지역적 차이 : 방언접촉 및 상호 단어 차용에 따른 상대적 및 절대적 연대기.
§ 1. 3개의 한국어 사용지역들(A6-7, A103, A21-24)
한국인의 선조들은 원래 아시아 대륙에 살았다. 이들이 사용한 언어는 모든 한국어의 가장 오래된 형태였으므로 우리는
이것을 대륙 한국어(Continental Korean)라고 부른다. 이 선조들은 서서히 한반도로 내려와 현재 한국인의 조상이 되었다.
우리는 이들이 사용했던 언어뿐만 아니라 현재 한국인들이 사용하고 있는 언어를 반도 한국어(Peninsular Korean)라고 부른다.
대륙 한국어 사용자들의 일부가 바다를 건너 섬에 도착하여 오늘날 일본인의 선조가 되었다.
우리는 그들이 사용한 언어를 열도 한국어(Insular Korean)라고 부르며, 그 사용자들을 열도 한국인(Insular Koreans)이라 부른다.
그들이 건넌 바다는 일본 해(Japan Sea)가 아니라 한국 해(Korean Sea)였으며, 그들이 도착한 곳은 일본 섬(Japanese Islands)이
아니라 한국 섬(Korean Islands)이었다. 왜냐하면 그당시에는 일본이라 불리는 나라가 없었기 때문이다.
앞으로 우리는 A6에 보이는 한국어 영역의 확장도(Map of expansion of Korean speaking area)가 한국과 일본의 모든 학교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다.
§ 2. 고구려어가 처음으로 변하기 시작하다
대륙 한국어 영역에서는 2개의 한국어가 사용되고 있었는데, 고대 한국어(古朝鮮語)와 고구려어(高句麗語가 바로 그것이었으며,
고구려어가 먼저 변하기 시작했다. 이것은 삼국사기 三國史記, 향가(鄕歌) 등과 같은 고대 자료들에 나오는 지명들을 복구시켜놓은
100개 이상(111-115)의 고구려어 단어들에서 찾아볼 수 있다.
특히 숫자에 관한 단어들은 고대 한국어를 계승한 것으로 여겨지는 오늘날의 한국어(A257)나 신라어(新羅語)의 단어들과
상당히 달라졌다. 예를 들면 아래와 같다.
셋 səis : 密,弥知밀,믿(mir, mit) 'three', 다섯 ta-sɔs : 于次우차(uchha) 'five',
일곱 ir-kop<nir- : 難隱난은(nanɯn) 'seven', 열iər <*iət : 德 덕(tə-k) 'ten'
이것들은 어휘치환(lexical replacement)의 경우들인데, 새로운 어근들이 더 일반적으로 사용되면서 옛날 것들이 퇴화돼버린 것이다.
이런 언어의 경향을 보존(retention)에 대한 변혁 (innovation)이라고 부른다. 한 나라의 힘이 커지게 되면 그 발전속도가 더 커지게
되고, 그 나라의 언어는 많은 변혁을 겪게되는 경향이 있다. 고구려는 매우 강성하고 영향력있던 나라로, ‘일곱’이란 단어는
알타이어계(Altaic family)의 지류인 만주-퉁구스어에서 차용된 것으로 보이며, ‘일곱’(나단 nadan)이란 형태로 오늘날까지 남아있다.
한편 고대 한국어와 그 뒤를 이은 신라어는 더 오래된 형태로 보존되었다. 숫자 ‘넷(four)’이 좋은 예를 보여주고 있다.
즉 넷 nəi-s 은 고구려어나 일본어에서 발견되고 있지 않으며, 그것은 열도 한국어(Ins)로 四ヨン( yo-N) 이고,
고대 일본어(OJ)로 四(記・万・他) ヨ (yo) 이다. 그러나 이 넷 (nəi-s) 의 어근은 매우 오래된 것으로 넷을 뜻하는
원시-우랄어 (Proto-Uralic) *niaT, 핀어 (Finnish) ne-lya, 그리고 더 나아가 아프리카 니제르-콩고어족(Niger-Congo) *nai
에서와 같이 알타이어계의 외부에서 발견되고 있는 것이다. 이런 어근 형태의 변화이외에도 고구려어는 우리가 아래와 같이
공식화했듯이, 2가지의 음성학적 변화를 겪었다. 즉
고구려어 규칙 1: Rule 1. 한국어 조어 -*r²- > 고구려어 -s-
알타이 조어에서 온 -*r- 의 일부인 -*r²- 가 현대 한국어에서 -r- 로 남아있고 일본어에서는 -s- 로 나타나는데, 이 변화는
고구려어에서 기원한다.
