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찌 키즈 '더블 G 브레스티드 코트'(왼쪽)와 베르사체 키즈 '메두사 오픈 토 샌들'. 사진=각 사 홈페이지
명품 브랜드, 100만원 넘는 고가 키즈라인 확대 저출산 기조 속 "하나 낳아 잘 기르자" 인식 확산 "소비지향적 태도, 왜곡된 경제관념 전파 가능성"
[서울경제]
"몽클레어 '아벨'은 모자에 폭스털이 고급스러워요. 매장 직원 말로는 직접 입히면 더 귀티나고 예쁘다는데, 블랙과 핑크 중에 어떤 게 좋을까요?"
백화점가 130만원. 가격만 봐도 아찔하다. 가뜩이나 고물가 시대, 요즘 '엄빠'들 정말 괜찮은지 모를 정도다.
몽클레어 아동 롱 패딩 아벨르(ABELLE) 시리즈를 비롯해 버버리, 펜디, 지방시 등 명품 브랜드가 출시한 아동복 제품이 불티나게 팔리면서 글로벌 대표 명품들도 본격적인 시장 공략에 나섰다. 디올은 브랜드의 영유아 전용 라인인 '베이비 디올' 매장을 열었고, 미국 럭셔리 브랜드 '톰브라운'도 지난 달 말 서울 신세계백화점 강남점 1층에 키즈 컬렉션 팝업 매장을 열었다.
OECD 기준 전 세계에서 출산율이 가장 낮은 한국에서, 젊은 엄마 아빠들 사이 '하나 뿐인 내 자식 고귀하게 키우겠다'는 분위기가 형성돼 브랜드마다 ‘키즈 라인’을 만들며 ‘텐 포켓족’을 공략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명품 아동복 시장 역대급 호황…중저가 브랜드는 '시들'
4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백화점의 올해 1~4월 아동 명품 매출은 전년 같은 기간 대비 28.5% 증가했다. 같은 기간 일반 아동 매장 매출 증가율(19.8%)과 비교했을 때 고가의 상품 선호도가 더 높아진 것이다. 신세계백화점의 지난 1분기 수입 아동 브랜드 매출도 전년 같은 기간 대비 22.7% 늘었다. 롯데백화점 역시 명품 아동 브랜드 매출이 올 들어 15% 증가했다.
명품·고가 아동복 판매 성장에 힘입어 국내 아동복 시장도 커졌다. 한국섬유산업연합회에 따르면 국내 아동복 시장 규모는 2020년 9120억 원에서 2022년 1조 2016억 원으로 약 32% 성장했다. 국내 전체 패션 시장이 같은 기간 40조 3228억 원에서 45조 7789억 원으로 13% 증가한 것보다 배 이상 높은 성장율이다.
중저가 아동복 브랜드의 설 자리는 반대로 줄었다. 영·유아 전문 업체 제로투세븐은 지난해 ‘알로앤루’ 같은 중저가 아동복 패션 사업을 접었다. 33억원 손실을 내면서 더는 수익성이 없다고 판단한 것이다. 2020년 아동복 브랜드 리틀클로젯을 도입하며 아동복 시장에 뛰어들었던 코오롱FnC도 작년에 사업을 철수했다.
코트 한 벌에 '700만원', 아동 명품 '왜' 흥하는가
키즈 명품 브랜드 제품들은 성인 명품 제품 못지 않게 비싼 가격을 자랑한다. 국내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몽클레어 키즈' 라인 패딩은 대부분 100만원을 훌쩍 넘고 200~300만원을 넘는 제품들이 대부분이다. 영국 온라인 패션업체 파페치 홈페이지에 따르면, 이탈리아 명품 브랜드 '브루넬로 쿠치넬리 키즈'에서 판매되는 '양가죽 바이커 재킷'은 742만원에 책정돼 있고, '톰브라운 키즈'에서 판매되는 '버튼 다운 핏 블레이저'는 467만원이다. 버버리칠드런의 로고가 그려진 백팩은 105만원, 여성 유아용 트렌치코트도 145만원에 달한다.
