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THIS IS TOTAL WAR
카페 가입하기
 
 
 
카페 게시글
동양사 조선군계급 체계에 대해 알고 있는분 계십니까
Z.W.P.A 추천 0 조회 2,378 11.12.10 11:07 댓글 17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11.12.10 13:52

    첫댓글 기본만 얘기하자면 일단 오위진법 기준의 5배수 체계로 나가고, 여기에 비장, 참장과 같은 임시직이 추가 됩니다. 군관은 하급장교들을 뭉뚱그려 부르는 호칭에 가깝고요.

  • 작성자 11.12.10 14:09

    5배수 체계란게 뭔가요 ?그럼 조선 후반기의 5군영체계때도 5배수 체계란 걸로 나가나요?

  • 11.12.10 17:21

    조선 초중기의 오위진법을 설명 드리지면

    한명의 병사는 졸(卒)이라고 칭하고
    5졸이 1오(伍)로 오장(伍長)이 이끌고 (5명)
    5오가 1대(隊)로 대정(隊正)이 지휘합니다 (25명)
    5대가 1여(旅)로 여수(旅首)가 가 지휘하는데 (125명)

    이것이 가장 기본단위고.

    여기에 다시 위-부-통의 체계가 있는데... 여긴 좀 복잡해서 그때그때 조금씩 규모가 다릅니다.

    전 후 좌 우 중군의 FM대로 돌아가는 5위가 있고 (40인레이드용)
    이를 간략화한 전 중 후군의 3읍분군(三邑分軍) 체계도 있습니다. (10인레이드용)


    여진족 : 안돼! 난 여길 빠져나가야 겠어~ 으아아아~~~

  • 11.12.10 14:52

    5명 단위로 오, 대, 초, 려 등으로 올라가는거 아닌가요?
    자세히는 잘 모르겠네요 -_-ㅋ;;; 대오를 갖춰라는 말도 저기서 나온걸로 아는데.. 킁.. 저도 궁금하네요

  • 11.12.10 17:47

    북괴 빨갱이 동지께서 조선 초중기의 편제에 대해서 설명하셨는데, 조선후기의 그것이 없어서요...ㅋ

    조선후기의 군대편제는 <기효신서>의 편제를 따릅니다. 보통 10여명의 대(隊)가 있고, 3~5개의 대를 묶어서 기(旗)를 편성하고, 3~5기로 초(哨)를 편성하며, 3~5초로 1사(司)를, 3~5사로 영(營)을 편성합니다. 중앙군이든 지방 속오군이든 대체로 이 편제를 따르죠.

    5영군문의 경우, 그 수장인 [대장]이나 [사(使, 예컨대 총융청의 총융사)]가 대개 비국당상을 겸직한 문관인 경우가 많았기에, 그 밑에 실무를 담당하는 무장으로 [중군(中軍)]을 둡니다.

  • 11.12.10 18:08

    그 아래에 [천총(千總)]이 있는데, 천총은 영을 통솔하는 무장입니다. 훈련도감 등 5영군문에서는 영을 따로 '부(部)'로 칭하기도 하고, 편성인원은 3000명 정도 됩니다. 천총 아래에는 [파총(把總)]이 있는데, 파총은 사를 지휘합니다. 파총 아래에 있는 것이 [초관(哨官)]인데, 1초를 지휘하며, 1초의 병력은 100~200명 정도 됩니다. 그 아래에는 [기총(旗總)]이 있고, 기총 밑에는 [대장(隊長)]이 있죠...^^;

    따라서 위에 나오는 초관은 100~200명을 통솔하는 '중대장' 정도 되는 겁니다...ㅋ

  • 11.12.10 18:00

    최근 <제주도 속오군적>이 새로 발견되어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것 같은데, [속오군 체제]의 말단인 '대(隊)'의 편성에서 제주의 경우는 타지와 차이가 있다는군요...^^; 기본에 연구되던 <충청도 속오군적>의 경우, 같은 대에 속해있는 군졸들은 같은 병종의 무기로 무장을 했습니다. 창이면 창, 조총이면 조총 이런 식으로... 근데 제주의 경우는 대장(隊長)은 창으로, 1-2번은 조총, 7~10번은 창, 화병(취사병)은 환도로 무장하는 '혼성편제'입니다.

  • 11.12.10 19:13

    현재 우리나라 군대 분대 구성 같네요 ㅋㅋㅋ

  • 11.12.10 21:29

    남아있는 <충청도 속오군적>에는 살수가 없습니다...-_-; 거진 80%가 포수(조총병)고, 나머지가 사수(궁병)에요...ㅎㅎ;;

    아마도 고립된 제주도의 [지형적 요건]이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친 것 같습니다. 뭐 <충청도 속오군적>의 경우도 완전한 형태는 아닌 것 같지만... 아마 살수 부분이 빠졌을 겁니다. 대신 충청도 같은 내륙의 군현에 편성한 속오군은 애시당초 '군액' 자체가 상당히 많지만, 제주의 경우는 제주목 휘하의 3읍, 즉 제주목과 대정현-정의현이 따로 섬에 고립되어 있어서 군액 자체가 많지 않았고, 조세의 경우도 서울로 올려보내지 않고 '잉류'했던 점을 생각하면- 역시나 제주도의 특수성이 반영된 편성같아요...^^;

  • 작성자 11.12.11 01:00

    오 오 역시 해동천자님이시군요 명쾌한 답변 정말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 11.12.11 09:32

    흥. 나도 리플달아드렸는데. 무시당했어.

  • 11.12.11 14:20

    북괴 빨갱이에게 댓글은 없다?!...ㅋ

  • 작성자 11.12.11 14:57

    아이고 이거 정말 죄송합니다 무장공비님께도 많은 도움 감사드립니다 ^^b

  • 11.12.12 01:35

    Z.W.P.A상 이제 강등임 ㄲㄲ

  • 11.12.22 22:47

    위에서 다른 분들이 잘 설명해 주셔서 곁가지로 다른 걸 말씀드리면...조선 사회의 특성상 문관이 전문적인 무관 보다 실질적인 병력을 지휘하는 경우가 많았고, 또한 상황에 따라 혹은 기계획된 방어사, 조방장 등이 임명되기도 합니다.

  • 11.12.22 22:49

    한 개의 도의 감사(관찰사)가 병마절도사를 겸하는 곳도 있고, 병마절도사가 있지만 어디까지나 감사 휘하의 지휘관 중 하나로 보이기도 합니다. 심지어 감사가 수군절도사를 겸하거나 통제사를 겸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ㅁ-; 나름 조선이 체계화된 편제를 지니고 있었지만 지리적, 지역적 특성이 강하게 반영되기도 합니다.

  • 11.12.22 22:53

    뭐 위에 말씀드린 건 임진왜란을 전후로한 설명이긴한데 -ㅁ-;; 차라리 넓은 의미에서 조선군의 시스템을 이해하려면 조선시대 벼슬에 대해 아는게 빠를 수도 있습니다. 도원수, 감사, 병마(수군)절도사, 통제사, 대도호부사, 도호부사, 방어사, 현령, 현감, 조방장, 첨사, 만호 등등-_-;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