고구려어 규칙 2: Rule 2. 한국어 조어 *mb- > 고구려어 m-
알타이 조어에서 온 *mb- 가 현대 한국어에서 b- 로, 일본어에서는 m- 로 나타나는데, 이 변화는 고구려어에서 기원한다.
따라서 전에는 그리 명백한 언어학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던 고조선어, 혹은 신라어, 고구려어 사이에 이제 음성학적
분열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는 새로운 견해를 도출하게 되었다.
§ 3. 고구려어 사용자들이 바다를 건너 섬으로 가다
위에서 얘기한 것처럼, 대륙 한국어 영역(Continental Korean Area)에 남아있던 일부 고구려어 사용자들이 바다를 건너 열도
한국어 영역(Insular Korean Area)의 해안에 도착했다. 왜 이런 일이 일어났는 지는 여전히 풀어야 할 숙제로 남아있다.
그것은 급속한 인구증가와 같은 내적 요인때문에, 아니면 다른 나라와의 전쟁과 같은 외적요인 때문에 일어났을 수도 있다.
우리가 알고 있는 것은 이들이 열도 한국인(Insular Koreans)의 선조가 되었던 집단이었으며,
또한 오늘날의 일본어(Japanese language)나 열도 한국어(Insular Korean)의 가장 오래된 형태를 구사하고 있었다는 것이다.
우리는 이것을 확신할 수 있는데, 왜냐하면 일본어가 여전히 위에서 얘기한 숫자에 관한 고구려어들, 즉
A257: 三 みっつ(mittu) 'three', 五 いつつ (ʼitutu) 'five', 七 ななつ(nanatu) 'seven' and 十登袁とを(towo) 'ten'
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열도 한국어는 고구려어 언어규칙 R1과 R2의 영향을 받은 단어들을 거의 200개 정도 갖고 있는데,
이는 대체로 반도 한국어보다 (3배이상) 많은 숫자이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Rule1. Peninsular -r- <新羅語<古朝鮮語 Insular -s- <高句麗語
고리다 kor-, 구리다 kur-i- 臭い kus-a-i 'smell bad'
A177, A130 糞 kus-o 'faeces'
골치 kor-chi 頭かしら kas-ira 'the head'
Rule 2. Peninsular -p- <新羅語<古朝鮮語 Insular -m- <高句麗語
베개 pəik-a-i <*pək- 枕まくら mak-u-ra
보름 por-ɯ-m 望月もち(づき) mot-i (+zuki)
§ 4. 대륙 한국어 시대가 끝나고 반도-열도 한국어 시대가 열리다
고구려어 사용자들이 한국 섬들에 처음 이주해온 때는 대략 BC 400년경이거나 그 이전으로 생각되며, 이 시기는 쌀 경작이
시작되는 야요이 시대인 것으로 생각된다. 이 이주는 백제와 고구려가 각각 AD663년, AD668년에 망하면서 고구려어가
대륙이나 반도 한국어 영역에 별다른 유산을 남기지 않고 사라져 버렸던 7세기 하반기까지 1,000년이상 계속됐다.
그러나 그것은 열도 한국어 영역에서 살아남아 번성했으며, 오늘날 일본어의 선조가 되었다.
‘일본’이란 이름은 일본에서보다도 더 빨리 AD 671년 신라의 문서에서 처음 등장했다.
이 당시 한국역사에서 3국시대(Three Kingdoms Era)는 대륙 한국어 시대와 마찬가지로 종말을 고하고,
사실상 한국역사에서 새로운 2개의 왕국 시대가 반도에서는 통일신라, 열도에서는 야마토(大和)라는 이름으로 시작되었다.
이제부터는 왜 역사가들이 이런 방식으로 새로운 상황을 보지 않았는가 가 연구돼야만 한다. 여기서 또하나 강조돼야 할 것은,
우리가 위에서 봐왔던 것처럼 더 밀접한 역사적 관계때문에, 고구려어는 반도 한국어, 일명 한국어보다는 열도 한국어, 일명 일본어에 더 많은 기초를 두고 재구성돼야 한다는 것이다.
§ 5. 신라어, 반도 한국어는 이제 변하기 시작하다
위에서 언급한대로, 급격한 언어학적 변화란 거의 항상 거센 정치사회적 변화로 인해 사용자쪽에 생겨난 산물인 것으로 보인다.
