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희성(鄭喜成)-음지식물
음지식물이 처음부터 음지식물은 아니었을 것이다
큰 나무에 가려 햇빛을 보기 어려워지자
몸을 낮추어 스스로 광량(光量)을 조절하고
그늘을 견디는 연습을 오래 해왔을 것이다
나는 인간의 거처에도 그런 현상이 있음을 안다
인간도 별수 없이 자연에 속하는 존재이므로
*정희성(鄭喜成, 1945. 2. 21~, 경남 창원 출생, 대전, 익산, 여수 등지에서 자람) 시인은 절제된 감정과 차분한 어조로 민중의 일상에 내재된 건강한 생명력을 구체적으로 그려낸 1970년대의 대표적 참여시인으로 1960년대 참여시를 개척한 김수영 시인, 신동엽 시인의 뒤를 이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시인의 대표작으로는 “한 그리움이 다른 그리움에게” “이봄의 노래” “일월” “답청” “옹기전에서” “얼은 강을 건너며” “씻김” “불망기” “전설바다” “새벽이 오기까지는” “쇠를 치면서” “이곳에 살기 위하여” “시를 찾아서” “술꾼” “서울역 1998” “사랑 사설” “너를 부르마” “해가사” “꽃자리” “양말 깁는 어머니” 등이 있습니다.
*시인은 김수영문학상, 만해문학상, 육사시문학상, 지용문학상 등을 수상하였습니다.
*위 시는 정희성 시집 “그리운 나무(창비시선 368)”에 실려 있는 것을 옮겨본 것입니다.