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https://www.fmkorea.com/7032379122
1. 높은 세금
타지역 보다 빠른 근대적 경제성장과 전후 부흥이 끝난후
부양해야할 늙은 노인들이 빠르게 늘어나
초고령화에 일본과 함께 가장 빨리 진입했고
그에 따른 사회 전체의 생산성이 하락하며
장기 저성장에 진입한 서유럽 북유럽 주요국 모두 0% 대
성장률을 보여주게 되어 소득이 비슷했던 미국과 이제
격차가 유럽이 42440달러,
미국이 85370달러로 2배 이상 커지게 됨.
그럼에도 한번 준걸 뺏기는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는게 복지의
난점이라, 세금은 계속 올라가기 시작해서 현재 유럽의
[독일 vs 한국 450만원 받았을시 실수령액 비교]
평균 부가가치세는 20~25%, 소득세는 중산층 기준 40-50%
이상을 뗀다고 생각하면 편할 정도이며 알바나 하는
서민층도 20-30%는 내야하는 수준임.
그래서 유럽 세후소득은 선진국 수준으로 올라온
한국이 보기에 상당히 낮은 수준인데
프랑스 국립통계청 자료가 발표한 프랑스인 세금을 제한
월급 백분위를 보면 이러한데:
1500 유로 미만 (220만원 미만) : 인구 18.6% (상위 81.4%)
1500유로 이상 - 2000 유로 미만 (220만원 이상 - 294만원 미만) : 인구 30.8% (상위 50.6%)
2000 유로 이상 - 2500 유로 미만 (294만원 이상 - 368만원 미만) : 인구 19.0% (상위 31.6%)
2500 유로 이상 - 3000 유로 미만 (368만원 이상 - 442만원 미만) : 인구 10.9% (상위 20.5%)
3000 유로 이상 - 4000 유로 미만 (442만원 이상 - 590만원 미만) : 인구 10.6% (상위 9.9%)
프랑스인 50% 약 절반이
월급 294만원 미만으로 살아가고
프랑스인 90% 이상이 590만원 미만이란
얘기로 미국이랑 큰 격차는 물론이요 한국 대비해서도
그리 높은 수준은 아님.
2. 높은 월세
한국이 월세가 비싸다 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사실 유럽 주요 대도시에 비하면 저렴한편임.
프랑스 파리의 경우 평균 월세 가격이 무려 227만원이고
그외 지방도 최소 100-130만원은 줘야함. 근데 앞서 말했
듯이 프랑스 인구 절반은 월 294만원 미만으로 살아감.
파리에서 살려면 세후 소득의 77% 를 내야되고
눈을 낮추고 지방으로 내려가더라도 월세로만 세후 소득의
33-45% 이상 뜯길 각오를 해야한다는것.
3. 높은 생활비
그러면 꼭 "유럽 시장 식료품비는 한국보다
싼데" 이런말을 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아프리카 극빈국도 아니고
진짜 월급 대부분을 시장 보는데만
쓰는 사람은 적음. 유럽이 비싼쪽은 유틸리티
비용이라 불리는 전기세와 수도세.
그리고 인건비가 포함되는 외식비인데
그래서 독일인들의 45% 는 한달에 1번,
34.5% 는 한달에 2-3번 외식을 하는편임.
즉, 대다수 유럽인들은 외식을 한달에 1-3번 정도로
제한하며 매우 아껴사는편임
그럼에도 세금, 월세, 전기세, 수도세, 가스세등 필수적으
로 나갈수밖에 없는 고정지출을 다 빼고
남는 2023년 기준 한달 저축 가능 금액은
프랑스는 260유로 즉 38만원 가량이고
독일도 마찬가지로 월 260 유로, 38만원이라고 하니
1년 내내 일해봐야 저축 금액은 기껏해야 450만원 수준.
이런식으로 평생 해도 파리, 뮌헨, 프랑크푸르트 같은
대도시의 20-30억원에 달하는 집을사거나
[뮌헨 주택 가격 218만유로, 한화 32억원]
목돈을 모아 재테크를 해서 자신의 경제적 계층이나
신분 상승을 할 가능성은 매우 희미하니
그냥 처해진 현실에 사실상 체념하고
사회 지위 상승이나 변화를 포기한후 현재를 즐기는
소위 가붕개 스러운 태도로 바뀐것. 실제로 스웨덴의 경우
도박을 하는 성인 인구가 3분의1에 달하고
핀란드는 41% 에 달함. 신분 상승 방법이 그거밖에
없기 때문.