그것은 마치 고구려인의 활력으로 인해 변화가 일어났듯이 신라인의 경우에도 그런 활력으로 인해 변화가 일어난 것처럼 보인다.
신라어의 자음체계에 커다란 변화가 언제, 어떻게 시작됐는지는 아직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그러나 커다란 변화의 마지막 산물은 분명히 알려져 있다. 영어나 많은 인도-유럽어족 언어들, 혹은 원시-한국어와 대륙 한국어를
포함한 몽골어, 투르크어, 혹은 만주-퉁구스어같은 일본어와 모든 다른 알타이어들에서와 같이 유무성의 대립(voice contrast)을
갖고 있는 매우 일반적인 파열음 체계는 현대 북경어에서와 같이 대기음 대립(aspiration contrast), 즉 격음(激音. 센소리)을
갖고 있는 오늘날 반도 한국어의 또하나의 파열음 체계로 변화했다. 게다가 아프리카어의 아프로-아시아계와 코이-산 계,
혹은 일부 아메리카 인디언 언어들에서 발견된 것들과 같은 파열음과 치찰음의 일련의 방출음들,
즉 경음(硬音. 된소리)은 자음연속(子音連續. consonant clusters)으로부터 발전했다.
Ex. 20. 일본어에 나마있는 유무성 대립 : 한국어에 없어진 유무성 대립
유성: 黙る dam-a-r-u 'close one's lips' : 다물다 tam-u-r-ta.
무성: 溜める tam-eru 'save up, store' : 담다 tam-ta.
Ex. 21. 한국어에 생긴 대기음 : 일본어에 원래 없는 대기음
칼<갈 khar<kar (목에 차는 칼). : 枷 かせ kas-e. 'a shackle' A183
탈 thar. 'mask' : 面 つら tur-a. 'a face' A197
달 tar cf. 닳다 A218, : 月 つき tuk-i. 'the moon' A232
Ex. 22. 한국어에 생긴 방출음 : 일본어에서의 2개의 자음 C¹ 과 C²
꾸중<중 kku-<sku- 'scolding' :叱る sik-ar-u (v.꾸중하다) A127
땅< tta-ŋ <sta-ŋ 'earth' :下した sita 'under, lower, bottom'.
싸다<다 ssa- <psa- 'wrap' :挟む has-am-u. 'put between' A214
§ 6. 반도 한국어가 문어체 일본어가 되다
고구려어 사용자들 이후에 신라어와 백제어와 같은 반도 한국어 사용자들 역시 열도 한국어 영역에 왔다. 이들은 위의 § 5에서
기술한 대로 그 자음체계에 있어서 고구려어와 상당히 다른 언어를 가져왔다. 이들은 또한 고대 일본문화를 가져와 찬란하게 꽃피웠다.
즉 백제인들은 538년경 불교를 들여왔으며, 백제의 왕인 박사는 「천자문」과 「논어」등을 들여왔다.
반도인들의 활동은 712년 백제 귀족인 오오노야수아마로(大野安麻呂)가 편집한 「코지키(고사기 古事記)」와 720년 쓰여진
「니혼쇼키(일본서기 日本書紀)」에 잘 기록돼 있다. 신라 이두(吏讀)는 만요우가나(만엽가명 萬葉假名)으로 발전했으며,
「만요우슈(만엽집 萬葉集)」은 759년 그 마지막 노래로 엮어졌다.
이 모든 것, 그리고 더 많은 것들이 반도 한국어 사용자들의 작품들이며, 이 시기의 문학작품들은 조오다이분가쿠
(상대문학 上代文學. 태고로부터 794년까지 아스까 飛鳥, 나라 奈良 시대 약 1,200년간)으로 불리운다.
그래서 반도 한국어는 중고시대(中古時代. 794-1192년 헤이안 平安 시대 약 400년간)를 거쳐 중세시대
(中世時代. 1192-1603년 가마쿠라 鎌倉, 무로마찌 室町, 센고꾸 戰國시대 약 400년간)말인 1603년까지 사용돼온
고(古) 일본어 문어(文語)의 기초가 되었다.
이것들은 반도 한국으로부터 온 일본의 지배자들 및 귀족들의 작품들이며, 평민이 아니라 시인, 작가, 학자 등 개인의
작품들이다.
이것은 출판기술이 발명되어 문학이 대중화되면서 변했다. 고구려에서 온 고대 언어가 문학작품들속으로 들어가기 시작했다.