올해 국내 합계 출산율은 2분기 기준 0.75명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최하위를 기록하고 있다. 출산 규모와 총 인구가 줄어드는 가운데 유아동복 시장 규모가 커진다는 것은 고가 제품의 유통 규모가 늘었다는 의미로도 해석되는데, 저출산 시대 자녀 한 명을 둔 집이 늘며 ‘VIB(Very Important Baby : 매우 소중한 어린이)’, '텐 포켓(열 명의 주머니)’ 현상이 두드러지면서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과거와 달리 저출산으로 소수 자녀에게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면서 한 아이에게 쏟는 관심과 비례해 부모와 양가 조부모, 삼촌, 고모, 이모 등의 물질적 지원의 폭도 자연스레 넓어졌다.
소비 시장 ‘큰 손’으로 자리 잡고 있는 MZ세대(1980~2000년대 출생 세대)가 부모가 된 것도 프리미엄 키즈 패션 시장 성장에 한 몫하고 있다. 자신의 가치를 위해서라면 과감히 주머니를 여는 MZ세대 부모의 특성이 장기적인 키즈 패션 시장을 이끌어 나갈 것이란 전망도 나오고 있다. 여기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엔데믹과 함께 증가한 보복 소비가 자녀에게까지 쏠리는 것도 시장 확대에 주요인으로 자리한다는 설명이다.
그 비싼 옷, 아이들도 원했나요?…"왜곡된 경제관념·양극화 부추긴다"
이같은 산업 전반의 분위기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일각에서는 자녀에게 명품을 사주면서 대리 만족을 얻거나 과시 욕구를 드러내려는 부모들이 자칫 아이의 과시욕을 부추길 가능성이 있고, 아이들 사이에 위화감이 조성되면서 아동 개개인의 '상대적 박탈감'을 부추길 수 있다는 지적이다.
첫댓글 우리 예솔이 퍼스트 구찌에요~
중국스럽게 변해가는구만 명품과시
돈 잘버니까 ,,,,
돈많은사람이 요즘 애낳잖아
쫌 중국같아ㅜ
근데 진심 명품 아울렛가면 애기들 다 명품 입고 있더라 버버리 몽클레어 어쩌구저쩌구
이러니 웬만한 회사원들은 애 낳고 살것냐...
그려 잘 쓰구 잘 키우자 돈 있으면 하는거제
옛날에는 아무생각 없었는데 내가 임신하니까 애한테는 좋은거 다 해주고 싶은 마음 생김.. 뭐 여유 되는 만큼 해주는거라 생각듬
돈많음노상관 그게아닌집이 따라하는게 문제지..
우리집도 보면 조카 하나에 나부터 시작해서 언니네 울엄빠 사돈어르신+형부네쪽 형제자매 선물..그럼 몇명으로부터 받는지 모르겠다ㅋㅋㅋㅋ 아마 이런집이 기사에나오는 텐포켓 이런거겠지
아마 저런 사람 대부분은 2천만원 증여까지 싹 끝냈을것 같은 느낌..? 언니도 나한테 물어봐서 추천종목으로 애앞으로 주식으로 증여 미리 다 해둠
글쎄 과시로 남들한테 보이려고 사입히는건 잘못된 소비를 부추기고, 언젠가 그 과시를 못하게됐을때 애가 내심입을 충격(선민사상 가지고 있다가 깨지는)같은걸 생각해보면 사회문제라고 봄
뭘 입혀도 상관은 없는데 껍데기만 화려하게 꾸미지 말고 알맹이 좀 채워서 유치원 학교 사회 내보내라 좀 가정교육 똑바로
어린이집에서 놀다가 더러워지면 싫어함ㅋ
애를 자랑거리 삼으려고 아주 그냥...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