게다가 서북유럽 대부분 국가는
일본과 같은 초고령화 국가라 어차피 젊은 세대가
쪽수로 밀려 투표에서 표싸움에도 밀리는만큼
늙은 세대가 원하는 복지, 연금 부분에서 우선권을
무조건 내줘야하기에. 내년에 초고령화로 진입하는
한국에도 여러가지 시사점을
주고 있는 현 유럽의 트렌드라고 하겠음.
첫댓글 외국에 나갈수록 한국이 살기 좋다고 느낌.. 약간의 어쩌라고 정신과 남을 신경쓰는 눈만 빼면.. 어쩌면 한국인이 외국가서 좋은이유는 나를 아는 이가 많이 없기때문(부모의 친구.. 누구의 누구 이렇게 연결된 사람)인거같음… ㅠ
볼수록 한국의 전월세재도나 퇴직금 제도.. 복지제도 은근 잘되어있다고 생각햐..
울 나라는 저 단계 모조리 건너 뛰고 초고령화 사회에 저출생 0.6대 진입하니까 더 끔찍하겠네 ㅎ......
독일은 집살때 주택담보대출 이자가 1~2%던데... 근데도 집 잘 안사더라 월세관계에도 세입자한테 권한이 많아서 본인이 나갈생각 없으면 월세 동결로 쭉 가서... 모부님 주택 돌아가실때 물려받고 그동안은 월세 존버 ㅋㅋ k마인드로는 이해안됨 나라면 무조건 집부터 살텐데
@하랴랴냥 그럼 더더욱 살필요가 없겠구만 ㅋㅋㅋ
참 신기하다... 사람 사는 방식이 다 다른게..
그래서 얘네 더 홀리데이(휴가)에 목숨거는 듯.. 진자 와서 살아보면… 저축이 불가능 함..ㅎㅎ
우리도 다음세대는 저러고살려나? 더더욱 비출산
그래서 집에서 파티하나.. 외식은 비싸니까 집에서 노나봄
돈은 못모으는데 안벌거나 덜벌어도 주택보조금나오고해서 살더라 근데 미래가 딱히 없으니까 그때그때 놀아야해서 그런가 바캉스는 꼭챙김...
유럽 사는데 일부 직업 제외하고는 세후월급 진짜 낮음...그래도 한국이랑 다르다고 느낀 건 20대인데도 (금수저 아님. 부모 도움 없이) 돈 모아서 집 일찍 사는 경우가 많더라 서울만큼 도시가 크지 않아서 외곽에 살기 나름 괜찮더라고 3-40분 차타고 다니거나 재택하면서..글고 어리거나 커플이면 정부에서 월세보조금? 같은 거 주더라 ㅋㅋ
와여샤지우지말아줘 다시자세히볼래 ㅜㅜ
아 진짜 독일인들 검소하다고 한국인 까는 글 올라올때마다 꼭 보여주고싶은글이다 ㅜㅜㅜㅜ 유럽애들 돈 없어서 검소하게 사는거라고 나만 외치고 있음!!!!!!
유럽에서 일했을 때, 마냥 그렇지도 않아.. 잘 모르겠네. 나는 나름 한 달에 100만원 이상 씩은 저축되었던 거 같아. (여행을 제외할 시)
유럽 내가 있던 국가는 집을 무조건 사야한다라는 마인드가 없고 공공임대가 굉장히 잘 되어있어. 국가가 임대인이고 평생 임차인으로 살아도 되는 거지, 이자율도 적고 (금리 자체가 오르지 않으니. 그 대신 그 만큼 메리트 있는 적금이 딱히 없었던 거 같아. 또 주식 수수료도 엄청 떼어간다고 들었던 듯)
일단 각 나라마다 삶의 추구미가 달라서 그 추구미가 본인에게 맞는 지에 따라 한국이 더 나에게 패턴이 맞는 지 아니면 유럽인지 그도 아니면 타국가인 건지 따라가는 거 같다ㅎㅎ
헐 그렇구나,,.오우
아니 어쩐지 교환갔을때 파리산다는 애들이 약간 소시민처럼 행동해서 오잉 싶었는데 .. 이런영향도 있던건가
유럽도 힘드네 ㅋㅋ
헐 충격이다
얘네 그래서 좀 잘 살아도 여행가고 좀 푼족하게 살려고 에어비엔비나 볼트 같은 거 많이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