일본어의 이중 언어체계, 즉 고구려와 대륙에서 기원한 구어체 일본어와 신라와 백제에서 기원한 문어체 일본어가 하나가
되면서, 진정한 통합 일본어가 에도시대(江戶時代. 1604-1867년의 약 270년간) 초기이후에 형성되기 시작한다.
§ 7. 일본어의 음운변화
일본어의 이중적, 그리고 양의적(兩義的)인 어휘 및 음운체계는 알타이어 학자들을 잘못 오도해왔다.
많은 학자들이 신라와 백제 기원의 일본어 문어를 일본어의 가장 오래된 형태로 생각하고 문어 형태에 기초하여 소위 원시-일본어를
재구성하여 그것을 한국어 문어 형태와 비교했던 것이다. 그러나 사실상 일본어의 가장 오래된 형태는 그 구어체 형태에 있으며,
그것은 고구려와 대륙으로부터 기원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한국어 구어체의 가장 오랜 형태는 일부 고구려어 어휘 100여개를
제외하고는 문서화된 것이 없다. 그러나 이 한국어는 한국, 일본, 그리고 세계 여러 곳에서 총 2억명이 넘는 인구가 여전히
구어체와 문어체로 사용하고 있는 언어이다. 우리는 일본어의 음운변화가 구어체 형태에서 발생했다는 것을 알게 됐으며,
이 변화들은 서서히 문어체 형태로 옮겨갔다. 우리가 이 사실을 확신할 수 있었던 것은 음운변화의 성격때문이었다.
즉 구어체 형태는 오로지 문어체 형태로만 기록될 수 있는 것이지만, 음운변화는 문어체 형태에서는 일어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일본어에는 주요한 3가지 음운변화가 있어왔는데, 그것들은 아래와 같다.
1) p- > h- ; 2) c- > s- ; 3) -r- > -y- /i___i
이 변화들은 대륙 고구려, 혹은 반도 신라와 백제에서 기원한 모든 일본어 단어들에 영향을 미쳤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Ex. 23. p- > h- 일본어가 된 한국어
벌<버리 pər<pər-i 蜂 はち hat-i. a bee A247 <高句麗語
별 piər 星 ほし hos-i. a star A229 <高句麗語
Ex. 24. c > s
잘다 car-. small 些細ささいsas-ai 'details' A265 <高句麗語
젖다 cəc- 'get wet'. 湿る sit-or-u.'becom damp'. A156 <高句麗語
Ex. 25. -r > -y /i___i. A79-80
파리 phar-i 蝿 はえ hay-e. house-fly A247 <新羅語
비름 pir-ɯm 莧 ひゆ hiy-u. an amaranthus A171 <新羅語
§ 8. 일본어 단어들을 고구려와 신라 기원으로 분리하기
만일 1개의 한국어 단어에 2개 이상의 일본어 단어들이 대응하는 경우가 나타난다면, 우리는 상기 § 3에서 논의된 고구려어 규칙 1, 2에 의거하여 그들의 기원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고구려어 규칙 1의 실례: 일본어가 돤 한국어
Ex. 26. 꿀밤 kkur +bam. 'chestnuts'. OJくじkuz-i. 'chestnuts'. <高句麗語
栗くりkur-i. 'chestnuts'. <新羅語<古朝鮮語
Ex. 27. 두루미 tur-u-mi. 'a crane'. 鶴たづtaz-u. 'a crane'. <高句麗語
つる tur-u, 'a crane'. <新羅語<古朝鮮語
고구려어 규칙 2의 실례: 일본어가 돤 한국어
Ex. 28. い)半島:벌레, 버러지 pər-rɔ-i, pər-ə-ji 'an insect' <新羅語
列島:虫 むし mus-i 'id.' <高句麗語
ろ) 半島:바퀴벌레 pakui- + pər-rə-i 'cockroaches'
列島:ごきぶり goki- + bur-i 'id.' <新羅語<古朝鮮語
は)半島:장구벌레 cang-ku +pər-rə-i 'wriggler'
列島:棒振ぼうふら boo + hur-a 'id.'
Ex. 29. い)半島:박쥐 <밝쥐 pak-cui <par-k- + cui. 'a bat' 朝鮮語<新羅語
列島:蝙蝠 こうもりkoo- + mor-i 'id.' <高句麗語
ろ)列島:かうもり kau- + mor-i (歴史的仮名遣) <高句麗語 かはぼり kaha- + bor-i (p.320) <新羅語
かはほり kaha- + hor-i (p.346)
かわほり kawa- + hor-i (p.346)
こうもり koo- + mor-i (現代仮名遣) <高句麗語
Ex. 30. い) 半島:떡 < ttə-k <ptə-k <*pət-k A176 朝鮮語<新羅語 列島 : 餅もち mot-i <高句麗語
ろ)牡丹餅 ぼたもち bot-a-mot-i <新羅語<古朝鮮語 は)しとぎもち si-tog-i + mot-i <新羅語<古朝鮮語
떡< ttə-k <*stə-k <si-ptə-k (漢韓合成語지+떡 ci+ptə-k.
(粢자, 인절미지;し) (1081年: Ruiju Myoogisho 類聚名義抄) 平安時代
Ex. 31. い) 半島:빛(깔) pich-(kkar) 朝鮮語<新羅語
ろ) 列島:光 みつ mit-u <高句麗語
ex. 竹光 たけみつ take-mitu, 光秀 みつひで mitu-hide.
は) 光 ひかり hi-kar-i. light A230 <新羅語
光る hi-kar-u. (빛 나다) <新羅語
--------------------------------------------------------
4 장. 한국어 언어 진화의 이중구조가 어떻게 만엽집에 반영되고 있을까?
사키모리 병사들은 고구려와 발해로부터 온 이주자들의 후손들로 간주되고 있다. 이들은 동해를 건너 일본 서부 해안가에 도착하여 바닷길과
뭍길을 통해 토호쿠 (미치노쿠) 같은 먼 지방에까지 퍼져 나갔다.
오늘날에도 큐슈, 시마네(이즈모), 호쿠리쿠(北陸), 토호쿠 같은 동해 해안 지대 방언들은 서부 해안, 즉 태평양 해안 지대 방언들과 다르다.
큐슈 지방에 사키모리 병사들을 보낸 사람들은 대륙 한국인들이 건너 오고 약 1천년 후에 반도, 즉 백제 혹은 신라로부터 건너 온 지배층
사람들로 추정된다.
사키모리 노우타 라고 불리는 노래들이 만엽집의 다른 노래들과 약간 다른 것인지는 이런 대체적인 언어 역사학적 관점에서 조사해 봐야만 한다.
이런 대체적인 관점에서 어떤 하나의 실마리를 제공하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인 것이다.
이미 상기 실례들(숫자들)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만엽집 어휘들은 고구려어 기원이 압도적인 것으로 보인다. 이것은 사키모리 노우타에
국한된 것이 아니다. 고어사전(古語辭典)에 있는 일부 언급들은 고구려어 기원의 구어체 고어가 와카(Waka和歌 songs 혹은 poems)에서 즐겨
사용됐으며, 지배층이 말하고 썼던 신라 기원의 반도 한국어가 분명한 이유를 가지고 의례용 노래(ritual songs)로 즐겨 사용됐다는 사실을 밝혀주고 있다.
Ex. 32. 두루미 tur-u-mi. 'a crane'.
1. 鶴つるtur-u 'a crane'. <新羅語<古朝鮮語 鳥の名。ツル科の鳥の総称。
〈参考〉和歌では「たづ」という。「つる」の形で「亀かめ」「松」 「千歳ちとせ」などとともに長寿を祝う賀歌に詠まれた。p.806-7.
2. 鶴見・鶴海つるみ tur-u-mi. (place name). 두루미 tur-u-mi. 'a crane'.
3. 鶴・田鶴たづtaz-u. 'a crane'. 高句麗語 (-r->-z-) v. Ex.26-27. 鶴(つる)の異称。多く和歌用語として用いられた。p.734
--------------------------------------------------------
Ex. 33.「亀かめ」
거북 kəp-u-k. 'tortoise'. <新羅語<古朝鮮語
亀かめ kam-e (2음절 순음교차). <高句麗語 'id.'. A246
--------------------------------------------------------
Ex. 34.「松まつ」mat-u.
MK朝鮮語 pus「松」<新羅語. 'a pine tree 잣나무 cas-namu' A251'.
扶蘇*busʋ, 夫斯*busi 古朝鮮語 「松」'pine'. 松まつmat-u. <高句麗語
--------------------------------------------------------
Ex. 35.「千歳ちとせ」ti-tos-e. 'a thousand years'.
돐, 돌 tor-s. 'a full year day'. <新羅語<古朝鮮語
豊とよtoy-o <*tor-. ‘abundant'.[接頭]ものごとが、豊かで 美しいようすをほめたたえていう語。(古語辞典 p. 852).v.豊臣.
덧 təs <MK tët. 'a short time(while)'. <新羅語<高句麗語
a. 年 とし tos-i. 'age, year; the years crop of corn 穀物, especially of rice'. A270,古語辞典 p.837.
千歳・千年ちとせ ti-(v. Ex.19) +tos-e. 'a long time'.
b. 年だま、お年玉 (o-)tos-i-dama.
c. 屠蘇とそ、お屠蘇 o-tos-o 屠蘇延命散
------------------------------------------------------
Ex. 36. 鳥・鷄とり tor-i. <高句麗語. : 닭 tar-k. 'fowl'. <古朝鮮語.
Kog² 高句麗語 刀[臘(랍)] 도 *tawr 'pheasant (雉)'
pK,MK 古朝鮮語>朝鮮語 tăr-k 'fowl'
닭 < 鶏 <朝鮮語 tar-k <tʌr-k 'fowl, chicken'
까투리<까도리<高句麗語 kka-thuri<kka-tori. 'a hen pheasant'.A241
OJ トリ登理 <高句麗語 tör-i 'bird 鳥'(記・歌謡86・他)
Ins 鷄とり <高句麗語 tor-i. 'fowl, bird' A176
--------------------------------------------------------
Ex. 37. 草くさ 'grass, flower, 草本 souhon'.
꼴kkor. 朝鮮語<古朝鮮語 'fodder'. 꽃<곳 kos. 朝鮮語<高句麗語 'flower'.
草(花)くさkus-a. 高句麗語. 'grass, flower'. p.388. A251. 草くさkus-a, 馬草(ま)ぐさ(ma)gus-a. 七草七種nana-kus-a. p.884.
---------------------------------------------------------------------------
5 장. 음운변화 규칙과 상대적 연대기
상기 1장과 2장에서 주어진 어원들은 아래와 같은 비교 언어학적 기준에 따라 재검토 되어야 한다.
1) 음운대응
2) 음운체계
3) 음운변화
4) 음운변화의 연대기
이런 기준에 따라 우리는 아래와 같이 열도 한국어로 흘러 들어온 대륙 및 반도 한국어 단어들을 구별해 낼 줄 알아야 한다.
Table 1 음운변화와 그에 상응하는 더 오래된 일본어 고어의 분화
m-s 上代: 太古─794年 ( 飛鳥、奈良時代 까지 約1200年間)
p-r 中古: 794年─1192年 (平安時代 400年間)
h-r 中世: 1192年─1603年 (鎌倉、室町、戦国時代 400年間)
m-s 近世: 1603年─1867年 (江戸時代 270年間)
Table 2 한국어 조어 *mb, *m, *r² 의 연대기
韓祖語 古朝鮮 高句麗 半島(新羅)語 ; 列島語: 上代 中古 ; 中世/近世/ 現代
*mb *b m *b>p, m ; m, b : m, b; m, b, p>h; m, b, h
*m *m m m ; m : m ; m, p>h; m, h
*r² *r s r, s ; s, r : s, r ; s, r, r ; s, r (>y)
--------------------------------------------------------
6 장. 시간적 변화와 지역적 차이: 방언 연구는 중요하다 :
반도 기원의 문어체 일본어는 기록된 알타이어중에서 오래된 것이지만, 대륙 기원의 구어체 일본어와 비교해 보면, 그보다 약 1,000년 정도
더 젊고 더 새로운 형태인 것이다. 이 모순되는 듯한 것은 사실로 받아들여져야 하는 것이며, 우리는 고전문학 작품들에서 보다는 오히려
한국어와 일본어의 현대 구어체 언어들에서 더 오래된 한국어 단어 형태들을 찾아야 한다. 이런 관점을 검증하는 몇가지 실례들은 아래와 같다.
--------------------------------------------------------
Ex. 38. 新羅語 *pit- > pir- 朝鮮語.
半島 비름 pir-ɯm <MK pìr-ăm 朝鮮語. A171
비듬 pit-ɯm (서울의 口語) <新羅語.
列島 莧ひゆ hiy-u <pir-ɯm 朝鮮語. 'an amaranthus'.
----------------------------------------------------
여기서 고조선어(古朝鮮語)의 두 번째 자음은 -d- 였을 것이며, 이것은 신라어에서 -t- 로 변했다(v. Ex. 40). 이 -t- 는 그 형태가
현대 한국어 구어체에 여전히 남아있지만, 표준 문어체 한국어에서는 더 나아가 -r- 로 변했으며, 일본어에서는 -y- 로 변했다.
이것은 통일신라(統一新羅)때 하나의 방언이 문어체 형태로 사용되다가 -t->-r- 의 변화를 겪었다는 사실을 제시해주고 있는 것이다.
또하나의 더 오래된 자음은 중세 한국어(Middle Korean. 朝鮮語) 문어체에서 ᅀ -z- 로 쓰여진 -s- 인데, 이것은 비록 표준 한국어
문어체에서는 사라져 버렸지만(-z- > -Ø- ), 현대 반도 한국어 구어체에서 -s- (<新羅語)로 여전히 남아있으며, 현대 열도
한국어에서도 역시 -s- 혹은 -z- (<新羅語)로 남아있다. 아래의 4가지 실례로부터 우리는 한 언어의 강력하고 표준적인 형태가
더 많은 사용을 통해 더 많은 언어학적 변화를 겪는 것 같으며, 덜 사용되는 방언은 그렇지 못하다는 사실을 알아낼 수 있다.
Ex. 39. 조선어의 규칙: 新羅語 -s- > -z-; 朝鮮語 ᅀ -z- > -Ø- .
--------------------------------------------------------
1 냉이 na-iŋ-i 朝鮮語 <나 naz-i. 新羅語.
강원도말: 나생이 nas-aiŋ-i. <新羅語.
薺 なずな naz-u-na(菜나물). <新羅語. 'a shepherd's purse'. A171.
--------------------------------------------------------
2 Kog. 高句麗語 也尸 yas-i (三國史記卷37) 'a fox'
Kog². 高句麗語 也尸 *yar 'wild 狂'
MK 朝鮮語 yaz-ü. <新羅語. 'a fox'
半島 여우 <여, 여호 yɔʔ-u, yɔʔ-ʌ, yɔh-o. <朝鮮語. 'a fox'
야시, 여시 yasi, yɔsi (사투리 口語) <新羅語. 'a fox'.
cf. 狐きつね kit-u-ne 'a fox' (<Tungus?); PAl *k²yar- 'a fox'.
--------------------------------------------------------
3 가위 < kaw-i<kʌz-a-i. 'scissors'. 鋏み has-a-mi. 'scissors' .
cf. 가르다 kar-ɯ-ta. 'cut (off)'. 切るkir-u. 'cut off'.
예. 삼-가르다 sam-~. 'cut off the navel cord'.
臍の緒を切る. heso no wo-wo-~. 'id.'
-------------------------
PAl *k²ʌw-c- 'scissors' (Sidorov p. 60)
OMo хайичи xay-ici 'scissors'
Yak кы птыый,кы пты kɯp-tɯɯy, kɯp-tɯ 'scissors'
半島 가위 < 朝鮮語 kaw-i <kʌ-z-a-i 'scissors'
가새 (사투리 口語) kas-ɛ. <新羅語. 'scissors'
列島 鋏み < 高句麗語 ha-s-a-mi.< 新羅語. 'scissors'
--------------------------------------------------------
4 半島 사이<< sai <sʌi <sʌzi 朝鮮語 'time, narrow space'
*사시 *sas-i. (사투리 口語) <新羅語. 'time'
列島 際さい saʔ-i < 朝鮮語. 'time'
瀬 se <*saʔ-i 'an interval between two points of time'
--------------------------------------------------------
아래의 Ex. 40 은 Ex.38 과의 알타이어 연관성을 보여주고 있다. 단어 형태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그안에서 우리는 몽골, 만주,
그리고 한국의 공통적인 언어학적 및 문화적 기원을 분명히 찾아볼 수 있다.
Ex. 40. 알타이어 관련어
pA *büdi (~p-) ‘a kind of grass >Amaranthus mangostanus, pigweed’ (StaDB37)
pMo. *bud-urgana 'a kind of grass (postašnik)'
WMo. bud-urɣana
Khal. bud-argana
Ma. bud-urxana <Mo.
韓祖語/大陸韓語 *bid-
新羅語 *pit- > pir- 朝鮮語.
半島 비름 pir-ɯm <MK pìr-ăm 朝鮮語. A171
비듬 pit-ɯm (서울의 口語) <新羅語.
列島 莧ひゆ hiy-u <pir-ɯm 朝鮮語. 'an amaranthus'.
----------------------------------------------------
맺음말
처음에 언급한 바와 같이, 병사들은 나의 친구들이며, 나 역시 한 사람의 병사이다. 만일 나에게 명령이 떨어진다면, 나는 지구상의 어디라도,
지구 끝까지라도 갈 준비가 되어 있다. 나는 나의 임무를 달성하기 위해 어디라도 갈 준비가 되어 있는 것이다. 오늘 여러분 앞에 내가
여기 있다는 것은 우연이 아니다. 이제 나의 임무는 일본어가 한국어의 일부이며, 일본어가 한국으로부터 왔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다.
첫째로 나는 이것을 언어학적으로 증명해야 하며, 그런 다음 우리 자식들에게 어떻게 한국인들이 일본이라는 나라를 건설했으며,
결국 형제 국가로써 한국과 일본에게 공통적인 미래의 비젼을 어떻게 만들어 내야 하는가 하는 이야기를 들려 주면서 고대사를 다시 써야만 한다.
이런 목적을 위해 이제 나는 한국어를 배우고 있으며, 문화, 종교, 역사, 특히 언어 역사 분야에서 직접 한국인들과 깊이 접촉하고 있다.
나의 임무를 좀 더 자세히 말한다면 첫째로, 비교 한국어 분야를 명실공히 하나의 소프트 웨어인 인문과학으로 만들어 내는 것이며,
둘째로, 하드 웨어로서의 연구 및 강의 체제와 제도를 만들어 내는 것이고, 셋째로, 이런 나의 활동에 학자들이 동참하도록 설득하기
위하여 각종 회의에 참석하는 것이며, 넷째로, 먼저 한국에서 이런 운동을 확대시키고 나중에 일본, 그리고 궁극적으로 전 세계에
확대시키기 위하여 논문 및 저서들을 출판하는 것이다.
이런 목적을 위해 나는 처음부터 한국어, 일본어, 영어 등으로 모든 논문 및 저작물들을 쓰고 있다. 우리 연구소는 일본 구마모토에
지부를 두고 있으며, 그곳에서 박명미씨가 일본인 동료들과 함께 일본어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참고문헌
李基文 1975 「韓国語の歴史」大修館書店.
李基文 1983 「韓国語の形成」成甲書房.
板橋善三 Yoshizo Itabashi 1996. 『高句麗, 新羅, 百濟の古代三国における「尸」の音価とその言語的相違』言語科学 第31号 九州大学言語文化部言語研究会
三省堂「全訳読解古語辞典」第二版 小型版 2001.4.1発行.
引用は(古語辞典p.726, または p. 726)のように示す。
板橋善三 Yoshizo Itabashi 2003. 『高句麗の地名から高句麗語と朝鮮語・
Robbeets, Martine Irma. Is Japanese related to the Altaic languages? presented to the University of Leiden as a doctorate thesis, 2003.
시미즈 기요시/박명미. 2004년. 「아나타는 한국인!」 정신세계사. 서울. (Shimizu K. and Park Myoung-Mi: You are Koreans! Joengsinsegyesa, Seoul 2004).
「アフリカの諸言語」(2000語総論および各論)三省堂言語学大事典
박청수 (시미즈) (as from 단기4339, 西暦2006 August 4).
Altaic roots 500+. (unpublished file).
清水紀佳/朴明美2005.7「比較言語学における相対および絶対年代再建への序説 (Prolegomena to reconstructing relative and absolute chronology in comparative Korean)」。第22回ハンマル研究学会国際学術大会。.韓国、春川
Kiyoshi Shimizu. 2006 (10.26 English Phonetic Society of Japan)
“Phonological and morphological criteria for the relative chronology
of Japanese words of Korean and Altaic origin: on the basis of over 5,000 Korean-Japanese cognates, of which 500 are of Altaic origin”
Kiyoshi Shimizu. 2006 (11.11 일본언어문화학회, 인하대)
고구려어의 규칙: R2. p-Korean *b- > Kog. m-.
박 청수 (시미즈 기요시) 순천향대학
Kiyoshi Shimizu. 2006 (12. 14-15 동아시아 고대학회, 단국대)
“고구려어의 규칙”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 본 500개 알타이어-한국어(및 일
본어) 친족어들에서 나타난 일본어의 특징들”
Characteristic features of Japanese seen in 500 Altaic-Korean (Japanese) cognates, with focus on “Koguryo language’s rule”
박명미・박청수 2008년3월(出版豫定). An etymological dictionary of Korean 韓語語源辞典 한어어원사전1. 반도와 열도 한어의 공동어근. 서울.
[출처] https://blog.naver.com/jsy1851/221685439233|작성자 노원앙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